
000 | 00639camcc2200229 c 4500 | |
001 | 000045617865 | |
005 | 20101117194754 | |
007 | ta | |
008 | 101117s2010 ulk 000c kor | |
020 | ▼a 9788962530735 ▼g 03810 | |
035 | ▼a (KERIS)BIB000012194072 | |
040 | ▼a 211032 ▼d 211009 | |
082 | 0 4 | ▼a 808.04957 ▼2 22 |
085 | ▼a 808.0497 ▼2 DDCK | |
090 | ▼a 808.0497 ▼b 2010z17 | |
100 | 1 | ▼a 고정국, ▼d 1947- ▼0 AUTH(211009)88735 |
245 | 1 0 | ▼a 조사(助詞)에게 길을 묻다 : ▼b 고정국의 체험적 글쓰기론 / ▼d 고정국 지음 |
246 | 3 0 | ▼a 조사에게 길을 묻다 |
260 | ▼a 서울 : ▼b 연인M&B, ▼c 2010 | |
300 | ▼a 223 p. ; ▼c 22 cm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8.0497 2010z17 | Accession No. 11159976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8.0497 2010z17 | Accession No. 11159976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고정국 시인의 체험적 글쓰기론. 그동안 많은 글쓰기론과는 다른 방향에서 글쓰기에 대한 실전적 비법을 공개한다. 1부에는 저자 나름의 글에 대한 인식과, 글 쓰는 사람으로서 갖춰야 하는 마음가짐에 대해 정리했고, 2부에서는 이론의 현장응용에 초점을 맞췄다. 그리고 3부는 저자가 여기저기 발표했던 산문과 시를 연결시킨 '에세이 시작노트'로 구성되었다.
모든 진실과 소통하는 마음으로 쓰는 새로운 글쓰기의 실전적 지첨서
이 책은 고정국 시인의 체험적 글쓰기의 새로운 지침서로 그동안 많은 글쓰기론과는 다른 방향에서 글쓰기에 대한 실전적 비법을 공개하고 있다. “이 자료를 준비하기 위해 이곳저곳 글쓰기 또는 문예창작 이론서들을 살펴야 했다. 그쪽 내용의 인용을 위해서가 아니라 그 내용들을 피해 가기 위해서였다. 그래서 여기에는 참고문헌이나 기초자료 없이 말 그대로 ‘책에 없는’ 내용만으로 엮었다.”는 필자의 말처럼 매 강의마다 직접 체험에서 겪은 생생한 감성과 감동을 함께 공감하게 된다.
제1부에는 필자 나름의 글에 대한 인식과, 글 쓰는 사람으로서 갖춰야 하는 마음가짐에 대해 정리했고, 제2부에서는 이론의 현장응용에 초점을 맞췄다. 그리고 제3부는 필자가 여기저기 발표했던 산문과 시를 연결시킨 <에세이 시작노트>로 구성되었다.
자기 자신은 물론 모든 진실과 소통하는 마음으로 쓰는 고정국의 새로운 체험적 글쓰기론 [조사(助詞)에게 길을 묻다]는 모든 분들에게 진실한 글쓰기의 실전적 지첨서가 될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고정국(지은이)
1947년 서귀포시 남원읍 위미 출생. 1988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당선. 저서:시집 『진눈깨비』 『겨울 반딧불』 『서울은 가짜다』, 고향 사투리 서사시조집 『지만울단 장쿨래기』, 시조로 노래하는 스토리텔링 『난쟁이 휘파람 소리』, 관찰시조집 『민들레 행복론』 『탈옥을 꿈꾸며』, 관찰산문집 『고개 숙인 날들의 기록』, 체험적 창작론 『助詞에게 길을 묻다』, 전원 에세이 『손!』 등. 수상:제1회 남제주군 으뜸군민상(산업 문화 부문), 중앙시조대상 신인상, 유심작품상, 이호우문학상, 현대불교문학상, 한국동서문학상, 한국해양문학상 등. 활동:민족문학작가회의 제주도지회(현 제주작가회의)장 역임. 월간 《농업사랑》(2001-2006), 월간 《시조갤러리》(2008-2018) 발행인. 한국작가회의 회원.

Table of Contents
목차 들어가는 글|수강생 자리에서 = 04 제1부 내면의 상형문자를 찾아서 제1강 성공한 식탁은 설거지가 쉽다 = 10 제2강 자화자찬부터 시작하라 = 15 제3강 '삼척'을 멀리하라 = 19 제4강 아미엘의 반딧불 = 26 제5강 바람도 대상을 만나야 소리를 얻는다 = 30 제6강 글쓰기와 자기 변화 = 36 제7강 서정의 트라이앵글 = 42 제8강 내면의 상형문자를 찾아서 = 48 제9강 소수점 이하의 언어 찾기 = 52 제10강 네 개의 눈 = 58 제2부 쓰노라면 보인다 제11강 조사(助詞)에게 길을 물어 = 68 제12강 쓰노라면 보인다 = 76 제13강 자전거의 적재적량 = 83 제14강 꽃의 마음을 아시나요? = 88 제15강 이야기 씨줄 날줄 = 94 제16강 퇴고(推敲)의 깊이 = 101 제17강 오감의 솜털 = 108 제18강 상상의 즐거움 = 116 제19강 정형시의 이해 = 123 제20강 귀뚜라미 강좌 = 132 제21강 자기소개서 쓰기 = 141 3부 에세이 시작노트 제22강 에세이 시작노트 1 = 148 제23강 에세이 시작노트 2 = 156 제24강 에세이 시작노트 3 = 163 제25강 에세이 시작노트 4 = 169 제26강 에세이 시작노트 5 = 175 제27강 에세이 시작노트 6 = 182 제28강 에세이 시작노트 7 = 189 제29강 시집 해설의 예 = 197 제30강 발문(跋文)의 예 = 213 제31강 칼럼 2題 = 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