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2판 머리말
초판 머리말
제1편 행정학의 기초이론 = 17
제1장 행정의 본질 = 19
제1절 행정의 의의 = 19
1. 행정의 개념 = 19
2. 행정개념의 역사적 전개 = 20
3. 행정과 경영 = 22
4. 행정과 정치 = 25
제2절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 25
1. 행정학의 연구 대상 = 25
2. 행정학의 성격 = 26
제3절 정부와 행정 = 29
1. 정부의 개념 = 29
2. 국가특성의 변화와 행정 = 30
3. 정부의 구조 = 32
4. 정부의 역할과 기능 = 34
5. 정부의 운영 실태 = 35
제4절 행정과 환경 = 38
1. 행정환경 = 38
2. 행정의 정치적 맥락 = 39
3. 행정의 법적 맥락 = 41
4. 행정의 경제적 맥락 = 43
5. 행정의 사회적 맥락 = 45
6. 행정의 공간적 맥락 = 46
제2장 행정학의 발달 과정 = 49
제1절 유럽의 행정학 = 49
1. 근대정부의 생성 = 49
2. 관방학 = 50
3. 슈타인 행정학 = 51
제2절 미국 행정학의 발달 과정 = 52
1. 미국행정학 성립의 사상적 토대 = 53
2. 발달 과정 = 53
제3절 한국 행정학의 전개 = 59
1. 행정학의 도입 = 59
2. 우리나라 행정연구의 과제 = 60
제3장 행정학의 접근방법과 최근의 주요 행정 이론 = 63
제1절 행정학의 접근방법 = 63
1. 행태론적 접근방법 = 63
2. 생태론적 접근방법 = 65
3. 체제론적 접근방법 = 67
4. 제도론적 접근방법 = 69
5. 현상학적 접근방법 = 73
제2절 최근의 주요 행정이론 = 74
1. 신공공관리 = 74
2. 뉴 거버넌스론 = 77
3. 신공공서비스이론 = 79
제2편 행정이념, 윤리와 행정통제 = 83
제4장 행정이념과 행정윤리 = 85
제1절 행정이념 = 85
1. 본질적 가치 = 85
2. 수단적 가치 = 88
3. 민주성ㆍ형평성과 능률성 간의 갈등 = 89
제2절 행정윤리 = 90
1. 행정윤리의 의의와 중요성 = 90
2. 공무원 부패 = 91
3. 행정윤리의 확보 방안 = 93
제5장 행정책임과 행정통제 = 97
제1절 행정책임과 행정통제의 의의 = 97
제2절 행정통제의 유형 = 99
1. 외부통제 = 99
2. 내부통제 = 103
제3절 행정통제의 한계와 통제력의 향상 방안 = 105
1. 행정통제의 한계 = 105
2. 행정통제력의 향상 방안 = 106
제3편 행정의 이론과 실천 = 111
제6장 정책 = 113
제1절 정책학의 기초 이론 = 113
1. 정책학의 발전 = 113
2. 정책의 의의와 유형 = 113
3. 정책의 필요성 = 115
제2절 정책환경과 정책과정 참여자 = 124
1. 정치체제와 정책환경 = 124
2. 정책결정요인론 = 125
3. 정책과정의 단계 = 127
4. 정책과정의 참여자 = 127
제3절 정책의제설정 = 135
1. 의의 = 135
2. 정책의제설정의 과정 = 135
3. 정책의제설정의 유형 = 137
4. 정책의제설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37
제4절 정책결정 = 139
1. 정책결정 과정 = 139
2. 정책결정 모형 = 145
3. 우리 정부의 정책결정 = 156
제5절 정책집행 = 159
1. 의의 = 159
2. 접근방법 = 159
3. 성공적 정책집행을 좌우하는 요인 = 161
4. 집행의 순응과 불응 = 164
5. 정책집행의 성공과 실패 사례: 쓰레기종량제와 농어촌구조 개선사업 = 167
제6절 정책평가 = 173
1. 의의와 유형 = 173
2. 정책평가의 논리 = 174
3. 정책평가의 방법 = 179
제7절 정책변동과 정책종결 = 184
1. 의의 = 184
2. 정책변동의 유형 = 184
3. 정책변동의 원인 = 187
4. 저항과 극복 전략 = 188
제7장 조직 = 195
제1절 조직일반론 = 195
1. 조직의 의의와 구성 요소 = 195
2. 조직의 분류 = 196
3. 조직이론의 전개과정 = 198
제2절 조직문화 = 209
1. 조직문화의 의의 = 209
2. 조직문화의 유형과 기능 = 210
3. 조직문화의 구성요소 = 211
4.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 = 213
5. 행정조직의 문화 = 214
제3절 조직구조론 = 215
1. 조직구조의 의의 = 215
2. 조직구조의 차원 = 215
3. 조직구조의 형성원리 = 217
4. 조직구조의 유형 = 222
제4절 조직행태론 = 238
1. 동기부여 = 238
2. 리더십 = 250
3. 의사전달 = 260
제5절 조직변동론 = 269
1. 조직혁신 = 269
2. 조직발전 = 273
제8장 인사 = 277
제1절 인사행정의 기초 = 277
1. 인사행정의 의의와 과정 = 277
2. 인사행정의 발달 = 279
제2절 인사행정의 제도적 기반 = 289
1. 인사행정기관 = 289
2. 공직구조의 형성 = 292
제3절 인적자원의 관리 = 307
1. 인력계획 = 307
2. 확보 = 310
3. 능력 발전 = 322
4. 보상 = 338
제4절 공무원의 행동규범 = 348
1. 공무원의 신분보장과 징계 = 348
2. 공무원단체 = 354
제9장 재무 = 359
제1절 예산의 일반이론 = 359
1. 예산의 개념과 기능 = 359
2. 예산의 범위와 규모 = 360
3. 예산의 원칙 = 361
4. 예산의 분류 = 364
5. 예산의 내용 = 371
제2절 예산제도 = 373
1. 품목별 예산제도 = 373
2. 성과주의 예산제도 = 375
3. 계획예산제도 = 377
4. 영기준 예산 = 380
5. 자본예산 = 383
6. 성과관리 예산제도 = 386
제3절 예산과정 = 388
1. 예산편성 = 389
2. 예산심의 = 392
3. 예산집행 = 396
4. 결산과 회계검사 = 402
5. 지방정부의 예산과정 = 404
제4절 예산 및 회계제도의 개혁 = 407
1. 거버넌스식 예산과정의 설계 = 407
2. 프로그램예산제도 = 407
3. 발생주의회계와 복식부기 = 409
4. 그 밖의 조치 = 412
제10장 전자정부 = 415
제1절 전자정부의 개념적 이해 = 415
1. 정보화 시대의 행정환경 변화 = 415
2. 전자정부의 개념 = 416
제2절 전자정부와 행정서비스 = 420
1. 전자적 행정서비스 = 420
2. 전자적 행정서비스의 향후 과제 = 424
제3절 우리나라 전자정부의 추진 과정 및 과제 = 425
1. 추진과정 = 425
2. 추진체제 = 427
3. 전자정부정책의 성과: 문제점과 개선방안 = 429
제4절 미래의 전자정부: 유비쿼터스정부 = 435
1. 의의와 단계 = 435
2. 유비쿼터스 정부의 동인 = 436
3. 유비쿼터스 정부의 발전 전략 = 438
제11장 지방자치 = 439
제1절 지방자치의 본질 = 439
1. 지방자치의 개념 = 439
2. 지방자치의 필요성 = 441
3. 지방자치의 본질 = 442
4. 우리나라 지방자치의 연혁 = 443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종류와 구성 = 444
1. 지방자치단체의 종류 = 444
2. 지방자치단체의 구성 = 445
3. 지방자치단체의 사무배분 = 455
제3절 지방자치단체의 자치권 = 462
1. 자치권의 의의와 부여방식 = 462
2. 자치입법권 = 462
3. 자치행정권 = 467
4. 자치조직권 = 469
5. 자치재정권 = 471
6. 자치교육제와 자치경찰제 = 472
제4절 지방자치단체와 주민과의 관계 = 478
1. 주민투표 = 478
2. 주민발안 = 479
3. 주민소송 = 480
4. 주민소환 = 481
제5절 지방재정 = 482
1. 지방재정의 기본적 이해 = 482
2. 지방수입 구조 = 483
3. 지방재정 확충 방안 = 493
제12장 공공서비스 = 499
제1절 서비스행정의 대두 = 499
1. 공공서비스의 의의 = 499
2. 공공서비스에 대한 관심과 변화 = 499
3. 공공서비스의 유형 = 501
제2절 공공서비스의 공급 방식 = 503
1. 정부에 의한 서비스 공급방식 = 503
2. 민간에 의한 서비스 공급 = 505
3. 민관협력공급 = 515
제3절 공공서비스 공급의 혁신 = 517
제13장 행정개혁: 미래의 청사진 = 523
제1절 행정개혁의 의의 = 523
1. 행정개혁의 개념과 성격 = 523
2. 행정개혁의 추진 배경 = 524
3. 행정개혁의 전략과 접근방법 = 524
제2절 행정개혁의 과정과 저항 = 527
1. 행정개혁의 과정 = 527
2. 행정개혁에 대한 저항과 극복방안 = 530
제3절 선진국의 행정개혁 = 532
1. 행정개혁의 배경과 특징 = 532
2. 선진국 행정개혁의 사례 = 532
제4절 우리나라 행정개혁의 현황과 과제 = 533
1. 행정개혁의 현황 = 533
2. 행정개혁의 특징 = 534
3. 행정개혁의 향후 과제 = 535
참고문헌 = 541
기출문제 = 565
찾아보기 = 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