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왜 사냐고 물으면 : 철학ㆍ종교ㆍ심리ㆍ민속 등에 관한 글들

왜 사냐고 물으면 : 철학ㆍ종교ㆍ심리ㆍ민속 등에 관한 글들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윤구병, 1943-, 편 김흥규, 1948-, 편
서명 / 저자사항
왜 사냐고 물으면 : 철학ㆍ종교ㆍ심리ㆍ민속 등에 관한 글들 / 윤구병, 김흥규 엮음
발행사항
서울 :   한샘,   1993  
형태사항
311 p., 도판 [8]장 : 삽화 ; 24 cm
총서사항
한샘 미네르바 문고 ;2
ISBN
8936201271
000 00661namcc2200229 c 4500
001 000045616670
005 20101108135541
007 ta
008 101108s1993 ulkaf 000c kor
020 ▼a 8936201271 ▼g 53900
040 ▼d 211009
082 0 4 ▼a 089.957 ▼2 22
085 ▼a 089.97 ▼2 DDCK
090 ▼a 089.97 ▼b 1993b1 ▼c 2
245 0 0 ▼a 왜 사냐고 물으면 : ▼b 철학ㆍ종교ㆍ심리ㆍ민속 등에 관한 글들 / ▼d 윤구병, ▼e 김흥규 엮음
260 ▼a 서울 : ▼b 한샘, ▼c 1993
300 ▼a 311 p., 도판 [8]장 : ▼b 삽화 ; ▼c 24 cm
440 0 0 ▼a 한샘 미네르바 문고 ; ▼v 2
700 1 ▼a 윤구병, ▼d 1943-, ▼e▼0 AUTH(211009)35397
700 1 ▼a 김흥규, ▼d 1948-, ▼e▼0 AUTH(211009)139840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89.97 1993b1 2 등록번호 11159357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윤구병(지은이)

1943년 전라남도 함평에서 태어났다. 맏형 이름이 ‘일병’인데, 아홉 번째 막내로 태어나 ‘구병’이 되었다. 1972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하고 〈뿌리깊은 나무〉 초대 편집장을 지냈다. 1981년 충북대 철학과 교수가 되었고 1989년 ‘한국철학사상연구회’를 만들어 공동대표를 맡았다. 1983년 이오덕 선생의 권유로 대학교수로는 처음으로 ‘한국글쓰기연구회(지금 한국글쓰기교육연구회)’ 회원이 되었다. 1988년 어린이에게 줄 좋은 책을 출판하려고 ‘보리기획(지금 보리출판사)’을 만들었다. 1995년 변산에 자리를 잡아 변산공동체학교를 꾸리고, 1996년 대학교수를 그만두고서 농사꾼으로 살기 시작했다. 2016년 ‘우리말글살리는겨레모임’에서 ‘우리 말글 으뜸 지킴이’로 뽑혔다. 쓴 책으로 《잡초는 없다》《실험 학교 이야기》《철학을 다시 쓴다》《내 생애 첫 우리말》《꽃들은 검은 꿈을 꾼다》《특별 기고》《꿈꾸는 형이상학》 들이 있다. 〈달팽이 과학동화〉〈개똥이 그림책〉을 비롯해 ‘세밀화 도감’을 기획하고 펴내 어린이책의 새 지평을 열었으며, 남녘과 북녘의 학생들이 함께 보는 《보리 국어사전》을 기획하고 감수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1 철학
 골치 안 아픈 철학 이야기 / 윤구병 = 10
 의미 있는 삶을 위한 꿈 / 이명현 = 24
 너 디오게네스를 모르나? / 함석헌 = 34
 지혜를 사랑하는 사람들 / 플라톤 = 44
 이 아침의 환희 이 저녁의 평화 : 베르그송의 철학 / 김진성 = 60
 자네들은 멍청이 선생을 두었다 : 비트겐슈타인의 생애와 사상 / 빌헤름 바이쉐델 = 66
 이건 이렇고 저건 저렇고 : 논술문의 논리적 기준 / 소홍렬 = 78
2 윤리
 할일은 하고 찾을 것은 찾고 / 김태길 = 104
 윤리 속에 깃든 논리 / 황경식 = 118
 사람이 곧 하느님이다 / 최동희 = 126
 공연히 방황하지 말아라 / 아우렐리우스 = 136
 자연 그대로의 인간 / 루소 = 142
3 종교
 일요일의 종교인과 월요일의 사회인 / 황필호 = 152
 솥단지를 모시면 미신일까 / 정진홍 = 161
 예술가가 하느님처럼 순수하게 되면 / 문익환 = 176
 하루에 한 가지씩 버려야겠다 / 법정 = 188
 님의 오늘은 곧 영원입니다 / 아우구스티누스 = 192
 마음으로 절해라 / 대장경 = 200
4 심리
 일그러진 내 꿈 / 프로이트 = 210
 무의식의 명령을 받는 사람 / 김명정 = 222
 사람은 왜 싸울까 / 박덕규 = 236
 죽음에 대한 한국인의 이해 : '진오기굿'을 통해 본 이승과 저승 / 유동식 = 246
5 민속
 돼지 숭배자와 돼지 혐오자 / 마빈 해리스 = 260
 죽음을 둘러싼 구구한 해석 / 김광억 = 274
 제사는 왜 지내나 / 최래옥 = 286
 세시 풍속과 놀이 / 심우성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