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64namcc2200229 c 4500 | |
001 | 000045616669 | |
005 | 20101108135759 | |
007 | ta | |
008 | 101108s1993 ulkaf 000c kor | |
020 | ▼a 893620128X ▼g 53900 | |
040 | ▼d 211009 | |
082 | 0 4 | ▼a 089.957 ▼2 22 |
085 | ▼a 089.97 ▼2 DDCK | |
090 | ▼a 089.97 ▼b 1993b1 ▼c 3 | |
245 | 0 0 | ▼a 함께 걷는 이 길은 : ▼b 정치ㆍ경제ㆍ사회ㆍ여성 등에 관한 글들 / ▼d 윤구병, ▼e 김흥규 엮음 |
260 | ▼a 서울 : ▼b 한샘, ▼c 1993 | |
300 | ▼a 327 p., 도판 [8]장 : ▼b 삽화 ; ▼c 24 cm | |
440 | 0 0 | ▼a 한샘 미네르바 문고 ; ▼v 3 |
700 | 1 | ▼a 윤구병, ▼d 1943-, ▼e 편 ▼0 AUTH(211009)35397 |
700 | 1 | ▼a 김흥규, ▼d 1948-, ▼e 편 ▼0 AUTH(211009)139840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89.97 1993b1 3 | 등록번호 11159358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윤구병(지은이)
1943년 전라남도 함평에서 태어났다. 맏형 이름이 ‘일병’인데, 아홉 번째 막내로 태어나 ‘구병’이 되었다. 1972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하고 〈뿌리깊은 나무〉 초대 편집장을 지냈다. 1981년 충북대 철학과 교수가 되었고 1989년 ‘한국철학사상연구회’를 만들어 공동대표를 맡았다. 1983년 이오덕 선생의 권유로 대학교수로는 처음으로 ‘한국글쓰기연구회(지금 한국글쓰기교육연구회)’ 회원이 되었다. 1988년 어린이에게 줄 좋은 책을 출판하려고 ‘보리기획(지금 보리출판사)’을 만들었다. 1995년 변산에 자리를 잡아 변산공동체학교를 꾸리고, 1996년 대학교수를 그만두고서 농사꾼으로 살기 시작했다. 2016년 ‘우리말글살리는겨레모임’에서 ‘우리 말글 으뜸 지킴이’로 뽑혔다. 쓴 책으로 《잡초는 없다》《실험 학교 이야기》《철학을 다시 쓴다》《내 생애 첫 우리말》《꽃들은 검은 꿈을 꾼다》《특별 기고》《꿈꾸는 형이상학》 들이 있다. 〈달팽이 과학동화〉〈개똥이 그림책〉을 비롯해 ‘세밀화 도감’을 기획하고 펴내 어린이책의 새 지평을 열었으며, 남녘과 북녘의 학생들이 함께 보는 《보리 국어사전》을 기획하고 감수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