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註釋) 民法 : 總則 第4版

(註釋) 民法 : 總則 第4版 (8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용담 金龍潭, 편
서명 / 저자사항
(註釋) 民法 : 總則 / 金龍潭 編輯 代表
판사항
第4版
발행사항
서울 :   韓國司法行政學會,   2010  
형태사항
3책 ; 26 cm
ISBN
9788981096915 (v.1) 9788981096922 (v.2) 9788981096939 (v.3)
일반주기
색인수록  
내용주기
1. §1-§96 -- 2. §97-§113 -- 3. §114-§184
000 00790camcc2200277 c 4500
001 000045615916
005 20101101185142
007 ta
008 101101s2010 ulk 001c kor
020 ▼a 9788981096915 (v.1)
020 ▼a 9788981096922 (v.2)
020 ▼a 9788981096939 (v.3)
035 ▼a (KERIS)BIB000012191345
040 ▼a 241002 ▼c 241002 ▼d 241002 ▼d 211009
082 0 4 ▼a 346.519 ▼2 22
085 ▼a 346.53 ▼2 DDCK
090 ▼a 346.53 ▼b 2010z27
245 2 0 ▼a (註釋) 民法 : ▼b 總則 / ▼d 金龍潭 編輯 代表
250 ▼a 第4版
260 ▼a 서울 : ▼b 韓國司法行政學會, ▼c 2010
300 ▼a 3책 ; ▼c 26 cm
500 ▼a 색인수록
505 0 ▼a 1. §1-§96 -- 2. §97-§113 -- 3. §114-§184
700 1 ▼a 김용담 ▼g 金龍潭,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6.53 2010z27 1 등록번호 11159821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6.53 2010z27 1 등록번호 11159821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6.53 2010z27 2 등록번호 11159822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6.53 2010z27 2 등록번호 11159822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6.53 2010z27 3 등록번호 11159822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6.53 2010z27 3 등록번호 11159822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용담(지은이)

김용담 대법관은 스스로를 “지금까지의 경력은 딱 한 줄”이라며 “판사”라고 일축한다. ‘사법부의 2인자’로도 잘 알려진 그는 얼마 전 신영철 대법관의 ‘촛불재판’ 개입 논란이 불거지자 진상조사단장을 맡아 “개입했다”라는 대쪽같은 결론을 내려 화제가 됐다. 소장 판사들의 ‘집단행동’을 적절히 수습하고, 즉시 제도 개선책을 마련함으로써 법관으로서 그의 능력과 사명을 보여줬다. 경직되어 있는 법조계에 유래가 없는 책 출판과 함께 하버드로 다시 공부를 하기 위해 떠난다. 다시 로마법을 펼치듯이.

정보제공 : Aladin

목차

1권


第1編 
 第1章 通則 
 第2章 人 
 第3章 法人 





2권


弟1編 總則 
 弟3章 法人 
_弟5節 罰則 
 弟4章 物件 
 弟5章 法律行爲 
_弟1節 總則 
_弟2節 意思表示 





3권


第1編 
 第5章 法律行爲 
 第3節 代理 
 第4節 無效와 取消 
 第5節 條件과 期限 
 第6節 期間 
 第7節 消時效

관련분야 신착자료

中込一洋 (2022)
Geiser, Thomas (2023)
김동훈 (2023)
이상복 (2023)
신현탁 (2023)
오성근 (2023)
민사판례연구회 (2023)
박세민 (2023)
Fankhauser, Roland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