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906camcc2200301 c 4500 | |
001 | 000045615746 | |
005 | 20111020111920 | |
007 | ta | |
008 | 101029s2010 ulkad b 001c kor | |
020 | ▼a 9788964061022 ▼g 93300 | |
035 | ▼a (KERIS)BIB000012169934 | |
040 | ▼a 211032 ▼d 211009 ▼d 244002 | |
082 | 0 4 | ▼a 659.1 ▼2 22 |
085 | ▼a 659.1 ▼2 DDCK | |
090 | ▼a 659.1 ▼b 2010z11 | |
245 | 0 0 | ▼a 광고매체론 : ▼b 조사, 계획 그리고 구매 중심 / ▼d 박원기 [외] 지음 |
250 | ▼a 개정2판(2010) | |
260 |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c 2010 | |
300 | ▼a x, 612 p. : ▼b 삽화(일부천연색), 도표 ; ▼c 26 cm | |
440 | 0 0 | ▼a 커뮤니케이션북스 ; ▼v 1410 |
500 | ▼a 지은이: 박원기, 오완근, 이시훈, 이승연 | |
504 | ▼a 참고문헌(p. 589-597)과 색인수록 | |
700 | 1 | ▼a 박원기, ▼e 저 |
700 | 1 | ▼a 오완근, ▼e 저 |
700 | 1 | ▼a 이시훈, ▼e 저 ▼0 AUTH(211009)115140 |
700 | 1 | ▼a 이승연, ▼e 저 ▼0 AUTH(211009)128539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59.1 2010z11 | 등록번호 11159784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59.1 2010z11 | 등록번호 11159784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659.1 2010z11 | 등록번호 15129229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59.1 2010z11 | 등록번호 11159784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59.1 2010z11 | 등록번호 11159784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659.1 2010z11 | 등록번호 15129229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광고매체론』 2010년 개정판. 사전 조사, 전략 계획에서 구매까지 복잡한 광고매체 업무를 한 권으로 정리했다. ‘뉴미디어’ 장을 새로 구성하고, 마케팅 패러다임 변화에 맞춰 소비자의 수용 태도에 관한 최신 자료를 반영했다. ‘매체계획’, ‘매체효과분석’의 최신 사례는 실제 업무에 활용할 수 있다. 매체 실무자와 전공자 모두에게 유용하다.
* ‘13장 매체계획 사례’, ‘19장 매체효과분석 사례’는 최근 자료로 교체했다. 모바일 광고, DMB 광고, IPTV 광고를 포함한 ‘18장 뉴미디어’를 새로 넣었다.
* 고객관리가 중요해지는 환경에 맞춰 미디어 소비자의 수용 태도에 관한 최신 자료를 반영했다.
* 각 장 말미의 ‘문제 및 토의’를 생략하고 대신 중간 중간에 ‘더 읽어볼 거리’를 추가해 해당 주제와 관련된 연구 자료를 실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박원기(지은이)
동국대학교 경영학과 학사, 동대학원 석사·박사과정을 마쳤다. LG애드, m.net, Kadd 등에서 근무했고, 고신대학교 광고홍보학과 조교수로 재직한 바 있다. 현재 한국방송광고공사 광고연구소 연구위원으로 있으면서 광고산업, 광고매체전략, 광고효과 등의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동국대학교, 상명대학교,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등에서 광고매체계획, 광고전략, 마케팅, 조사방법론 등을 강의했다. 광고매체 분야의 저서, 역서, 논문 등을 다수 발표했다. 이 책의 4∼9장을 저술했다.
오완근(지은이)
고려대학교 통계학과 학사, 동대학원 석사과정을 마치고, 중앙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에서 박사과정을 마쳤다. 갤럽조사연구소에서 시청률 조사를 담당했고, 대홍기획 매체기획팀에서 근무했다. 현재 HS애드(구 LG애드)에서 커뮤니케이션전략연구소장으로 근무하고 있으며, 고려대학교, 연세대학교 등에서 광고매체론을 강의했다. 광고매체 분야의 책과 논문을 다수 발표했다. 이 책의 9∼10장을 저술했으며 1∼10장의 모든 내용을 정리, 편집했다.
이승연(지은이)
SK마케팅앤컴퍼니에서 미디어 플래닝 팀장으로 재직 중이다. LG애드(현 HS애드) 방송미디어팀에서 미디어 바이어로 광고 매체 업무를 시작하여, 미디어 플래너로 전환한 이후 엔즈웰 매체기획팀 차장, 금강오길비 미디어 플래닝팀 부장, 이노션 국내미디어팀 부장을 거쳤다. 다양한 업종의 국내외 광고주에 대한 AOR대행 및 미디어 플래닝 업무를 수행하였다. 마케팅 전반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마케팅 활동의 일부로서 미디어 플래닝의 적절한 역할 수행에 대해 관심을 두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광고매체론』(2005, 공저)이 있다. 한국방송광고공사 광고교육원 IAA이론과정과 IMC전략과정을 수료하였다. 서울대학교 언어학과를 졸업하였다.
이시훈(지은이)
경희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졸업(광고학박사) 전) 한국방송광고공사 뉴미디어팀 전) ㈜ 휴맥스미디어 이사 현) 한국소통학회장 현) 계명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목차
목차 개정2판 머리말 = ⅴ 개정판 머리말 = ⅶ 머리말 = ⅸ 1부 광고매체조사 01 광고매체계획 개요 1. 광고매체론의 의미와 이 책의 구성 = 5 1) 광고매체론의 의미 = 5 2) 이 책의 구성 = 6 2. 마케팅 및 광고 전략의 변화와 광고매체업무 = 9 1) 기업에서 광고매체업무의 위치 = 9 2) 판매 콘셉트와 USP = 11 3) 표적 마케팅과 포지셔닝 광고 = 11 4) 데이터베이스 마케팅과 IMC = 13 3. 매체계획과 매체 = 16 1) 매체란? = 16 1) 매체계획과 매체계획자 = 22 4. 광고매체계획의 일반적인 과정과 성격 = 24 5. 매체계획 수립 시 문제점 = 26 1) 정보의 불충분성 = 26 2) 매체환경의 복잡성 증가 = 27 3) 시간의 제약 = 28 4) 매체의사결정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외부 요인 = 29 5) 객관성의 결여 = 29 6) 광고효과측정의 어려움 = 30 7) 용어의 다양성 = 30 02 광고매체측정 1. 시청취구독률과 GRPs = 35 2. 도달률 = 40 3. 평균빈도 = 42 4. CPP, CPM 그리고 CPR = 44 5. 빈도분포 = 50 6. 그 밖의 다른 측정치들 = 51 1) HUT, PUT = 51 2) 점유율 = 52 3) GI = 54 4) 커버리지 = 55 5) 신문잡지의 발행부수 = 57 7. 인터넷에서의 측정 = 57 1) 측정상의 중요 용어들 = 58 2) 배너 광고의 가격설정모형 = 61 03 광고매체조사 현황 1. 광고량 = 67 1) 광고량(비)의 중요성과 집계기관 = 67 2) 모니터링 매체의 범위 = 68 3) 모니터링 항목 및 과정 = 70 4) 광고량분석시스템 내역 = 73 5) 광고량 이용 시 유의사항 = 76 2. 시청률 = 77 1) 조사방법 = 77 2) 국내조사회사 = 82 3) 시스템 내역 = 85 3. 기타 자료 = 92 1) 종합소비자조사자료 = 92 1) 웹사이트 = 95 04 도달률과 빈도 1. 도달률과 빈도의 누적 형태 = 103 1) 매체별 GRPs 대비 도달률의 누적 형태 = 103 2) 매체별 도달률의 누적 형태와 도달력 = 112 3) 매체별 GRPs별 도달률과 평균빈도의 범위 = 115 2. 도달률 및 빈도분포의 간단한 계산 = 116 1) 도달률 추정의 방법 = 116 2) 이항모형에 의한 추정 = 118 3) 세인스베리 공식에 의한 도달률의 계산 = 120 4) 매체 간 도달률의 결합 방법 = 123 05 유효 도달률과 유효 빈도 1. 유효 빈도 개념의 필요성 = 129 1) 유효 빈도의 본질 = 129 2) 반응함수와 유효 빈도 = 130 3) 유효 빈도의 범위 = 132 2. 유효 도달률의 개념 = 133 3. 유효 빈도 개념의 유래 = 134 1) 하버트 질스키의 연구 = 137 2) 에빙하우스의 연구 = 138 3) 야코보비츠와 아펠의 연구 = 140 4) 로버트 그라스의 연구 = 141 5) 허버트 크루그먼의 연구 = 142 6) 콜린 맥도널드의 연구 = 143 7) 오길비 & 매더 사의 연구 = 144 4. 유효 빈도 콘셉트의 문제점 = 147 1) 제품 업종별 차이 = 147 2) 역치의 존재여부 = 147 3) 좋은 광고와 유효 빈도와의 관계 = 148 4) 광고빈도와 그 효과의 소멸현상 = 148 5) 비히클노출과 광고노출의 차이 = 149 6) 매체계획과 구매주기 = 150 5. 유효 빈도와 관련한 최근 논란 = 151 1) 존 필립 존스의 도달률 콘셉트 = 151 2) 존스의 주장에 대한 로시터와 퍼시의 비판 = 154 3) 도달률 콘셉트의 평가 = 155 2부 광고매체계획 06 마케팅, 광고 그리고 매체계획 1. 마케팅계획과 광고매체계획 = 161 1) 마케팅관리과정 = 161 2) 마케팅계획서의 기본적인 형태 = 165 3) 광고매체계획에서 마케팅계획의 의미 = 166 2. 광고계획과 광고매체계획 = 167 1) 광고계획과정 = 167 2) 광고계획서의 기본적인 형태 = 169 3) 광고매체계획에서 광고계획의 의미 = 171 3. 광고매체계획 = 174 1) 광고매체계획의 구성요소 비교 = 174 2) 광고매체계획의 핵심적 구성요소 = 187 07 표적수용자 결정 1. 표적수용자 선정의 의미 = 191 2. 표적수용자 선정을 위한 기법 = 193 1) 지수를 이용한 시장의 분석 = 193 2) 매트릭스를 이용한 표적시장의 선정 = 197 3) AID를 이용한 표적시장의 선정 = 198 3. 우리나라 매체 수용자의 특성 = 202 1) 매체에 대한 일반적인 태도 = 204 2) 매체별 접촉시간대 = 208 3) TV의 시청 행태 = 210 4) 라디오의 청취 행태 = 211 5) 신문의 구독 행태 = 213 6) 잡지의 구독 행태 = 213 7) 인터넷 이용 행태 = 214 8) 케이블TV와 스카이라이프의 시청 행태 = 215 9) DMB의 시청 행태 = 216 08 노출량 결정 1. 노출량 결정의 의미 = 221 2. 유효 빈도와 유효 도달률의 결정 = 226 1) 유효 빈도의 결정 = 226 2) 조셉 오스트로의 유효 빈도 결정방법 = 228 3) 로시터와 퍼시의 MEF 결정방법 = 233 4) 유효 도달률의 결정 = 237 09 노출매체 결정 1. 노출매체 결정의 의미 = 247 2. 매체 유형의 선택 = 248 1) TV의 장단점 = 250 2) 라디오의 장단점 = 251 3) 신문의 장단점 = 253 4) 잡지의 장단점 = 255 5) 옥외매체의 장단점 = 256 6) 교통매체의 장단점 = 257 7) DM의 장단점 = 258 8) 인터넷의 장단점 = 260 3. 매체 믹스 = 262 1) 상표재인형 = 264 2) 상표상기형 = 264 3) 저관여ㆍ정보제공형 = 265 4) 저관여ㆍ감정이입형 = 265 5) 고관여ㆍ정보제공형 = 266 6) 고관여ㆍ감정이입형 = 267 4. 매체 비히클의 선정 = 269 1) 효율성과 효과 = 271 2) 정성적 기준과 기타 요인 = 275 5. 매체별 광고주목도 = 282 1) 잡지 = 283 2) 신문 = 286 3) TV = 291 4) 라디오 = 292 5) 인터넷 = 293 10 노출지역 결정 1. 노출지역 결정의 의미 = 297 2. BDI와 CDI를 이용한 노출지역의 결정 = 298 3. 지역별 가중할당 = 302 1) 지역별 가중할당의 두 가지 방법 = 304 2) SOV = 306 3) 지역별 가중할당의 일반적 지침 = 308 4) 우리나라의 지역별 광고잠재력 = 308 11 노출시기 결정 1. 노출시기 결정의 의미 = 315 2. 광고노출시기와 광고효과의 연구 = 315 3. 광고노출시기의 결정 = 319 1) 월별 매출액 분석 = 319 2) 예산의 제한 = 321 3) 경쟁사의 광고활동 = 321 4) 상표의 마케팅목표 = 321 5) 제품의 가용성 = 322 6) 타 판촉활동상의 광고지원 강도 = 322 4. 매체운행 스케줄 = 322 1) 기본 스케줄 형태 = 323 2) 도달률 패턴 = 326 5. 노출시기 결정의 제약 조건 = 332 12 광고매체계획 수립 1. 광고매체계획의 구성요소 = 337 1) 마케팅ㆍ광고와 광고매체의 핵심적 구성요소 연결 = 337 2) 광고매체계획의 구성요소 = 341 2. 광고매체목표의 설정 = 342 3. 경쟁사 분석 = 344 4. 광고매체전략의 수립 = 346 1) 표적수용자 결정 = 346 2) 노출량 결정 = 347 3) 노출매체 결정 = 348 4) 노출지역 결정 = 349 5) 노출시기 결정 = 350 5. 요약 = 351 6. 대체안의 수립 = 351 7. 참고자료의 정리 = 352 13 매체계획 사례 1. 매체계획 사례 소개 = 355 2. ○○카드 매체계획안(사례1) = 357 1) Media Brief = 357 2) 타사 광고집행 현황 = 358 3) Media Mix = 359 4) TV전략 = 360 5) 케이블TV 전략 = 362 6) DMB 전략 = 362 7) OOH 전략 = 363 8) 예산 Summary & 일정 = 365 3. A학원 매체전략안(사례2) = 366 1) 문제의 접근 방법 = 366 2) 경쟁사 분석 = 367 3) 매체 목표 = 368 4) 매체 전략 = 369 5) 매체 스케줄링 = 375 6) 매체 예산안 = 376 4. 도미노 '쉬림푸스' 온라인매체 캠페인(사례3) = 377 1) 캠페인 개요 = 377 2) 매체 전략 = 378 3) 매체 믹스 = 386 4) 집행 매체 내역 = 387 5) 집행 위치 = 389 3부 광고매체구매 14 방송매체 1. 국내 광고비 현황 = 395 2. 방송매체 개황 = 398 3. 방송광고 업무 프로세스 = 400 4. 방송의 편성과 광고의 형태 = 402 1) TV방송광고 = 402 2) 라디오 방송광고 = 408 5. 방송광고 제약사항 = 411 6. 대행 수수료 = 412 7. 케이블TV = 414 1) 케이블TV의 산업구조 = 415 2) 광고매체로서 케이블TV의 특성 = 419 3) 케이블TV의 판매방식 및 요금 = 421 8. 위성방송 = 422 15 인쇄매체 1. 인쇄매체 개황 = 429 2. 인쇄광고 업무 프로세스 = 431 3. 인쇄매체의 종류 = 432 1) 신문 = 432 2) 잡지 = 434 4. 인쇄매체의 광고 유형 = 434 1) 신문 = 434 1) 잡지 = 436 5. 인쇄매체의 요금 = 441 6. 인쇄광고 집행 시 유의사항 = 443 16 OOH매체 1. OOH매체 개황 = 447 2. OOH매체 광고업무 프로세스 = 449 3. OOH매체의 종류 = 452 1) 옥외광고 = 453 2) 교통광고 = 456 3) 스포츠광고 = 457 4) 특수광고 = 459 5) 극장광고 = 459 4. OOH매체 요금 = 463 5. OOH매체 광고 제약사항 = 464 17 인터넷매체 1. 인터넷매체 개황 = 469 2. 인터넷매체의 종류 = 474 3. 인터넷 광고 업무 프로세스 = 472 4. 인터넷 광고의 종류 = 474 1) 배너 광고 = 474 2) 틈입형 광고 = 478 3) 콘텐츠형 광고 = 478 4) 이메일 광고 = 480 5) 텍스트 광고 = 481 6) 검색 광고 = 482 5. 인터넷 광고 발달사 = 483 1) 노출형 광고의 진화 = 485 2) 검색 광고의 현황 및 발전 방향 = 487 3) 동영상 광고의 확대 = 490 4) UCC의 활용 확대 = 492 5) 구전 마케팅 = 495 6) 다이렉트 이메일 광고 = 498 7) 게임 내 광고 = 500 6. 인터넷 광고의 요금 = 501 7. 인터넷 미디어렙 = 503 18 뉴미디어 1. 뉴미디어 개황 = 507 2. 모바일 광고 = 508 1) 모바일 광고의 시장 규모 = 508 2) 모바일 광고 분류 체계와 광고 상품 = 509 3) 모바일 매체의 새로운 수익 모델 = 521 3. DMB 광고 = 523 1) DMB 광고의 특징 = 523 2) DMB 광고시장 = 525 3) 지상파 DMB 광고요금 및 판매제도 = 527 4. IPTV 광고 = 530 1) IPTV와 시장전망 = 530 2) IPTV 광고의 특징과 유형 = 532 3) IPTV 광고 상품 = 535 5. 양방향 TV 광고 = 539 1) 양방향 TV 광고의 정의와 유형 = 539 2) 국내 플랫폼별 양방향 TV 광고 적용 모델 현황 = 548 3) 양방향 TV 광고효과 측정의 표준화 = 550 4) 양방향 TV 광고의 요금체계 = 553 19 매체효과분석 사례 1. 매체효과분석 사례 소개 = 559 2. ○○휴대폰 매체효과분석(사례1) = 560 1) 요약 = 560 2) 전파매체 집행 현황 = 562 3) 인쇄매체 집행 현황 = 563 4) 인터넷 집행 현황 = 564 5) OOH 집행 현황 = 567 6) 2010년 1월 미디어 주요 이슈 = 569 3. A브랜드 2008년 2/4분기 매체효과분석(사례2) = 570 1) 상반기 광고비 지출 현황 = 570 2) 도달효과 분석 = 571 3) TV CM 운영 = 574 4) 잡지 매체 운영 = 575 5) OOH 매체 운영 = 576 4. 도미노피자 '쉬림푸스' 온라인매체효과분석(사례3) = 578 1) 캠페인 개요 = 578 2) Reach & Frequency = 579 3) 반응 결과 = 581 4) 매체 평가 = 582 5) 결론 = 587 6) 부록 - 소재별 효과 비교 분석 = 587 참고문헌 = 589 찾아보기 = 5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