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723namcc2200241 c 4500 | |
001 | 000045615543 | |
005 | 20101029201825 | |
007 | ta | |
008 | 101028s2010 ulk b 000c kor | |
020 | ▼a 9788956911540 ▼g 93320 | |
040 | ▼d 211009 | |
082 | 0 4 | ▼a 352.35 ▼2 22 |
085 | ▼a 352.35 ▼2 DDCK | |
090 | ▼a 352.35 ▼b 2009z2 ▼c 2010.1 | |
100 | 1 | ▼a 신상훈 |
245 | 1 0 | ▼a 국가재정 위험요인분석 및 위험관리 방안연구 : ▼b 공공부채감사(audit of public debt)를 중심으로 / ▼d 신상훈 |
260 | ▼a 서울 : ▼b 감사연구원, ▼c 2010 | |
300 | ▼a 127 p. ; ▼c 26 cm | |
490 | 1 0 | ▼a 연구보고서 ; ▼v 2010-001 |
504 | ▼a 참고문헌(p. 107-111)과 부록수록 | |
830 | 0 | ▼a 연구보고서 (감사연구원) ; ▼v 2010-001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52.35 2009z2 2010.1 | Accession No. 11159760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표제지 발간사 / 염차배 목차 연구요약(Executive Summary) 6 제1장 머리말 28 제2장 공공재정 관리와 최고감사기구의 역할 변화 32 제1절 공공재정 관리의 개념과 목표 32 제2절 최고감사기구의 역할 변화 39 제3장 국가재정 위험과 재정 지속가능성 관리 43 제1절 재정위험의 개념 43 제2절 주요 재정위험요인 50 제3절 재정 지속가능성 관리 56 제4장 감사원의 국가재정 지속가능성 강화방안: 공공부채감사 74 1절 공공부채 성과감사를 통한 재정위험 관리 76 1. 공공부채의 지속가능성과 재정위험 관리 성과감사 78 2. 공공부채 관리체계의 적정성 감사 87 제5장 맺음말: 정책과제 92 참고문헌 96 부록: 공공부채 내부통제감사 및 재무감사 101 판권기 117 〈표 1〉 공공재정 관리체계: 중앙정부 9 〈표 2〉 공공재정 관리개혁 방향 10 〈표 3〉 재정위험 관리를 위한 최고감사기구의 감사전략 16 〈표 4〉 재정위험 유형 분류 및 주요 위험관리방안 16 〈표 5〉 공공부채 지속가능성 범위(emerging economies) 24 〈표 2-1〉 공공재정 관리체계: 중앙정부 35 〈표 2-2〉 공공재정 관리개혁 방향 39 〈표 3-1〉 공공부채의 유형분류 44 〈표 3-2〉 COSO 공공기관위험관리모델 47 〈표 3-3〉 ERM이 식별하는 위험유형 48 〈표 3-4〉 IMF 재정위험요인 식별조건 50 〈표 3-5〉 재정위험 유형 분류 및 주요 위험관리방안 58 〈표 3-6〉 OECD 우수 재정제도 기준 66 〈표 3-7〉 국가채무·국가부채통계 비교 68 〈표 3-8〉 국가재정 지속가능성 관리를 위한 공공부채통계 70 〈표 3-9〉 재정위험 관리를 위한 최고감사기구의 감사전략 73 〈표 4-1〉 공공부채 지속가능성 범위(emerging economies) 83 〈그림 1〉 재정위험과 위험요인 12 〈그림 3-1〉 재정위험과 위험요인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