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발간사 / 염차배
목차
제1장 서론 5
제1절 연구목적 5
제2절 연구내용 6
제2장 감사증거로서 전산데이터의 특성 8
제1절 전산데이터의 정의 및 특성 8
제2절 현행 공공부문의 전산데이터 신뢰수준 10
제3장 국내외 전산데이터의 신뢰성 점검현황 15
제1절 신뢰성 점검기준 15
제2절 해외 감사원의 신뢰성 점검절차 및 방법 17
제4장 전산데이터의 신뢰성 점검방법 및 절차 24
제1절 개요 24
제2절 계획단계 27
제3절 실시단계 30
제4절 보고단계 37
제5절 적용사례: 장애인고용부담금 데이터의 신뢰성 분석 39
제5장 결론 56
참고문헌 59
부록 61
판권기 64
〈표 3-1〉 NAO의 전산데이터 신뢰성 점검을 위한 질문사항 21
〈표 4-1〉 데이터 현황 파악을 위한 인터뷰 항목 30
〈표 4-2〉 데이터 현황 파악을 위한 요구자료목록 31
〈표 4-3〉 시스템 통제의 적정성 판단을 위한 질문항목 32
〈표 4-4〉 2005~2009년 부담금 관련 처분요구 유형 41
〈표 4-5〉 부담금별·연도별 처분요구 유형 41
〈표 4-6〉 장애인고용부담금 현황 42
〈표 4-7〉 부담금 운영보고서의 장애인고용부담금 현황 45
〈표 4-8〉 부담금 과·오납 현황 46
〈표 4-9〉 부담금 부과 및 징수 관련 외부기관 자료 확보 현황 47
〈표 4-10〉 분석대상 데이터 현황 49
〈표 4-11〉 칼럼별 오류 건수 및 오류율 51
〈표 4-12〉 상시근로자 수 및 장애인 근로자 수의 불일치율 52
〈표 4-13〉 상시근로자 수와 장애인 근로자 수의 차이 53
〈표 4-14〉 업무규칙(상시근로자 수 ≥ 장애인 근로자 수) 위반 현황 54
〈표 4-15〉 업무규칙(장애인 근로자 수=중증장애인 수 + 경증장애인 수) 위반 현황 54
〈표 4-16〉 장애인고용부담금 데이터의 신뢰성 점검결과 55
〈그림 2-1〉 우리나라 부문별/수준별 성숙단계 12
〈그림 2-2〉 공공부문의 수준별 성숙단계 12
〈그림 4-1〉 전산데이터 신뢰성 점검기준 및 내용 26
〈그림 4-2〉 전산데이터 신뢰성 점검절차 27
〈그림 4-3〉 문제유형별 데이터 분석방법 35
〈그림 4-4〉 장애인 근로자 주민번호를 잘못 입력한 화면 44
〈그림 4-5〉 부담금 산정 테이블의 상시근로자 수 분포 50
〈그림 4-6〉 테이블별 상시근로자 수 및 장애인 근로자 수의 일치도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