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 소개 = 5
머리말 = 6
서문 = 8
제1장 번역교육: 연구에서 교실로 = 21
1. 이 책의 목적 = 22
2. 번역학과 이 책 = 25
3. 이 책과 번역학 관련 문헌 = 30
4. 이 책의 구성 = 31
주석 = 33
제2장 번역 연구의 기초 = 35
1. 번역 과정의 이론적 모델: 번역 이론과 번역 훈련의 기능주의 = 35
1.1 서문: 번역 유형론과 번역 이론의 역할 = 36
1.2 기능주의적 접근법: 스코포스 이론 = 40
2. 번역교육론 연구 = 62
2.1 번역교육의 이론적 모형과 연구 목표 = 62
2.2 번역 능력에 대하여: 경험적 증거 = 75
3. 번역교육론에서 번역가의 사회적 차원 = 86
4. 언어 교수법과 번역교육 = 90
5. 비번역 특정 이론 모형 = 94
핵심어/요약/생각해 볼 문제/주석 = 99
제3장 교과목 설계 = 103
1. 서문 = 103
2. 교사와 학생의 역할 = 106
3. 교과목 구성요소 = 114
3.1 전자우편 목록 및 토론 그룹 = 114
3.2 교실 토론과 참여 = 124
3.3 이론 = 127
3.4 번역 도구 = 131
3.5 번역 과제: 포트폴리오 = 138
3.6 번역 활동 = 140
3.7 수정 = 142
3.8 번역 과제: 번역 프로젝트 = 143
4. 표본 교수계획표 = 144
핵심어/요약/생각해 볼 문제/주석 = 149
제4장 수업 자료 만들기 = 153
1. 서문 = 153
1.1 개관 = 153
1.2 일반적인 수업 기술 = 154
2. 번역 활동 = 156
2.1 예비 활동 = 156
2.2 의사소통적인 번역 수업을 위한 지침 과제 만들기 = 160
텍스트 견본 1 = 164
텍스트 견본 2 = 179
텍스트 견본 3 = 193
텍스트 견본 4 = 206
3. 문학번역 수업 설계 시 유의할 점 = 220
4. 비번역 특정 수업 = 226
4.1 이론 수업 견본 1 = 227
4.2 이론 수업 견본 2 = 237
5. 번역 도구 장치 = 244
핵심어/요약/생각해 볼 문제/주석 = 246
제5장 평가와 오류 = 249
1. 서문: 오늘날의 평가와 사정 = 249
2. 번역 테스트 작업에서 기술 평가와 품질 평가를 위한 예비사항 = 253
2.1 품질 평가의 목적 = 253
2.2 품질 평가의 대상 = 256
2.3 테스트 평가와 교수계획표/교과 과정 = 259
2.4 시험 형식 = 261
2.5 평가 기준 = 264
3. 번역 테스트를 위한 채점 기준 = 268
3.1 채점 기준의 개발 = 268
3.2 텍스트와 테스트에 대한 채점 기준의 적용 = 278
4. 의사소통적 번역 수업을 위한 테스트 작성 = 294
4.1 테스트를 위한 적응 활동 = 294
4.2 다른 테스트 형식의 개발 = 301
핵심어/요약/생각해 볼 문제/주석 = 306
참고문헌 = 309
역자 후기 = 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