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사회구조와 행위 : 거시적 현상의 미시적 기초를 찾아서 개정 증보판

사회구조와 행위 : 거시적 현상의 미시적 기초를 찾아서 개정 증보판 (1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용학
서명 / 저자사항
사회구조와 행위 : 거시적 현상의 미시적 기초를 찾아서 / 김용학
판사항
개정 증보판
발행사항
서울 :   사회비평사,   1996  
형태사항
365 p. : 도표 ; 23 cm
총서사항
사회비평신서 ;33
ISBN
8930070337
서지주기
참고문헌(p. 327-357)과 색인, 부록수록
000 00722camcc2200253 c 4500
001 000045615167
005 20101025171700
007 ta
008 101025s1996 ulkd b 001c kor
020 ▼a 8930070337 ▼g 03300
035 ▼a (KERIS)BIB000005439420
040 ▼a 244021 ▼c 244021 ▼d 211009
082 0 4 ▼a 301.01 ▼2 22
085 ▼a 301.01 ▼2 DDCK
090 ▼a 301.01 ▼b 1996b1
100 1 ▼a 김용학 ▼0 AUTH(211009)31832
245 1 0 ▼a 사회구조와 행위 : ▼b 거시적 현상의 미시적 기초를 찾아서 / ▼d 김용학
250 ▼a 개정 증보판
260 ▼a 서울 : ▼b 사회비평사, ▼c 1996
300 ▼a 365 p. : ▼b 도표 ; ▼c 23 cm
440 0 0 ▼a 사회비평신서 ; ▼v 33
504 ▼a 참고문헌(p. 327-357)과 색인, 부록수록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1.01 1996b1 등록번호 11159518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용학(지은이)

미국 시카고대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연세대 제18대 총장을 역임했다. 현재 연세대 명예교수이자, SK텔레콤 사외이사와 삼성생명 공익재단 이사로 재임 중이다.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사회 연결망 이론과 사회 연결망 분석을 연구했으며, 대통령 자문 정책기획위원회, 교육부 대학 설립위원회, 교육부 BK 기획위원회 등에서 활동하였다.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부편집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Sage에서 출간하는 〈Rationality and Society〉 국제편집위원으로 봉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학술원 우수도서로 선정된 《사회 연결망 분석》(개정 3판)과 문화관광부 우수도서로 선정된 《사회 연결망 이론》을 비롯하여, 《네트워크 사회의 빛과 그늘》, 《사회구조와 행위》(개정 3판), 《비교사회학》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책 머리에 = 7
제1부 방법론적 문제 제기 = 15
 제1장 서론 = 17
 제2장 이론의 방법론적 분류와 통합 이론의 필요성 = 31
  1. 설명의 논리적 구조 = 32
   1) 기능주의 = 33
   2) 구조주의 = 47
   3) 심리학주의 설명의 논리틀 = 58
   4) 제도적 개인주의의 설명틀 = 62
제2부 맑시즘과 분석 맑시즘, 그리고 행위 = 75
 제3장 방법론 논쟁을 통해 본 맑스의 재해석 = 95
  1. 머리말 = 95
  2. 기능주의 = 97
   1) 기능주의의 설명논리 : 목적론과 기능론 = 97
   2) 기능주의에 의한 맑스 해석 = 99
  3. 방법론적 개인주의 = 109
   1) 의도적 설명과 합리적 설명의 논리틀 = 109
   2) 맑시즘의 방법론적 개인주의 해석 = 114
  4. 논쟁의 중요 쟁점과 의미 = 121
  5. 맺는말 = 129
 제4장 분석 맑시즘에 대한 한 변론 = 131
  1. 머리말 = 131
  2. 구조의 미시적 기초와 맑시즘 = 134
  3. 맑스의 이론에서 미시적 기반을 찾는 두 가지 방법 : 합리성과 의도성 = 140
   1) 모순의 미시적 근거 = 141
   2) 국가 이론의 미시적 근거 = 144
   3) 이데올로기론의 미시적 근거 = 146
  4. 맺는말 = 150
제3부 혁명과 집합행위에서의 구조와 행위자 = 153
 제5장 혁명 이론에서의 구조와 행위 = 159
  1. 머리말 = 159
  2. 혁명 이론의 분석을 위한 방법론적 틀의 제시 = 160
  3. 혁명 이론의 분류 = 164
   1) 묘사적-설명적 반환원론 = 164
   2) 묘사적-설명적 환원론 = 172
   3) 묘사적 반환원론-설명적 환원론 : 제도적 개인주의적 혁명 이론 = 173
  4. 맺는말 = 186
 제6장 집합행위의 미시적 근거 = 187
  1. 문제의 제기 = 188
  2. 도구적 합리성과 집합행위 = 191
  3. 집합행위와 가치 합리성 = 201
  4. 맺는말 = 207
제4부 조직 이론과 사회 연결망 이론 = 209
 제7장 조직 이론에서 구조와 행위 = 215
  1. 머리말 = 215
  2. 조직군 생태학 이론의 논리틀 = 217
  3. 방법론 비판 = 221
   1) 조직 형태 = 221
   2) 선택 기준 = 223
   3) 환경 = 229
  4. 조직군 생태학 이론가들의 반론 = 232
  5. 대안틀의 제시 : 이단계 선택 모형 = 239
  6. 맺는말 = 247
 제8장 구조적 행위 이론으로서의 사회 연결망 이론 = 249
  1. 사회 연결망 이론과 발현적 속성 = 250
  2. 구조적 행위 이론 = 251
   1) 사회 연결망 이론에서의 구조와 행위의 이중성 = 252
   2) 위계적 연결의 첫번째 예 = 255
   3) 위계적 연결의 두번째 예 = 257
   4) 사회 연결망의 발현을 설명하는 수학 모델 = 260
  3. 사회 연결망의 관계성 분석의 접근법 = 265
   1) 중심-주변부 연결망 체계와 구조적 권력 = 268
  4. 맺는말 = 276
 제9장 결론 = 279
부록 = 283
도움받은 글 = 287
찾아보기 = 31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