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 머리에 = 7
제1부 방법론적 문제 제기 = 15
제1장 서론 = 17
제2장 이론의 방법론적 분류와 통합 이론의 필요성 = 31
1. 설명의 논리적 구조 = 32
1) 기능주의 = 33
2) 구조주의 = 47
3) 심리학주의 설명의 논리틀 = 58
4) 제도적 개인주의의 설명틀 = 62
제2부 맑시즘과 분석 맑시즘, 그리고 행위 = 75
제3장 방법론 논쟁을 통해 본 맑스의 재해석 = 95
1. 머리말 = 95
2. 기능주의 = 97
1) 기능주의의 설명논리 : 목적론과 기능론 = 97
2) 기능주의에 의한 맑스 해석 = 99
3. 방법론적 개인주의 = 109
1) 의도적 설명과 합리적 설명의 논리틀 = 109
2) 맑시즘의 방법론적 개인주의 해석 = 114
4. 논쟁의 중요 쟁점과 의미 = 121
5. 맺는말 = 129
제4장 분석 맑시즘에 대한 한 변론 = 131
1. 머리말 = 131
2. 구조의 미시적 기초와 맑시즘 = 134
3. 맑스의 이론에서 미시적 기반을 찾는 두 가지 방법 : 합리성과 의도성 = 140
1) 모순의 미시적 근거 = 141
2) 국가 이론의 미시적 근거 = 144
3) 이데올로기론의 미시적 근거 = 146
4. 맺는말 = 150
제3부 혁명과 집합행위에서의 구조와 행위자 = 153
제5장 혁명 이론에서의 구조와 행위 = 159
1. 머리말 = 159
2. 혁명 이론의 분석을 위한 방법론적 틀의 제시 = 160
3. 혁명 이론의 분류 = 164
1) 묘사적-설명적 반환원론 = 164
2) 묘사적-설명적 환원론 = 172
3) 묘사적 반환원론-설명적 환원론 : 제도적 개인주의적 혁명 이론 = 173
4. 맺는말 = 186
제6장 집합행위의 미시적 근거 = 187
1. 문제의 제기 = 188
2. 도구적 합리성과 집합행위 = 191
3. 집합행위와 가치 합리성 = 201
4. 맺는말 = 207
제4부 조직 이론과 사회 연결망 이론 = 209
제7장 조직 이론에서 구조와 행위 = 215
1. 머리말 = 215
2. 조직군 생태학 이론의 논리틀 = 217
3. 방법론 비판 = 221
1) 조직 형태 = 221
2) 선택 기준 = 223
3) 환경 = 229
4. 조직군 생태학 이론가들의 반론 = 232
5. 대안틀의 제시 : 이단계 선택 모형 = 239
6. 맺는말 = 247
제8장 구조적 행위 이론으로서의 사회 연결망 이론 = 249
1. 사회 연결망 이론과 발현적 속성 = 250
2. 구조적 행위 이론 = 251
1) 사회 연결망 이론에서의 구조와 행위의 이중성 = 252
2) 위계적 연결의 첫번째 예 = 255
3) 위계적 연결의 두번째 예 = 257
4) 사회 연결망의 발현을 설명하는 수학 모델 = 260
3. 사회 연결망의 관계성 분석의 접근법 = 265
1) 중심-주변부 연결망 체계와 구조적 권력 = 268
4. 맺는말 = 276
제9장 결론 = 279
부록 = 283
도움받은 글 = 287
찾아보기 = 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