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부 이론적 접근
제1장 인간행동ㆍ사회환경ㆍ사회복지 = 19
1.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교과목의 위상 = 21
1) 사회복지 교육의 전제 가치 = 22
2) 사회복지 교육의 목적 = 22
3) 사회복지학 교과과정 영역과 교육 내용 = 23
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교과목의 위상 = 25
2. 인간행동의 이해 = 27
1) 인간행동 이해의 필요성 = 27
2) 인간행동의 의미 = 28
3) 인간행동 이해의 접근법 = 29
3. 사회환경의 이해 = 36
1) 사회환경 이해의 필요성 = 36
2) 사회환경의 의미 = 37
3) 사회환경 이해의 관점 = 40
4.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41
1) 환경 속의 인간(PIE) 개념 = 41
2) 다중체계 개념 = 42
3) 체계영향 모델 = 45
4) 사회체계와 사회복지실천 = 48
5) 새로운 패러다임의 활용 = 53
제2장 정신역동이론 = 61
1. 프로이트 이론 = 63
1) 프로이트의 생애와 인간관 = 63
2) 주요 개념 = 65
3) 심리성적 발달단계 = 70
2. 에릭슨 이론 = 73
1) 에릭슨의 생애와 심리사회학적 관점 = 73
2) 주요 개념 = 74
3) 에릭슨의 발달단계 = 75
3. 기타 정신역동이론 = 80
1) 아들러와 개인심리학 = 80
2) 융과 분석심리학 이론 = 85
4. 정신역동이론과 사회복지실천 = 89
제3장 인지행동이론 = 95
1. 행동주의 이론 = 97
1)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형성이론 = 98
2)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이론 = 101
3)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 104
2. 인지주의 이론 = 108
1)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 109
2) 벡의 인지이론 = 113
3) 엘리스의 인지이론 = 116
3. 인지행동이론과 사회복지실천 = 120
제4장 인본주의 이론 = 125
1. 인본주의 이론의 역사적 배경 = 127
2. 인본주의 이론의 주요 이론 = 129
1) 로저스의 인간중심 치료 = 129
2) 매슬로의 욕구위계이론 = 133
3) 게슈탈트 이론 = 138
4) 실존주의적 접근 = 141
3. 인본주의 이론과 사회복지실천 = 146
제5장 생태체계이론 = 151
1. 일반체계이론 = 153
1) 일반체계이론의 주요 개념 = 154
2) 체계이론의 인간관 = 157
3) 사회체계의 유형 = 158
4)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체계이론의 기여 = 163
2. 생태학 이론 = 164
1) 생태학 이론의 체계 구성 = 165
2) 체계의 상호작용 = 168
3. 생태체계이론 = 169
1) 생태체계이론의 구성 = 169
2) 생태체계이론의 주요 개념 = 171
4. 생태체계이론과 사회복지실천 = 180
1) 사정도구로서 생태체계이론 = 180
2) 실천 모델로서 생활 모델 = 182
제2부 생애주기적 접근
제6장 생애주기와 사회복지실천 = 191
1. 생애주기와 발달단계의 이해 = 193
1) 인간의 발달에 관한 이해 = 193
2) 생애주기와 발달단계의 의미 = 196
3) 생애주기 관점의 중요성 = 198
2. 인간발달 단계에 관한 동양의 견해 = 201
1) 인간발달 단계에 관한 동서양 견해 차이 = 201
2) 동양의 인간발달 이론 = 207
3. 생애주기와 사회복지실천 = 211
1) 생애주기이론과 사회복지실천의 관계 = 211
2) 인간발달 단계이론의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 213
제7장 태아기ㆍ신생아기 = 219
1. 태아기ㆍ신생아기의 정의 = 221
2. 태아기ㆍ신생아기의 발달적 특성과 영향요인 = 222
1) 발달적 특성 = 222
2) 태아와 신생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30
3. 사회환경과 사회복지실천 = 235
1) 미시 수준 = 235
2) 거시 수준 = 238
제8장 영아기 = 245
1. 영아기의 정의 = 247
2. 영아기의 발달적 특성과 발달과업 = 248
1) 발달적 특성 = 248
2) 발달과업 = 262
3. 영아기의 사회환경과 사회복지실천 = 264
1) 미시 수준 = 264
2) 거시 수준 = 267
제9장 학령전기 = 275
1. 학령전기의 정의 = 277
2. 학령전기의 발달적 특성과 발달과업 = 278
1) 발달적 특성 = 278
2) 발달과업 = 291
3. 학령전기의 사회환경과 사회복지실천 = 294
1) 미시 수준 = 294
2) 거시 수준 = 299
제10장 아동기 = 309
1. 아동기의 정의 = 311
2. 아동기의 발달적 특성과 발달과업 = 313
1) 발달적 특성 = 313
2) 발달과업 = 322
3. 아동기의 사회환경과 사회복지실천 = 326
1) 미시 수준 = 326
2) 거시 수준 = 330
제11장 청소년기 = 339
1. 청소년기의 정의 = 341
2. 청소년기의 발달적 특성과 발달과업 = 344
1) 발달적 특성 = 344
2) 발달과업 = 353
3. 청소년기의 사회환경과 사회복지실천 = 358
1) 미시 수준 = 358
2) 거시 수준 = 363
제12장 청년기 = 371
1. 청년기의 정의 = 373
2. 청년기의 발달적 특성과 발달과업 = 374
1) 발달적 특성 = 374
2) 발달과업 = 378
3. 청년기의 사회환경과 사회복지실천 = 387
1) 미시 수준 = 387
2) 거시 수준 = 392
제13장 장년기 = 401
1. 장년기의 정의 = 403
2. 장년기의 발달적 특성과 발달과업 = 403
1) 발달적 특성 = 403
2) 발달과업 = 407
3. 장년기의 사회환경과 사회복지실천 = 416
1) 미시 수준 = 416
2) 거시 수준 = 420
제14장 노년기 = 429
1. 노년기의 정의 = 431
2. 노년기의 발달적 특성과 발달과업 = 432
1) 발달적 특성 = 432
2) 발달과업 = 438
3. 노년기의 사회환경과 사회복지실천 = 445
1) 미시 수준 = 445
2) 거시 수준 = 450
찾아보기 = 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