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1215camcc2200349 c 4500 | |
001 | 000045614887 | |
005 | 20101026092136 | |
007 | ta | |
008 | 101022s2010 ulk b 000c kor | |
020 | ▼a 9788979660777 ▼g 03300 | |
020 | 1 | ▼a 9788979660626(세트) |
035 | ▼a (KERIS)BIB000012179293 | |
040 | ▼a 241027 ▼c 241027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31 ▼2 22 |
085 | ▼a 331 ▼2 DDCK | |
090 | ▼a 331 ▼b 2010z1 | |
100 | 1 | ▼a Dunn, Bill ▼0 AUTH(211009)42526 |
245 | 1 0 | ▼a 세계화와 노동계급 / ▼d 빌 던 , ▼e 크리스 하먼 지음 ; ▼e 최용찬 , ▼e 차승일 , ▼e 김영재 옮김 |
260 | ▼a 서울 : ▼b 책갈피, ▼c 2010 | |
300 | ▼a 128 p. ; ▼c 19 cm | |
440 | 0 0 | ▼a 책갈피 문고. ▼p 오늘날의 마르크스주의 ; ▼v 08 |
500 | ▼a 감수: 이수현, 최일붕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505 | 0 0 | ▼t 세계화와 신경제라는 신화 = Myths of globalisation and the new economy / ▼d Bill Dunn ; ▼e 최용찬 역 -- ▼t 세계의 노동계급 = The workers of the world / ▼d Chris Harman ; ▼e 김영재, ▼e 차승일 역 |
700 | 1 | ▼a Harman, Chris, ▼e 저 ▼0 AUTH(211009)22181 |
740 | 2 | ▼a Myths of globalisation and the new economy |
740 | 2 | ▼a Workers of the world |
900 | 1 0 | ▼a 던, 빌, ▼e 저 |
900 | 1 0 | ▼a 하먼, 크리스,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 2010z1 | 등록번호 11159703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 2010z1 | 등록번호 11160903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오늘날의 마르크스주의 8권. 세계화 때문에 자본은 무소불위의 힘을 갖게 되고 노동계급은 무력해지는가? 이 책은 세계화와 신경제, 탈산업화, 비물질 노동과 다중, 노동귀족 등에 관한 신화를 파헤치면서 오늘날 세계 노동계급의 현실을 살펴보고 노동운동의 전망과 과제를 모색한다. 특히 자본의 이동성과 지역 재배치, 그것이 국가의 능력, 기업 구조조정, 노동의 성격 변화에 미친 영향을 꼼꼼히 살핀다.
세계화 때문에 자본은 무소불위의 힘을 갖게 되고 노동계급은 무력해지는가? 이 책은 세계화와 신경제, 탈산업화, 비물질 노동과 다중, 노동귀족 등에 관한 신화를 파헤치면서 오늘날 세계 노동계급의 현실을 살펴보고 노동운동의 전망과 과제를 모색한다. 특히 자본의 이동성과 지역 재배치, 그것이 국가의 능력, 기업 구조조정, 노동의 성격 변화에 미친 영향을 꼼꼼히 살핀다.
빌 던은 “세계화와 신경제라는 신화”에서 자본이 고임금과 강성 노조를 피해 이동할 수 있고 실제로 이동했지만 그 이동의 정도는 세계화론자들이 주장하는 것보다 훨씬 미미하다는 것을 밝힌다. 또, 세계화로 국가가 쇠퇴하기는커녕 국가는 여전히 계급투쟁의 핵심적 영역이며 그 경제적 구실이 쇠퇴했다는 증거도 거의 없다고 주장한다.
크리스 하먼은 “세계의 노동계급”에서 노동계급이 사라지고 있다거나 고용이 ‘북반구’의 옛 공업 경제에서 ‘남반구’의 농업 경제로 대거 이동했다거나 ‘비물질’ 상품생산의 확대로 사회의 계급 구조에 급격한 변화가 일어났다는 생각이 어떻게 현실과 불일치하는지 보여 준다. 또, 노동계급을 단지 ‘다중’이나 ‘민중’의 일부로만 여겨 체제에 맞선 투쟁에서 고유한 중요성이 없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고 역설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크리스 하먼(지은이)
영국 사회주의노동자당(SWP) 중앙위원이자 〈소셜리스트 워커〉와 《인터내셔널 소셜리즘》의 편집자였다. 런던대학교 정치경제대학에서 박사과정을 이수하던 중 전 세계가 들썩인 1968년에 주도적 학생 활동가로 사회운동에 투신하면서 학자로서의 경력을 중단했다. 그 후 40여 년간 마르크스주의 활동가로 활약했으며,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이기도 했다. 2009년 카이로에서 이집트 시민·사회단체들이 개최한 포럼에 연사로 참가하던 중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민중의 세계사》, 《크리스 하먼 선집》, 《좀비 자본주의》 등이 있다.
빌 던(지은이)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대학교 정치경제학부 교수. 주로 현대 세계 정치경제와 마르크스주의를 연구하고 있다. 최근에 쓴 책으로는 ≪세계의 구조조정과 노동자 파워(Global Restructuring and the Power of Labour)≫가 있고 ≪“연속혁명/평가와 전망” 출간 100주년 기념 논설집(100 Years of Permanent Revolution: Results and Prospects)≫을 공동 편집했고, 그 밖의 많은 글을 썼다.
차승일(옮긴이)
고려대학교 법대를 졸업하고 번역가와 편집자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인종차별과 자본주의》, 《마르크스, 자본주의의 비밀을 밝히다》, 《오바마의 아프팍 전쟁》, 《이란의 여성, 노동자, 이슬람주의》(공역), 《세계화와 노동계급》(공역) 등이 있고, 엮은 책으로 《사회주의의 진정한 의미를 찾아서》, 《그리스 외채 위기와 시리자의 부상: 좌파 정부는 긴축을 끝낼 수 있는가》 등이 있다.
최용찬(옮긴이)
공공운수노조 전 정책 담당자. 유럽의 위기와 긴축에 맞선 저항에 관한 글을 썼고, 《좀비 자본주의》 공역자다.
김영재(옮긴이)
<시민의 신문>, 민주노총 기관지 <노동과 세계>, 월간지 ≪우리교육≫에서 기자로 일했고, 전국사무금융노동조합연맹에서 교육선전부장으로 일했다. 현재는 한국교원대학교 일반사회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이다.

목차
목차 세계화와 신경제라는 신화 / 빌 던 = 7 자본의 지역 재배치의 한계 = 10 국가의 쇠퇴와 '민주주의 결손' = 19 노동자와 신경제 = 23 노동의 성격 변화 = 29 조직화와 조직화 실패 = 36 후주 = 40 참고 문헌 = 44 세계의 노동계급 / 크리스 하먼 = 48 세계적 상황 = 53 계급의 동역학 = 55 탈산업화 신화 = 58 공업과 서비스업 = 60 비시장 서비스 부문의 성격 = 63 서비스 노동의 성격 = 67 유연화와 노동계급 = 72 즉각적 이전이라는 신화 = 77 고용 패턴 - 세계 노동계급과 "제3세계" = 85 비공식 부문의 경제학과 정치학 = 91 부문들 사이의 상호작용 = 97 마킬라도라 = 106 결론 = 116 후주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