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95camcc2200253 c 4500 | |
001 | 000045614857 | |
005 | 20101025204906 | |
007 | ta | |
008 | 101022s2010 ulk 001c kor | |
020 | ▼a 9788995369357 ▼g 03340 | |
035 | ▼a (KERIS)BIB000012172555 | |
040 | ▼a 244006 ▼c 244006 ▼d 244006 ▼d 211009 | |
082 | 0 4 | ▼a 324.22 ▼2 22 |
085 | ▼a 324.22 ▼2 DDCK | |
090 | ▼a 324.22 ▼b 2010 | |
100 | 1 | ▼a 이철희, ▼d 1964- ▼0 AUTH(211009)54963 |
245 | 1 0 | ▼a 이기는 정치 소통의 리더십 / ▼d 이철희 지음 |
260 | ▼a 서울 : ▼b 너울북, ▼c 2010 | |
300 | ▼a 430 p. ; ▼c 23 cm | |
500 | ▼a 색인수록 | |
500 | ▼a 이 책은 『디브리핑』의 제목을 바꾼것임 | |
740 | 2 | ▼a 디브리핑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4.22 2010 | Accession No. 11159693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4.22 2010 | Accession No. 11159693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4.22 2010 | Accession No. 15129413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4.22 2010 | Accession No. 11159693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4.22 2010 | Accession No. 11159693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4.22 2010 | Accession No. 15129413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줄거리
강인한 성품의 특수부대 중위 이정출은 돌발적인 살인죄로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복역하게 된다. 그리고 문세광의 8·15 저격사건을 계기로 북파공작원이 되어 활동하지만 정치적 상황이 바뀌자 중앙정보부의 하부단위 공작원으로 이용당한다. 그러던 중 정치적으로 궁지에 몰린 중앙정보부는 이정출에게 장준하의 암살을 지시한다. 그러나 이정출은 장준하 암살에 의도적으로 실패하고 결국 이를 눈치 챈 중정에 의해 죽음의 길로 내몰리게 된다. 극적으로 이를 탈출한 이정출은 결국 도피처로 절을 택한다. 그리고 일타 스님을 만나 마음에 큰 울림을 받고 ‘존재’에 눈을 떠간다. 나아가 더 안전한 도피를 위해 가짜중 노릇을 하게 된다.
가짜중이 되어 전국을 떠돌면서 자연스레 참선과 명상, 그리고 노동으로 수행을 하고, 성철 스님과의 만남을 통해 큰 자각을 한다. 그러다가 1980년 무등산 주유 중 5·18을 만나 시민들과 함께 역사의 현장에 휩쓸리게 되는데…….
한편 장준하는 결국 의문의 죽음을 당하게 되고, 이때 장준하가 관여했던 고아원을 헌신적으로 돌보아 오던 유민정 선생은 그의 죽음과 함께 고아원에 대한 모든 책임을 떠맡게 된다. 맑은 마음과 사물의 본질을 꿰뚫는 시각을 지닌 유민정이었지만, 원생들의 배고픔을 해결하기 위해 백방으로 노력하다가 여자로서 겪어서는 안될 비참한 상황을 맞는다.
이정출은 장준하 사망 이후 그에 대한 마음의 빚을 청산하기 위해 자신의 신분을 감춘 채 그 고아원을 돌보게 되고, 고아원에서 만난 유민정과 이정출은 서로 상대에게 커다란 위안이 되면서 사랑의 감정을 느끼게 된다.
한편 유민정은 자신의 몸을 희생당한 대가로 우여곡절 끝에 거금을 손에 쥐게 되고 고아원 아이들의 배고픔을 해결하게 된다. 그러자 몇 년 동안 소식이 없는 이정출을 찾아 나서고, 그 도중에 성철 스님을 만나 출가를 권유받고 고민 끝에 출가하는데…….
Information Provided By: :

Book Introduction
고 장준하 선생의 죽음을 둘러싼 의혹을 다룬 소설. 1947~1980년의 한국 사회를 배경으로 씌어진 장편소설이다. 문세광의 8.15 저격사건, 장준하의 의문사, 10.26, 5.18 등 역사의 소용돌이에 휘말리는 두 남녀의 파란만장한 삶을 그렸다. 폭압적인 독재정권 아래 전개되는 음모와 이변, 인간의 욕망이 남긴 파장과 후유증을 이야기하는 작품.
강인한 성품의 특수부대 중위 이정출은 돌발적인 살인죄로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복역하게 된다. 그리고 문세광의 8.15 저격사건을 계기로 북파공작원이 되어 활동한다. 하지만 정치적 상황이 바뀌자 중앙정보부의 하부단위 공작원으로 이용당한다.
정치적으로 궁지에 몰린 중앙정보부는 이정출에게 장준하의 암살을 지시한다. 그러나 이정출은 장준하 암살에 의도적으로 실패하고, 이를 눈치챈 중정에 의해 죽음의 길로 내몰리게 된다. 극적으로 탈출한 이정출은 가짜중이 되어 전국을 떠돌게 되고, 1980년 5월 18일 시민들과 함께 역사의 현장에 휩쓸리는데…
<몸의 노래>(1, 2)
- 장준하 선생은 의문사가 아니다 -
폭압적인 독재정권시절,
장준하 선생의 죽음을 둘러싼 권력의 비밀공작과 현대사의 질곡에 내던져진 한 인간의 굴곡진 삶을 다룬 소설!
암울했던 역사의 소용돌이에 휘말린 평범했던 두 남녀의 파란만장한 이야기를 통해,
물질과 욕망에 얽매어 ‘자신’을 잃어버린 현대인에게 ‘우리는 과연 무엇을
생각하고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라는 문제를 제기한다.
이 소설의 주요한 시대적 배경은 1974-1980년이다. 우리 현대사에서 권력의 원시성과 폭압성이 극에 달했던 시절이다. 이 암울했던 시절에 사람들은 어떤 삶을 살았을까? 권력과 물욕의 화신, 뚜렷한 역사의식을 지닌 사람, 삶의 목적과 의식이 확고한 사람, 평범한 보통사람 ……. 이 소설은 이런 사람들이 엮어 가는, 아니 이들이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얽히고설켜서 만들어 가는 역사의 과정과 삶의 굴곡을 역동적이면서 안타깝게 보여준다.
여느 시대와 마찬가지로, 유신으로부터 광주에 이르기까지 격동의 시대에도 한편에는 권력과 욕망을 위해 최소한의 양식마저도 버린 사람들과 그에 저항하는 사람들이 있었던 반면 다른 한편에는 권력과 전혀 상관없이 자신의 삶을 살아가는 평범한 사람들도 있었다. 하지만 이 모두는 촘촘히 짜여진 그물망처럼 서로 직간접의 영향을 주고받는 거대한 인드라망을 형성하고 있다.
이 소설의 남녀 주인공들도 마찬가지이다. 자신의 의지와 관계없이 질곡의 삶 속으로 끌려가는 이들의 모습은 인드라망 속에 놓인 인간 ‘존재’의 의미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한다. 음모와 이변, 우연과 필연, 만남과 이별, 독재와 민주, 권력자와 피권력자, 승과 속 등 수많은 인연들이 만들어 내는 인간세상의 거대한 인드라망 속에서 주인공들이 ‘나는 누구인가’라는 인간의 가장 원초적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이 소설은, 인간의 욕망이 남긴 파장과 후유증, 그리고 역동적으로 전개되는 남녀 주인공의 삶을 통해 인간의 내면을 심층적으로 파헤치고, 욕망의 덧없음과 아울러 영원성의 문제에 대한 성찰을 제기하고 있다. 아울러 자신의 욕망을 채우기 위해 다른 사람의 희생을 강요했던 사람들의 종말과 다양한 인간 군상들의 모습을 통해 인과의 문제에 대한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또한 정신적, 육체적으로 한계 상황에까지 몰린 주인공들이 방황의 끝에서 어떻게 벗어나고 안정을 되찾는지 보여줌으로써, 물욕에 지친 현대인들에게 대안의 또 다른 메시지를 던진다.
문세광의8·15저격사건, 장준하의 의문사,10·26,5·18 등 한국사회의 정치 지형을 바꾸는 사건들과 그 속에 내던져진 사람들의 이야기…. 다소 무거울 수 있는 주제와 소재이지만 복잡하지 않은 구도와 빠른 전개는 소설적 재미를 한껏 주면서도 문제의식을 놓치지 않고 있어 마치 한 편의 영화를 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5 제1장 빌 클린턴과 딕 모리스 1. '뺀질이'와 '총잡이'의 재회 = 19 그가 부를 때는 위기일 때다 = 19 클린턴과 모리스의 질긴 인연 = 20 여론조사의 목적은 '선택'이 아니라 '방법'을 찾는 것이다 = 22 "당신은 선거에서 대패할 것이요" = 26 2. 그가 다시 나타났다 = 29 당신의 재선(再選)에 정치인생을 걸겠소! = 29 모리스가 요구한 3가지 = 33 코드명 찰리(Charlie), 백악관 전략모임의 가동 = 35 카터 딜레마를 극복해야 한다 = 37 대통령이 망하는 길 - 대통령이 되지 말고 수상이 되라 = 40 지도자는 성공 때문에 몰락한다 = 42 깅리치 바람이 지나가도록 내버려 두라 = 45 힐러리를 대중 앞에 드러내자 = 47 3. 모리스의 행보와 전략 = 49 트렌트 로트와의 막후 거래 = 49 모리스 전략의 핵심 : 3각 통합주의 = 52 끊임없이 변하는 민심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위기탈출의 첫걸음이다 = 57 4. 95년 대통령 시정연설과 참모간 내부투쟁 = 60 잠깐만! = 60 '주되, 요구하는'(give but demand) 정치 = 62 중도로 이동하라 = 65 대통령을 요리하는 참모들의 힘 = 68 5. 모리스의 동맹정책과 클린턴의 중도노선 = 75 먼저 부통령과 연대하고, 연설문 작성자를 끌어들이다 = 75 "백악관을 정치 컨설턴트에게 넘겨 줄 수는 없다" = 80 전략가와 비서실장의 힘 겨루기 = 83 우파에 발목 잡힌 밥 돌 = 86 '전략가' 모리스가 '전술가' 스테파노풀러스와 협력체제를 구축하다 = 90 영부인 힐러리의 전폭적인 지원을 이끌어 내다 = 96 6. TV광고라는 비밀무기 = 99 광고를 통해 유권자에게 직접 다가가는 전략 = 99 대통령은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있어야 성공한다 = 102 모리스의 광고팀 = 105 예산전쟁에서 발휘된 광고의 위력 = 108 광고는 왜 성공했는가? = 111 7. 예산전쟁(budget war)의 시작과 끝 = 114 공화당의 정책을 훔쳐라 = 114 예산전쟁의 본질은 정치적 기반 확보 전쟁 = 116 세부사항을 직접 챙기는 클린턴의 스타일 = 119 문제는 타이밍이다 = 122 대통령의 허약성 이미지를 극복하라 = 125 마침내 정부가 문을 닫다 = 133 깅리치의 패착 = 139 예산전쟁에서 승리하다 = 142 8. 참모간 '최후의 전쟁'과 공화당의 당내 전쟁 = 145 당신이 모든 분파주의의 원흉이다 = 145 쫓겨나기 전에 먼저 떠나라 = 150 모리스의 새로운 활동방식 = 152 파월은 미국 언론의 산물 = 155 공화당의 당내 경선 레이스 = 160 돌, 상처뿐인 승리를 거두다 = 167 돌 진영의 쿠데타 및 내부투쟁 = 169 9. 승리의 핵심 : 가치 아젠다 = 180 '詩는 슬픔에 관한 것이고, 政治는 불만에 관한 것이다' = 180 가치 아젠다는 정밀한 여론조사의 산물 = 183 가치 아젠다의 백미 96년 시정연설과 돌의 정면대결 = 185 미국식의 여론조사와 미디어를 활용한 후보가 이겼다 = 188 10. 밥 돌의 승부수와 클린턴의 대응 = 192 밥 돌이 이길 수 있었던 길은? = 192 돌의 승부수에 대한 대응 = 196 공화당의 패인 = 203 11. 한 사람의 몰락과 다른 한 사람의 성공 = 208 나라가 제대로 가고 있습니까? = 208 전당대회 준비 = 212 제2장 토니 블레어와 필립 굴드 1. 수렁에 바진 노동당 = 219 전세계의 좌파정당 중에서 왜 영국 노동당만 패배하는가? = 219 노동당의 태생적 한계 = 222 피터 만델슨과 필립 굴드의 만남 = 224 키녹의 당 개혁은 시작되었으나…… = 224 SCA의 활동 = 233 이건 내가 입당했던 그 당이 아니야! = 235 장미와 가시 = 237 이미 뿌려진 패배의 씨앗 = 240 명예로운 패배 = 245 2. 기나긴 추락 = 251 노동당을 장사꾼에게 넘겨 줄 수 없다 = 251 포효하지 않는 사자 = 255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 259 두 사람을 잃은 것은 무관심의 결과였다 = 264 시련을 떨치기 위해 = 269 3. 사랑과 분노 = 275 세금 이슈 = 275 '제니퍼의 귀' = 277 키녹 총재 = 282 암흑 속으로 = 285 만년 야당으로 = 289 리틀록에서 보낸 4주 = 293 중산층의 꿈 = 297 다시 침체의 땅으로 = 300 '공포심 요인'(fear factor)과의 전쟁 = 306 4. 새로운 지도자와 함께 = 309 블레어의 등장 = 309 마침내 기회가 오고 = 313 총재 경선 = 316 新노동당(New Labour) 건설 = 321 5. 블레어의 노동당 살리기 = 329 '제3의 길' 등장 = 329 프로젝트 = 332 젊은 국가(the young country) = 336 6. 신뢰회복 = 339 아직 안심할 수 없다 = 339 공약(The pledges) = 342 노동당을 신뢰해야 하는 이유 = 347 구관이 명관 = 350 세금전쟁에서의 승리 = 352 7. 마침내 97년 총선은 시작되고 = 354 좋은 징후들 = 354 지도자와 참모 = 356 보수당의 내분 = 360 공약전쟁 = 362 유럽 이슈 = 365 비방과 폭로 = 369 마침내 승리하고 = 372 보수당의 캠페인 = 373 부록 : 캠페인 기술 = 377 후주 = 383 찾아보기 = 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