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55camcc2200241 c 4500 | |
001 | 000045614824 | |
005 | 20101025172348 | |
007 | ta | |
008 | 101022s2010 ulka b AZ 001c kor | |
020 | ▼a 9788920003912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2131970 | |
040 | ▼a 248003 ▼d 211009 | |
082 | 0 4 | ▼a 374 ▼2 22 |
085 | ▼a 374 ▼2 DDCK | |
090 | ▼a 374 ▼b 2010 | |
100 | 1 | ▼a 정민승 ▼0 AUTH(211009)36359 |
245 | 1 0 | ▼a 성인학습의 이해 / ▼d 정민승 지음 |
246 | 1 1 | ▼a Learning in adulthood |
260 | ▼a 서울 : ▼b 에피스테메 : ▼b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c 2010 | |
300 | ▼a 322 p. : ▼b 삽화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4 2010 | 등록번호 11159702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4 2010 | 등록번호 11159702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정민승 저자가 집필한 성인학습이론에 대한 포괄적 안내서이자 이론서이다. 평생교육 현장에서 성인학습자를 이해하기 위한 지침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다양한 성인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평생교육 현장의 실천가들이 학습과 평생교육, 나아가 삶과 인간에 대한 새로운 제안서로서 이 책을 활용할 수 있다.
이 책은 성인학습이론에 대한 포괄적 안내서이자 이론서이다. 성인의 학습자로서의 특성 및 학습과정에 대한 외국의 이론을 소개하고, 그간 우리나라에서 진행되어온 성인교육 관련 연구 성과를 정리하였다. 따라서 평생교육 현장에서 성인학습자를 이해하기 위한 지침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다양한 성인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성인학습에 대한 믿음과 실천은 인간이 경제적 존재 규정을 벗어나 존재적으로 의미충만하게 살아갈 수 있게 하는 일종의 전략이기도 하다. 평생교육 현장의 실천가들이 학습과 평생교육, 나아가 삶과 인간에 대한 새로운 제안서로서 이 책을 활용해 주길 바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책을 내면서 = 4 1장 성인학습 개념을 어떻게 볼 것인가 성인은 누구인가 = 19 우리나라에서 평생학습이 대두된 이유 = 23 성인학습의 개념적 함의 = 27 2장 생애발달과 성인학습 발달의 개념과 교육학적 위상 = 35 맥락적 관점의 도입 = 40 전생애적 발달과업과 생애주기론 = 46 3장 성인기의 인지적 발달 성인기 사고의 특징 = 65 성인기 지능 = 72 대표적인 성인지능 이론 = 77 4장 자기주도학습론 자기주도학습 이론의 흐름 = 95 방법으로서 자기주도학습 = 105 자기주도학습의 교육학적 의미 = 110 자기주도학습의 한계 = 112 5장 경험학습론 경험의 성인학습적 의미 = 123 콜브 : 경험학습의 전면화 = 126 자비스 : 일상의 복잡성으로 = 136 어셔ㆍ브리앙ㆍ존스턴 : 사회적 코드 도입 = 141 다시 생기는 의문 : 경험을 인증하는 것은 옳은 일인가 = 144 6장 성찰적 기술학습의 과정 전문가교육을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 = 151 전문적 기예의 두 요소 = 156 전문능력을 발전시키기 위한 교육적 자세 = 162 7장 상황학습의 구조 상황학습 이론은 왜 등장했을까 = 171 상황학습 개념과 근거 = 173 상황학습 사례 = 176 상황학습의 특징 = 188 8장 해방의 페다고지 프레이리 교육실천의 특징 = 203 프레이리의 교육철학 : 대화와 문제제기 교육 = 205 문화동아리 운영과 교육과정 = 210 학습자 의식화 과정 = 214 9장 비판이론과 성인학습 비판이론의 문제의식 = 225 비판이론과 학습중심적 패러다임 = 230 비판이론이 성인학습에 대해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 = 236 10장 전환학습의 이해 관점전환 이론의 단서 : 하버마스의 이론 = 251 전환학습의 이론화 : 메지로 = 256 전환학습 이론의 멘토링화 : 댈로즈 = 267 인격과 결합된 전환 : 융심리학의 결합 = 272 전환학습 이론의 의의 = 275 11장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여성의 경험에 대한 두 가지 접근 = 285 학습자에 대한 새로운 관점 = 293 학습찾기 = 311 찾아보기 = 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