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인간의 삶과 예술

인간의 삶과 예술 (Loan 1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광명 金光明, 1950-
Title Statement
인간의 삶과 예술 / 김광명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학연문화사,   2010  
Physical Medium
296 p. : 천연색삽화 ; 23 cm
ISBN
9788955082289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271-276)과 색인수록
000 00633camcc2200229 c 4500
001 000045614782
005 20101023120624
007 ta
008 101022s2010 ulka b 001c kor
020 ▼a 9788955082289 ▼g 93600
035 ▼a (KERIS)BIB000012179376
040 ▼a 211032 ▼d 211009
082 0 4 ▼a 700.1 ▼2 22
085 ▼a 700.1 ▼2 DDCK
090 ▼a 700.1 ▼b 2010z3
100 1 ▼a 김광명 ▼g 金光明, ▼d 1950- ▼0 AUTH(211009)113486
245 1 0 ▼a 인간의 삶과 예술 / ▼d 김광명 지음
260 ▼a 서울 : ▼b 학연문화사, ▼c 2010
300 ▼a 296 p. : ▼b 천연색삽화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271-276)과 색인수록
945 ▼a KLPA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00.1 2010z3 Accession No. 11159663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00.1 2010z3 Accession No. 11159663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700.1 2010z3 Accession No. 12119917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700.1 2010z3 Accession No. 12119917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00.1 2010z3 Accession No. 15129472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00.1 2010z3 Accession No. 11159663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00.1 2010z3 Accession No. 11159663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700.1 2010z3 Accession No. 12119917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700.1 2010z3 Accession No. 12119917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00.1 2010z3 Accession No. 15129472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김광명(지은이)

서울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미학을 전공했으며, 독일 뷔르츠부르크 대학 철학부에서 철학, 사회학, 심리학을 연구한 후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저술로는 『칸트 판단력비판 연구』, 『칸트미학의 이해』, 『칸트의 삶과 그의 미학』, 『칸트평전』, 『칸트 판단력 비판 읽기』 등이 있다. 한국 칸트학회 회장 및 고문, 숭실대학교 사회교육원장 및 인문대 학장을 역임하고, 미국 버지니아 대학 풀브라이트 교환교수를 지냈으며 제18회 서우학술상을 수상했고, 현재는 숭실대 철학과 명예교수로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책 머리에 = 4
제1장 인간의 자기이해를 위한 모색
 1.1 들어가는 말 = 13
 1.2 예술에 대한 사유와 인간 삶의 이해 = 15
 1.3 삶의 공간과 예술 = 21
 1.4 해체의 국면에서 정체성을 찾는 문제 = 28
 1.5 맺는 말 = 30
제2장 삶에 대한 이성적 태도: 서구 근대 이성과 미적 이성의 문제
 2.1 들어가는 말 = 35
 2.2 근대이성의 특성 = 36
 2.3 이성의 유추 혹은 유사이성으로서의 미적 이성 = 38
 2.4 미적 이성과 오성 = 41
 2.5 미적 이성과 구상력 = 44
 2.6 미적 이성과 합목적성 = 50
 2.7 미적 이성과 실천이성 = 52
 2.8 맺는 말 = 57
제3장 인간성 고양을 위한 미적 교육
 3.1 들어가는 말 = 61
 3.2 예술과 미적 교육 = 62
 3.3 미와 예술의 연관성 = 65
 3.4 인간 심성의 교화와 미적 문제 = 72
제4장 기성품에 대한 미적 이해: 뒤샹과 칸트 미학
 4.1 들어가는 말 = 79
 4.2 뒤샹의 삶과 예술 = 80
 4.3 미적 판단과 개념의 문제 = 86
 4.4 뒤샹 이후의 칸트: 모던에 대한 포스트모던적 모색 = 93
 4.5 맺는 말 = 103
제5장 작품해석에 있어서 언어성과 해석학적 경험의 문제
 5.1 들어가는 말 = 107
 5.2 작품 해석과 언어성 = 110
 5.3 작품해석에서의 의도와 관점 = 116
 5.4 해석학적 경험 = 124
제6장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6.1 들어가는 말 = 131
 6.2 활성화를 위한 제도 = 134
 6.3 문화예술의 현실과 이상 = 137
 6.4 지역에서의 문화예술교육 = 142
제7장 만남과 소통, 치유를 위한 예술
 7.1 인간이해를 위한 법과 예술의 만남: 서울북부지방법원 신청사에 설치한 미술품과 관련하여 = 149
 7.2 더 나은 삶을 위한 미적 소통 = 162
 7.3 치유(治癒)로서의 미술 = 165
제8장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미적 조망
 8.1 '눈과 정신'에 대한 이해 = 173
 8.2 눈으로 보고 마음으로 그리는 자연 - 소현(素玄) 이인실(李仁實)의 작품세계 = 176
 8.3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의 관계 - 콤플렉스에 대한 조형적 성찰: 서범석의 작품세계 = 183
 8.4 기억의 흔적을 통한 근원 탐구: 문주호의 작품세계 = 189
 8.5 일상 안의 질서와 조화 - 사물 속의 작은 우주: 최정숙의 예술세계 = 196
제9장 상징과 초월로서의 미
 9.1 의미의 압축과 상징으로서의 해저(海底) 이미지: 박복규의 작품과 예술세계 = 210
 9.2 해방과 초월의 의미 - 날개를 통한 비상(飛上): 김지현의 작품세계 = 216
 9.3 '빛'의 의미: 이호성의 작품세계 = 222
 9.4 생명에 대한 찬양: 강승애의 작품세계 = 227
제10장 해석과 표현
 10.1 물성(物性)에 대한 해석과 표현으로서의 조형세계: 조각가 백문기의 작품 = 237
 10.2 회화적 평면의 확장과 재해석: 김혜영의 작품세계 = 244
 10.3 생활 속의 소통을 위한 도자공예: 강흥석의 작품세계 = 251
 10.4 민화에 대한 해석을 통한 자기이해의 모색: 김지혜의 작품세계 = 255
 10.5 풍부한 양감과 절제된 균형의 아름다움: 민복진의 모자상(母子像)과 가족상(家族像) = 261
참고문헌 = 271
더 읽을거리 = 277
찾아보기 = 28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