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041camcc2200325 c 4500 | |
001 | 000045614100 | |
005 | 20101019185550 | |
007 | ta | |
008 | 101019s2009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57267158 ▼g 93740 | |
035 | ▼a (KERIS)BIB000011852953 | |
040 | ▼a 224010 ▼c 224010 ▼d 224010 ▼d 211009 | |
041 | 0 | ▼a kor ▼a eng |
082 | 0 4 | ▼a 420.7 ▼2 22 |
085 | ▼a 420.7 ▼2 DDCK | |
090 | ▼a 420.7 ▼b 2009z4 | |
245 | 0 0 | ▼a 영어 쓰기 교육론 : ▼b 원리와 적용 = ▼x Teaching of writing i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 priciples and classroom applications / ▼d 최연희 편저 |
260 |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09 ▼g (2010) | |
300 | ▼a xii, 319 p. : ▼b 삽화 ; ▼c 25 cm | |
500 | ▼a 저자 : 최연희, 전은실, 이경림, 김지은, 진수경, 박성희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546 | ▼a 본문은 한국어, 영어가 혼합수록됨 | |
700 | 1 | ▼a 최연희, ▼e 편 ▼0 AUTH(211009)52629 |
700 | 1 | ▼a 전은실, ▼e 저 |
700 | 1 | ▼a 이경림, ▼e 저 |
700 | 1 | ▼a 김지은, ▼e 저 |
700 | 1 | ▼a 진수경, ▼e 저 |
700 | 1 | ▼a 박성희,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20.7 2009z4 | 등록번호 11159673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20.7 2009z4 | 등록번호 11159673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최연희(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외국어교육과 영어교육전공 (학사) ·University of llinois 대학원 TESL (M.A.) ·University of llinois 대학원 응용언어학 (Ph.D.) ·전남대학교 영어교육과 전임강사/조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영어교육과 학과장, ·TESOL대학원/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원장 ·한국영어교육학회 회장 ·(현) 이화여자대학교 영어교육과 교수 ·영어과 교육론 1, 2 (편저) ·영어과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대안적 평가의 제작 ·영어 듣기 교육론: 원리와 적용 ·영어 읽기 교육론: 원리와 적용 (편저)

목차
목차 머리말 = 5 제1부 제1장 쓰기의 정의 및 성격 / 최연희(이화여자대학교) 1.1 쓰기 및 쓰기 과정 = 1 1.1.1 쓰기의 정의 = 1 1.1.2 쓰기 과정 = 3 1.2 쓰기의 목적 및 유형 = 5 1.3 쓰기 능력 및 전략 = 9 1.3.1 쓰기 능력 = 9 1.3.2 쓰기 전략 = 14 1.4 문자 언어와 구두 언어 = 15 1.5 모국어 쓰기와 외국어 쓰기의 차이 = 19 제2장 쓰기 지도 이론 / 최연희(이화여자대학교) 2.1 쓰기 구성 요인 = 28 2.2 쓰기 지도 접근법 = 29 2.2.1 형식 중심 접근법 = 30 2.2.2 필자 중심 접근법 = 38 2.2.3 내용 중심 접근법 = 46 2.2.4 독자 중심 접근법 = 47 제3장 쓰기에 관한 연구 / 전은실(경인여자대학) 3.1 쓰기 연구 방법론 = 69 3.1.1 연구의 종류 = 69 3.1.2 자료 수집 = 73 3.2 쓰기에 대한 연구 = 79 3.2.1 텍스트에 대한 연구 = 80 3.2.2 필자에 대한 연구 = 85 3.2.3 독자에 대한 연구 = 90 3.2.4 앞으로의 연구 분야 = 96 제2부 제4장 쓰기 지도의 원리 및 방안 / 최연희(이화여자대학교) ; 이경림(풍문여자고등학교) 4.1 쓰기 지도와 언어 학습 = 103 4.2 쓰기 지도 기본 원리 = 104 4.3 쓰기 교사의 역할 = 114 4.4 쓰기 지도 방안 = 119 4.4.1 알파벳 익히기 = 119 4.4.2 초급 단계 낱말 및 문장 쓰기 = 122 4.4.3 그림을 활용한 문장 만들기 = 126 4.4.4 통제 작문 = 128 4.4.5 유도 작문 = 134 4.4.6 텍스트를 활용한 쓰기 지도 = 139 4.4.7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쓰기 지도 = 147 4.4.8 의사 소통 중심 활동 = 159 4.4.9 과정 중심 쓰기 지도 = 161 4.4.10 장르 중심 쓰기 지도 = 171 제5장 대조 수사학 / 박성희(이화여자대학교) 5.1 대조 수사학의 발전 = 195 5.1.1 대조 수사학의 기원 = 195 5.1.2 대조 수사학의 발전에 영향을 준 이론들 = 198 5.2 대조 수사학을 이용한 쓰기 연구의 주요 연구 방법 = 200 5.3 대조 수사학을 이용한 쓰기 연구의 주요 분야 = 203 5.4 대조 수사학과 쓰기 교육: 시사점과 비판점 = 206 5.5 대조 수사학적 접근 방법을 이용한 쓰기 연구 = 210 5.5.1 한국어 관련 연구 = 210 5.5.2 중국어 관련 연구 = 212 5.5.3 일본어 관련 연구 = 213 5.5.4 기타 연구 = 214 5.6 21세기의 대조 수사학 = 218 제6장 읽기와 쓰기 통합 / 김지은(이화여자대학교) 6.1 읽기와 쓰기의 통합 = 225 6.2 읽기와 쓰기 통합 이론 = 228 6.2.1 Shanahan과 Lomax의 읽기와 쓰기 통합 모델 = 228 6.2.2 Eisterhold의 방향성 가설 = 231 6.3 읽기와 쓰기 통합 연구 = 235 6.3.1 모국어 읽기 쓰기 통합 연구 = 235 6.3.2 외국어 읽기 쓰기 통합 연구 = 239 6.4 읽기와 쓰기 통합 지도 = 242 6.4.1 읽기와 쓰기 통합 지도 방향 = 242 6.4.2 읽기와 쓰기 통합 지도 모델 = 244 6.4.3 읽기와 쓰기 통합 과제 = 247 제7장 학습자 작문에 대한 피드백 / 진수경(이화여자대학교) 7.1 교사 피드백 = 258 7.1.1 교사 피드백의 원리 = 258 7.1.2 교사 피드백 방안 = 260 7.1.3 피드백 유형: 내용/구성 피드백과 언어 형태 피드백 = 264 7.1.4 피드백 제공 시기 = 265 7.1.5 피드백 매체: 문자 피드백, 오디오 녹음, 컴퓨터 = 266 7.1.6 문자 피드백 방식 및 내용 = 267 7.2 교사ㆍ학생 면담을 통한 피드백 = 270 7.2.1 교사ㆍ학생 면담을 통한 피드백의 장단점 = 270 7.2.2 교사ㆍ학생 면담을 통한 피드백 방안 = 273 7.3 동료 피드백 = 276 7.3.1 동료 피드백의 장단점 = 276 7.3.2 동료 피드백 방안 = 279 한글 용어색인 = 295 영어 용어색인 = 306 인명색인 = 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