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번역과 언어 : 언어학을 통해 살펴본 번역의 이론과 실제

번역과 언어 : 언어학을 통해 살펴본 번역의 이론과 실제 (Loan 28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Fawcett, Peter D. 김도훈, 역
Title Statement
번역과 언어 : 언어학을 통해 살펴본 번역의 이론과 실제 / Peter Fawcett 지음 ; 김도훈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국문화사,   2010  
Physical Medium
311 p. ; 23 cm
Varied Title
Translation and language : linguistic theories explained
ISBN
9788957268124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290-303)과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Translating and interpreting
000 00854camcc2200277 c 4500
001 000045613789
005 20101019132116
007 ta
008 101018s2010 ulk b 001c kor
020 ▼a 9788957268124 ▼g 93700
035 ▼a (KERIS)BIB000012155485
040 ▼a 211032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0 ▼a 418.02 ▼2 22
085 ▼a 418.02 ▼2 DDCK
090 ▼a 418.02 ▼b 2010z6
100 1 ▼a Fawcett, Peter D.
245 1 0 ▼a 번역과 언어 : ▼b 언어학을 통해 살펴본 번역의 이론과 실제 / ▼d Peter Fawcett 지음 ; ▼e 김도훈 옮김
246 1 9 ▼a Translation and language : ▼b linguistic theories explained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10
300 ▼a 311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290-303)과 색인수록
650 0 ▼a Translating and interpreting
700 1 ▼a 김도훈, ▼e▼0 AUTH(211009)138769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8.02 2010z6 Accession No. 11159614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8.02 2010z6 Accession No. 11159614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번역과 언어학의 접점을 찾아보는 책. 언어학과 번역의 관계는 크게 두 가지 차원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첫째는 ‘언어학의 연구 결과를 번역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과, 둘째는 문학적, 경제학적, 혹은 심리학적 번역 이론이 아닌 ‘언어학적 번역 이론을 정립’할 수 있다는 것이다. 번역 연구에 있어 언어학의 한계 또한 살펴본다.

현대 언어학은 20세기 초에 태동했으며, 그 뿌리는 바로 스위스 언어학자 Ferdinand de Saussure다. 그는 언어학 연구에 있어 고도로 추상적 차원의 ‘공시적(共時的, synchronic) 접근법
’을 채택했으며, 이를 통해 일반적인 언어 구조 방식에 대한 설득력 있는 원리를 제시했다. Saussure의 구조주의 모형은 당대보다는 시간이 많이 흐른 후에야 비로소 엄청난 영향력을 발휘했다. 인류학자, 문학평론가, 철학자 등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인생, 우주, 그 밖의 모든 비밀을 풀 수 있는 만능열쇠로 구조주의 모형을 사용한 것이다.

당연한 얘기지만 언어학은 언어에 대한 학문이며, 언어의 작동원리를 규명하는 설득력 있고 생산적인 언어학 이론이 상당수 있다. 이를 고려한다면 언어를 매개로 하는 번역과 언어학은 얼핏 보기에도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 1965년 영국의 번역학자 John Catford는 그의 저서 에서 “그렇다면 번역에 관한 모든 이론은 분명 언어 이론, 즉 일반언어학 이론에 기초해야 한다.”는 말로 논의를 시작했다. 하지만 미국의 유명한 언어학자 Noam Chomsky는 뜻밖에도 자신의 이론과 번역의 연관성에 대해 다소 회의적인 입장을 취했다. Chomsky(1965, p. 30)는 심층구조 차원의 보편성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언어들 간의 번역에 있어서 논리적인 절차가 반드시 존재한다고 볼 수는 없다.”라고 함으로써 자신의 언어학 이론과 번역의 관계에 대한 논의를 사실상 회피했다. 비록 Chomsky가 번역 전문가는 아니지만 논리적 절차나 이론을 넘어서는 그 무엇이 번역에 필요하다는 사실을 깨닫고 한 말일 것이다. 어쩌면 Chomsky가 Ivor Richards의 글을 읽었으리라는 추측을 해본다. Richards(1953, p. 250)는 “번역은 우주 진화 과정에서 발생한 가장 복잡한 유형의 문제로 보인다.”라고 했다.

번역과 언어학의 ‘불확실한’ 관계는 번역학 연구에서, 그리고 번역학자들의 상반된 주장에서도 지속적으로 표출된다. Catford와 Chomsky의 연구가 발표된 지 8년 후 독일의 J?rn Albrecht(1973, p. 1)는 번역을 연구한 언어학자가 몇 없다는 사실에 놀라움과 유감을 표명했다. 반면, 러시아의 언어학자 Aleksandr Shveitser는 상반된 주장을 펼쳤다(Shveitser의 연구와 관련, 이 책에서는 후에 출판된 독일어 번역서를 인용함). Shveitser는 다수의 언어학자가 번역이 언어학의 연구 분야가 될 수 있음을 오래 전부터 인정했다고 주장했다(1987, p. 13). 아울러, 언어학이 번역 활동의 가장 낮은 단계만을 설명할 수 있다는 판단은 오류라고 지적하며, 이는 언어학을 지나치게 편협한 관점에서 평가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참고로, Shveitser 또한 어느 러시아 학자가 처음으로 시도했던 번역의 언어학적 기술이 야기한 논쟁을 짧게 언급하기는 했다(Fedorov, 1953). 이러한 언어학적 기술 때문에 ‘일탈’의 논쟁과 신랄한 비난이 이어지기도 했다(Cary, 1957, p. 187 참조).

시간이 흘러도 번역과 언어학의 접점을 찾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Catford와 Chomsky의 책이 발간된 지 약 30년 후, 영국의 Roger Bell (1989, p. xv)은 번역학자들과 언어학자들이 서로 각자의 노선만을 고수하며 평행선을 달리고 있는 현실을 안타까워했다. 프랑스의 Maurice Pergnier는 언어학이 발전함에 따라 언어학을 접목해 번역을 연구할 수 있는 기반이 충분히 조성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번역학계 일각에서는 여전히 번역과 언어학의 관계를 부정하고 있음을 지적했다(1993, p. 9). 번역과 언어학을 분리하기 위해 애썼던 학자 중에는 프랑스의 Marianne Lederer를 꼽을 수 있다. Lederer는 “번역은 언어학이 아닌 다른 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한다.”라고 밝힌 바 있다(1994, p. 87).

이러한 Lederer의 주장은 극단적이다. 언어학은 분명 번역과 관련이 있고 번역 연구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이에 이 책에서는 번역과 언어학의 접점을 찾아보려 한다. 동시에, 번역 연구에 있어 언어학의 한계 또한 살펴볼 것이다. 특히, 번역을 전적으로 언어적 행위로 여기는 시각, 또는 언어학이 각각의 구체적인 번역 문제에 대한 준비된 해결책을 제시한다는 믿음도 경계할 것이다. 물론, 언어학 덕분에 우리는 구체적인 번역 문제들을 과학적인 방식으로 관찰하고 기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일반적인 문제 해결 기법’을 추론할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언어학이 각각의 구체적인 번역 문제에 대한 ‘맞춤식 열쇠’를 갖고 있다고 말할 수는 없다.

언어학과 번역의 관계는 크게 두 가지 차원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첫째는 ‘언어학의 연구 결과를 번역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과, 둘째는 문학적, 경제학적, 혹은 심리학적 번역 이론이 아닌 ‘언어학적 번역 이론을 정립’할 수 있다는 것이다.

첫 번째 접근법은, 예를 들어 사회언어학과 같은 언어학의 연구 분야에서 도출된 연구 결과를 번역 연구에 접목하는 것이다. 우리는 사회언어학이 이룬 연구 성과 덕분에 사회적 지위, 나이, 성별 등에 따라서 언어 사용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파악하고 기술할 수 있게 됐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회언어학적 다양성을 내포한 텍스트를 번역할 때 발생하는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책을 마련할 수 있다.

두 번째 접근법은, 번역할 텍스트 각각의 요소에 언어학 이론을 적용하기보다는 번역 자체에 대한 총체적 개념 및 이론을 정립하는 것이다. 앞으로 자세히 살펴볼 미국의 Eugene Nida가 주창한 역동적 등가(dynamic equivalence) 이론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이론은 ‘사회언어학적 번역 이론’이라 할 수 있으며 수용자 반응(receptor response) 차원의 등가를 핵심으로 하고 있다. 즉, 대화할 상대에 따라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가 달라지듯이 다양한 독자에 맞추어 번역가가 도착어 텍스트에 변화를 주어 수용자 반응 차원의 등가를 구현해야 한다는 이론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문 = 5
1장 서론 = 13
 1. 번역과 언어학의 불확실한(?) 관계 = 13
 2. 랑그/빠롤과 번역 = 16
 3. 기표/기의와 번역 = 20
 4. 계열관계와 결합관계: 단어조합과 연어, 그리고 번역 = 23
 5. 사회언어학과 화용론, 그리고 번역 = 28
2장 단어 하부 성분과 번역 = 31
 1. 소리의 번역 = 31
 2. 형태소의 번역 = 38
 3. 성분분석과 번역 = 43
3장 의미론과 번역 = 46
 1. 의미장과 번역 = 47
 2. 단어 관계와 번역 = 51
 3. 함축의 번역 = 54
 4. 단어 의미와 번역 = 59
4장 번역 기법 = 61
 1. 러시아식 접근법(Retsker/Shveitser) = 61
  1-1. 유추 번역 = 62
  1-2. 타당성 번역 = 65
   1) 구체화 = 66
   2) 논리적 도출 = 68
   3) 반의어적 번역 = 70
   4) 보상 = 71
 2. 캐나다의 관점(Vinay와 Darbelnet) = 76
  2-1. 차용 = 77
  2-2. 모사 = 78
  2-3. 직역 = 80
  2-4. 치환 = 82
  2-5. 변조 = 83
  2-6. 등가 = 85
  2-7. 번안 = 86
 3. 미국식 모형(Malone) = 91
  3-1. 일치: 대체와 동치 = 92
  3-2. 지그재깅: 발산과 수렴 = 95
  3-3. 재형: 부연과 축소 = 100
  3-4. 재구성: 확산과 응축 = 105
  3-5. 재배열 = 108
 4. 비판 = 110
5장 번역 등가 = 114
 1. Catford의 텍스트적 등가 = 116
 2. Nida의 역동적 등가 = 120
 3. Komissarov의 명확 등가 및 불명확 등가 = 128
6장 단어를 넘어: 문장 차원의 번역 = 134
 1. Nida: 변형생성문법과 번역과정 모형 = 136
 2. Shveitser: 번역, 그리고 '다시 쓰기' 규칙 = 141
 3. Malone: 번역, 그리고 '다리 놓기' 규칙 = 144
7장 문장을 넘어: 맥락 및 사용역 차원의 번역 = 149
 1. 맥락과 번역 = 149
 2. 의사소통 상황과 사용역, 그리고 번역 = 154
 3. 사용역과 번역 = 155
  3-1. 사용역과 언어사용자 = 156
  3-2. 사용역과 언어사용 = 160
  3-3. 사용역의 실제 = 166
8장 텍스트 구조와 번역 = 175
 1. 테마-레마 및 기능문장투시법, 그리고 번역 = 175
 2. 결속구조와 번역 = 187
  2-1. 반복을 통한 결속구조 = 188
  2-2. 생략을 통한 결속구조 = 189
  2-3. 지시를 통한 결속구조 = 194
  2-4. 병렬과 종속 = 199
 3. 결속성과 번역 = 202
 4. 텍스트로서의 번역 = 205
9장 텍스트 기능과 번역 = 208
 1. 언어의 기능과 번역 = 208
 2. 텍스트 기능 및 유형, 그리고 번역 = 214
  2-1. Reiss의 단일기능적 접근법 = 214
  2-2. 다기능적 접근법 = 222
 3. 기능 변환 번역 = 228
 4. 외현적 번역/내재적 번역 = 231
10장 사회언어학과 번역 = 235
 1. 사회언어학, 그리고 방언의 번역 = 235
11장 화용론과 번역 = 248
 1. 전제와 번역 = 248
 2. 화행과 번역 = 255
 3. 내포와 번역 = 261
12장 심리언어학과 번역 = 271
 1. 연관성 이론과 번역 = 271
 2. 사고발화법(TAP)과 번역 전략 = 279
결론 = 287
참고문헌 = 290
색인 = 304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