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언어 학습, 교수, 평가를 위한 유럽공통참조기준 개정판

언어 학습, 교수, 평가를 위한 유럽공통참조기준 개정판 (98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한란, 역
단체저자명
Council of Europe, 편
서명 / 저자사항
언어 학습, 교수, 평가를 위한 유럽공통참조기준 / 유럽 평의회 편 ; 김한란 외 옮김
판사항
개정판
발행사항
서울 :   한국문화사,   2010  
형태사항
xxiv, 256 p. ; 25 cm
원표제
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 : learning, teaching, assessment
기타표제
번역표제: Gemeinsamer europäischer Referenzrahmen für Sprachen : lernen, lehren, beurteilen
ISBN
9788957267509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46-256
일반주제명
Second language acquisition --European Union countries Language and languages --Study and teaching --European Union countries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613397
005 20170614095750
007 ta
008 101014s2010 ulk b 000c kor
020 ▼a 9788957267509 ▼g 93700
035 ▼a (KERIS)BIB000011996264
040 ▼a KYOBO ▼c KYOBO ▼d 211046 ▼d 211009
041 1 ▼a kor ▼h ger ▼h eng
082 0 4 ▼a 418.007104 ▼2 22
085 ▼a 418.007104 ▼2 DDCK
090 ▼a 418.007104 ▼b 2010
245 0 0 ▼a 언어 학습, 교수, 평가를 위한 유럽공통참조기준 / ▼d 유럽 평의회 편 ; ▼e 김한란 외 옮김
246 1 9 ▼a 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 : ▼b learning, teaching, assessment
246 1 ▼i 번역표제: ▼a Gemeinsamer europäischer Referenzrahmen für Sprachen : ▼b lernen, lehren, beurteilen
250 ▼a 개정판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10
300 ▼a xxiv, 256 p. ; ▼c 25 cm
504 ▼a 참고문헌: p. 246-256
546 ▼a 영어로 된 원저작을 독일어로 번역하고, 이것을 다시 한글로 번역
650 0 ▼a Second language acquisition ▼z European Union countries
650 0 ▼a Language and languages ▼x Study and teaching ▼z European Union countries
700 1 ▼a 김한란, ▼e▼0 AUTH(211009)102055
710 ▼a Council of Europe, ▼e
910 0 ▼a 유럽평의회,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8.007104 2010 등록번호 11159587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8.007104 2010 등록번호 11159587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8.007104 2010 등록번호 11177426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머리말 = Ⅴ
추천사 = Ⅶ
역자서문 = Ⅸ
목차 = XIII
감사의 글 = XVI
일러두기 = XVII
개요 = XXIII
제1장 유럽공통참조기준의 정치적ㆍ교육정책적 배경 = 1
 1.1 유럽공통참조기준 = 1
 1.2 유럽 평의회 언어 정책의 목적 = 2
 1.3 다중언어주의의 의미 = 5
 1.4 공통참조기준의 필요성 = 7
 1.5 공통참조기준의 사용목적 = 8
 1.6 공통참조기준이 충족시켜야 하는 기준 = 9
제2장 참조기준의 접근법 = 11
 2.1 행위 중심적 접근법 = 11
 2.2 언어능력의 공통 참조수준 = 20
 2.3 언어 학습과 교수 = 23
 2.4 평가와 능력 측정 = 25
제3장 공통 참조수준 = 27
 3.1 참조기준의 기술문항을 위한 기준 = 27
 3.2 공통 참조수준 = 29
 3.3 공통 참조수준의 기술 = 31
 3.4 예시 능력기술문항 = 38
 3.5 유동적 분지모델 = 41
 3.6 공통 참조수준의 내용 응집성 = 44
 3.7 척도와 능력기술문항의 이해 방법 = 49
 3.8 언어능력의 척도와 능력기술문항 사용 방법 = 51
 3.9 언어능력 수준과 채점 체계 = 55
제4장 언어사용ㆍ언어사용자ㆍ언어학습자 = 59
 4.1 언어사용의 맥락 = 61
 4.2 의사소통의 주제 = 69
 4.3 의사소통 과제와 목표 = 71
 4.4 의사소통 활동과 전략 = 76
 4.5 의사소통적 언어처리과정 = 109
 4.6 텍스트 = 113
제5장 언어사용자ㆍ언어학습자의 능력 = 123
 5.1 일반적 능력 = 123
 5.2 의사소통적 언어능력 = 132
 제6장 외국어 학습과 교수 = 159
 6.1 학습자들이 학습하고 습득해야 하는 것 = 159
 6.2 언어학습의 과정 = 170
 6.3 참조기준 사용자들의 언어학습을 돕는 방법 = 172
 6.4 현대언어 학습과 교수를 위한 방법론적 대안 = 174
 6.5 오류와 실수 = 191
제7장 외국어 학습ㆍ교수에서의 의사소통 과제의 역할 = 193
 7.1 의사소통 과제 기술 = 193
 7.2 의사소통 과제 수행 = 195
 7.3 의사소통 과제의 난이도 = 197
제8장 언어의 다양성과 교육과정 = 207
 8.1 정의와 사전 논의 = 207
 8.2 교육과정 개발의 다양한 가능성 = 208
 8.3 교육과정 시나리오에 대한 구상 = 209
 8.4 평가와 학교 교육, 학교 밖의 학습과 평생교육 = 215
제9장 평가와 사정 = 219
 9.1 도입 = 219
 9.2 평가와 검정의 보조 자료로서의 참조기준 = 221
 9.3 평가와 사정의 유형 = 227
 9.4 실용적인 평가와 메타체계 = 242
참고문헌 = 246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