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1 서론 / 이무성 = 11
02 외교사 / 박채복 = 15
Ⅰ. 전쟁과 평화의 역사 = 15
Ⅱ. 웨스트팔리아 체제 이후부터 제2차 세계대전까지 = 18
1. 유럽협조체제와 세력균형정책 = 18
2. 비스마르크체제와 동맹협상체제 = 23
3. 베르사이유체제와 집단안전보장 = 31
Ⅲ. 제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시기 = 43
1. 냉전체제와 동서 이데올로기 대립 = 43
2. 동서 데탕트와 협력적 질서 = 47
3. 탈냉전과 통합적 질서 = 52
03 현실주의 / 박상현 = 63
1. 이상주의와 현실주의 = 63
2. 전통적 현실주의 = 65
3. 신현실주의 = 67
4. 현실주의의 기본 가정과 비판 = 70
5. 현실주의자들의 합리성 가정에 대한 비판 = 73
6. 결론 = 79
04 자유주의 / 이종서 = 83
1. 현실주의에 대한 비판 : 이상주의(Idealism)의 등장 = 86
2. 자유주의 기본 가정 및 특징 = 89
3. 신자유제도주의 : (신)기능주의와 상호의존론 = 93
4. (신)기능주의 = 96
5. 상호의존론 = 100
05 맑시즘 / 하상섭 = 107
1. 맑시즘 = 107
2. 네오맑시즘 = 111
3. 제국주의론 = 113
4. 종속이론 = 120
5. 세계체제론 = 123
6. 새로운 맑시즘 논쟁 = 126
06 대안적 시각 / 이무성 = 135
1. 구성주의 = 136
2. 비판이론 = 141
3. 페미니즘 = 143
4. 탈근대주의(PostModernism) = 145
07 국제기구론 / 이무성 = 149
1. 서론 = 149
2. 이론적 접근 = 151
3. 국제연맹 = 153
4. 국제연합(the United Nations) = 158
5. 그 밖에 국제기구 = 164
5-1. 국제통화기금(International Monetary Fund) = 164
5-2. 세계은행 = 166
5-3. 세계무역기구 = 167
6. 비정부기구 = 170
08 국제정치경제 / 윤성욱 = 175
Ⅰ. 국제정치경제학의 이해 = 175
1. 국제정치경제학의 정의 = 175
2. 국제정치경제학의 연구대상 = 177
Ⅱ. 국제정치경제학의 이론 = 179
1. 자유주의 = 181
2. 현실주의 = 183
3. 비판주의 = 185
Ⅲ. 국제정치경제학의 주요 이슈들 = 186
1. 국제통상의 정치경제 = 186
2. 지역주의와 정치경제 = 191
3. 국제통화 및 금융의 정치경제 = 194
4. 새로운 이슈들의 등장 = 198
Ⅳ. 국제정치경제학의 미래 = 199
09 국제안보 / 이승근 = 203
1. 안보의 개념 = 203
2. 안보에 대한 이론적 접근 = 206
3. 동맹과 집단안전보장 = 210
3-1. 동맹 = 210
3-2. 집단안전보장 = 213
4. 군비경쟁, 군축, 군비통제 = 216
4-1. 군비경쟁 = 216
4-2. 군축 = 218
4-3. 군비통제 = 222
5. UN의 평화유지활동과 다자안보협력 = 224
5-1. UN의 평화유지활동 = 224
5-2. 다자안보협력 = 228
10 지역통합 / 유진숙 = 237
Ⅰ. 지역통합 현상 개괄 = 237
Ⅱ. 지역통합의 이론 = 240
Ⅲ. 지역통합 사례들 = 242
1. EU(유럽연합) = 242
1-1. 유럽연합의 역사 = 242
1-2. 유럽연합의 구조 = 245
1-3. 유럽연합 통합의 문제점들 = 250
2. NAFTA(북미자유무역협상) = 252
2-1. 북미자유무역협상의 역사 = 252
2-2. 북미자유무역협상의 문제점 = 255
3. ASEAN(동남아국가연합), ASEAN+3 = 256
3-1. ASEAN과 ASEAN+3의 역사 = 258
3-2. ASEAN과 ASEAN+3의 구조 = 260
3-3. ASEAN과 ASEAN+3의 문제점 = 262
Ⅳ. 결론 = 264
11 인권 / 박채복 = 267
1. 서론 = 267
2. 보편적인 가치로서의 인권 = 268
3. 국제인권레짐의 형성 = 272
4. 인권에 대한 국제적 협력체제 = 277
4-1. 유엔인권체제 = 277
4-2. 지역인권체제 = 279
4-3. 국제 비정부기구의 인권보호 활동 = 283
5. 탈냉전 시대의 인권과 국제정치 = 285
12 테러리즘과 국제정치 / 이만종 = 293
Ⅰ. 서론 = 293
Ⅱ. 테러리즘의 개념과 유형 = 295
Ⅲ. 테러리즘의 전개과정 = 301
Ⅳ. 뉴테러리즘과 대테러전쟁 = 306
Ⅴ. 결론 : 전망과 대응 = 312
13 디지털 시대와 국제정치 / 김운회 = 317
Ⅰ. 디지털 시대의 도래 = 317
1. 창조와 파괴 = 317
2. 디지털 사회의 도래와 그 특성 = 319
3. 디지털 시대의 국가 = 321
Ⅱ. 패러다임의 위기 = 325
1. 패러다임의 위기 대두 = 325
2. 패러다임의 역사적 전개과정 = 329
Ⅲ. 디지털 시대의 국제정치 = 337
1. 디지털 정부의 출현 = 337
2. 사이버 민주주의의 본질을 위한 시론(試論) = 340
3. 디지털 시대의 국제정치경제 = 345
3-1. 사이버 테러리즘 = 345
3-2. 사이버 정보 감시와 저작권 문제 = 347
3-3. 메타상품의 등장에 따른 경제권력의 정치권력화 문제 = 349
3-4. 디지털 재화의 국제이동에 따른 문제 = 352
3-5. 사이버 망명 문제 = 354
3-6. 디지털 디바이드 문제 = 355
색인 = 361
저자약력 = 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