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행정학의 기초이해(행정학총론)
제1장 행정의 본질과 현대행정
제1절 행정의 본질 = 25
Ⅰ. 행정의 의의 = 25
Ⅱ. 행정과 경영(공행정과 사행정) = 29
Ⅲ. 정치와 행정 = 31
제2절 현대행정의 특징 = 34
Ⅰ. 현대국가와 현대행정 = 34
Ⅱ. 현대행정의 최근 동향 = 40
제2장 행정학의 성격과 흐름
제1절 행정학의 성격 = 45
Ⅰ. 현실과학으로서의 행정학 = 45
Ⅱ. 행정법학과의 관계 = 46
Ⅲ. 인접과학과의 관계 = 48
제2절 행정학의 흐름 = 48
Ⅰ. 행정학의 성립과 발달 = 48
Ⅱ. 다양한 현대행정 이론 = 53
제3절 한국의 행정학 = 69
Ⅰ. 한국 행정학의 발달 = 69
Ⅱ. 한국 행정학의 진로 = 71
제3장 행정의 철학과 가치
제1절 행정철학과 가치의 본질 = 75
Ⅰ. 행정 철학의 개념 = 75
Ⅱ. 행정 철학의 유용성 = 76
Ⅲ. 가치 개념의 본질 = 77
제2절 행정철학과 가치의 내용 = 78
Ⅰ. 정의 = 79
Ⅱ. 평등 = 79
Ⅲ. 형평성 = 80
Ⅳ. 자유 = 81
Ⅴ. 공익 = 82
제3절 행정이념 = 86
Ⅰ. 행정이념의 의의 = 86
Ⅱ. 행정이념의 내용 = 87
Ⅲ. 행정이념간의 상호관계 = 89
제4장 행정의 구조ㆍ기능ㆍ과정
제1절 행정의 구조 : 관료제 = 93
Ⅰ. 관료제 = 94
Ⅱ. 정부관료제 = 98
Ⅲ. 대안적 관료제 = 102
제2절 행정관리의 계층 = 106
Ⅰ. 행정관리 계층의 구분 = 106
Ⅱ. 행정관리 계층별 기능 = 107
제3절 행정의 기능 = 109
Ⅰ. 행정운용과 행정관리 = 109
Ⅱ. 행정관리의 주요기능 = 113
제4절 행정의 과정 = 121
Ⅰ. 행정과정의 본질 = 121
Ⅱ. 행정관리의 주요과정 = 122
제5장 행정과 사회ㆍ문화ㆍ국가
제1절 사회환경과 행정문화 = 131
Ⅰ. 사회환경과 행정 = 131
Ⅱ. 행정문화와 행정 = 134
제2절 국가와 행정 = 136
Ⅰ. 발전도상국의 행정 = 136
Ⅱ. 국가발전과 행정 = 143
제6장 행정과 시민ㆍ서비스
제1절 행정과 시민 = 149
Ⅰ. 행정과 시민의 관계 = 149
Ⅱ. 정부와 민간의 역할 영역 = 151
Ⅲ. 시민참여 = 156
Ⅳ. 뉴 거버넌스 = 159
Ⅴ. 행정 PR = 164
제2절 행정서비스 = 168
Ⅰ. 행정서비스의 본질과 유형 = 168
Ⅱ. 행정서비스의 성과 향상 = 172
제7장 행정의 윤리와 책임
제1절 행정윤리 = 175
Ⅰ. 행정윤리의 본질 = 175
Ⅱ. 행정윤리의 문제 = 176
Ⅲ. 행정윤리의 확보 = 178
제2절 행정책임과 통제 = 181
Ⅰ. 행정 책임 = 181
Ⅱ. 민주통제 = 184
제8장 행정개혁
제1절 행정개혁의 본질 = 189
Ⅰ. 행정개혁의 특성과 접근방법 = 189
Ⅱ. 행정개혁의 계기와 원칙 및 정착화 = 191
Ⅲ. 행정개혁의 과정과 저항 = 193
제2절 행정개혁의 실제 = 195
Ⅰ. 외국 = 195
Ⅱ. 한국 = 197
제2부 행정학의 분야별 이해(행정학 각론)
제9장 정책 및 정보ㆍ지식 관리
제1절 정책관리 = 203
Ⅰ. 정책과 정책학 = 203
Ⅱ. 정책의 기본조건 = 207
Ⅲ. 정책의 형성ㆍ집행ㆍ종결 = 210
Ⅳ. 정책의 분석ㆍ평가 = 220
제2절 정보ㆍ지식관리 = 225
Ⅰ. 정보사회 = 225
Ⅱ. 정책체계 = 226
Ⅲ. 행정정보체계 = 230
Ⅳ. 행정정보화 = 232
Ⅴ. 지식행정 = 238
제10장 조직ㆍ인사ㆍ재무행정
제1절 조직행정 = 249
Ⅰ. 현대사회와 조직 = 249
Ⅱ. 행정조직의 특성 = 254
Ⅲ. 행정조직의 구조 = 256
Ⅳ. 행정조직의 구성 = 260
Ⅴ. 행정조직의 주요형태 = 265
Ⅵ. 행정조직의 동태적 발전 = 269
Ⅶ. 조직의 심리와 행태 = 277
Ⅷ. 조직문화 = 283
제2절 인사행정 = 290
Ⅰ. 정부와 인력 = 290
Ⅱ. 공무원제도의 유형 = 293
Ⅲ. 공무원의 신규채용 = 299
Ⅳ. 공무원의 사기관리 = 304
Ⅴ. 공무원의 복지와 권리 = 307
Ⅵ. 공무원의 능력개발 = 321
Ⅶ. 공무원의 성과평가 = 323
Ⅷ. 공무원의 근무와 규율 = 328
제3절 재무행정 = 333
Ⅰ. 정부와 재정 = 333
Ⅱ. 예산의 체계와 과정 = 334
Ⅲ. 예산결정의 이론 = 344
Ⅳ. 예산제도의 개혁 = 348
Ⅴ. 회계 = 359
Ⅵ. 구매(계약) = 363
Ⅶ. 재정재원 = 365
제11장 자치ㆍ공기업ㆍ책임행정
제1절 자치행정 = 369
Ⅰ. 국정과 지방자치 = 369
Ⅱ. 지방자치의 본질과 한국의 자치 = 372
Ⅲ. 지방자치단체 = 375
Ⅳ. 단체적 자치(중앙ㆍ지방간 관계) = 380
Ⅴ. 주민적 자치(정부ㆍ주민간 관계) = 385
제2절 공기업행정 = 392
Ⅰ. 정부와 공기업 = 392
Ⅱ. 공기업의 경영관리 = 397
Ⅲ. 공기업에 대한 경영평가와 통제 = 400
Ⅳ. 공기업의 민영화 = 403
제3절 책임운영 = 406
Ⅰ. 책임운영제의 특성 = 406
Ⅱ. 책임운영기관의 설치 = 408
Ⅲ. 책임운영의 관리 = 410
Ⅳ. 책임운영에 대한 평가와 통제 = 410
참고문헌 = 413
찾아보기 = 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