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정보혁명과 권력변환 : 네트워크 정치학의 시각

정보혁명과 권력변환 : 네트워크 정치학의 시각 (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상배 金湘培
서명 / 저자사항
정보혁명과 권력변환 : 네트워크 정치학의 시각 / 김상배 지음
발행사항
파주 :   한울,   2010  
형태사항
446 p. : 삽화 ; 24 cm
총서사항
한울아카데미 ;1288
ISBN
9788946052888
일반주기
참고문헌(p. 413-436)과 색인수록  
000 00734camcc2200241 c 4500
001 000045612646
005 20111122164047
007 ta
008 100929s2010 ggka b 001c kor
020 ▼a 9788946052888 ▼g 93340
035 ▼a (KERIS)BIB000012168128
040 ▼a 211052 ▼c 211052 ▼d 244002
082 0 4 ▼a 320 ▼2 22
085 ▼a 320 ▼2 DDCK
090 ▼a 320 ▼b 2010z5
100 1 ▼a 김상배 ▼g 金湘培 ▼0 AUTH(211009)3877
245 1 0 ▼a 정보혁명과 권력변환 : ▼b 네트워크 정치학의 시각 / ▼d 김상배 지음
246 1 1 ▼a Information revolution & power transformation
260 ▼a 파주 : ▼b 한울, ▼c 2010
300 ▼a 446 p. : ▼b 삽화 ; ▼c 24 cm
440 0 0 ▼a 한울아카데미 ; ▼v 1288
500 ▼a 참고문헌(p. 413-436)과 색인수록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 2010z5 등록번호 11159624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 2010z5 등록번호 11159624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청구기호 320 2010z5 등록번호 12121530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청구기호 320 2010z5 등록번호 12121530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20 2010z5 등록번호 15130394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 2010z5 등록번호 11159624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 2010z5 등록번호 11159624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청구기호 320 2010z5 등록번호 12121530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청구기호 320 2010z5 등록번호 12121530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20 2010z5 등록번호 15130394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윈도 운영체계나 구글의 검색 엔진이 없는 세상이 존재할 수 있을까?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구글, 할리우드 - 디지털 메타 지식 체계를 독점하여 인터넷 세상을 지배하는 '보이지 않는 권력'에 맞서 웹 2.0의 기치 아래 인터넷 곳곳에 흩어져 있던 소수자들, 즉 '긴 꼬리'들이 결집하고 있다. 똑똑하고 민첩하기까지 한 '골리앗'과 네트워크를 조직한 '다윗들의 군대'가 벌이는 치열한 다툼 속에 권력의 속성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현실세계의 전문가, 가상공간의 아마추어들에게 패배하다!
윈도, 구글, 위키피디아, 아이폰이 지배하는 세상 -
지배권력과 대항세력이 경합하는 구성적 메커니즘을 입체적으로 그리다


각종 인터넷 커뮤니티에서의 활동은 지배세력에 대한 도전장을 제기한다. 예를 들어, 문화분야 온라인 동호회의 경우 인터넷을 통해서 공연 관람의 소감을 공유하면서 형성되는 담론이 단순한 동호회 차원의 교감을 넘어서 문화 콘텐츠의 가치나 정체성에 대한 나름의 견해를 개진하게 되는 동력을 얻게 된 것이다. (중략) 문화분야에서도 이러한 권력이동은 기존 전문가들이 행사하던 문화권력에 대한 탈권위화로 나타난다. 간혹 관객이 오히려 연주자보다 내공이 깊은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고, 인터넷 동호회의 ‘고수’가 종이신문의 칼럼니스트보다 필명을 드높이기도 한다.
- 본문 중

이 책은 정보혁명에 대한 정치학적 탐구의 작은 결실이다. 정보혁명은 기존 권력을 사라지게 하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완전히 새로운 권력을 출현시키는 것도 아니다. 다만 그 형태를 교묘하게 바꾸고 있을 뿐이다. 그렇다면 정보의 ‘혁명’은 권력의 ‘변환’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이렇게 ‘혁명’과 ‘변환’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정치현상을 탐구하는 것이 바로 이 책의 과제다.

신간 출간의의

이 책은 정보혁명에 대한 정치학적 탐구의 작은 결실이다. 필자는 지난 십여 년간의 작업에서 ‘정보혁명’이라는 용어를 의도적으로 사용하지 않았다. 반도체와 컴퓨터, 그리고 인터넷 등으로 대변되는 최근의 변화를 ‘혁명’이라고 칭하기를 망설였기 때문이었다. ‘정보화’나 ‘정보시대’ 같은 순화된 표현을 주로 사용한 것도 바로 그러한 이유 때문이었다. 그러나 이 책을 집필하면서 저널리즘적 수사가 아니라 사회과학적 용어로서 정보혁명이라 부르기에 어색하지 않을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는 믿음을 굳히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아직 ‘지식혁명’이라고 부를 수는 없을지언정 적어도 ‘기술혁명’을 넘어서 ‘정보혁명’이라고 부를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음은 분명하다. 이러한 정보혁명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은 근대 초기 인쇄혁명의 그것에 비견될 만큼 광범위하고 획기적인 것이 사실이다.

이 책이 정치학적 시각에서 살펴본 주제는 ‘권력’의 변화이다. 그런데 정보의 ‘혁명’이 권력의 변화에 미친 영향을 포착하기 위해서 이 책이 선택한 용어는 ‘혁명’이 아니라 ‘변환(變換, transformation)’이다. 변환이라는 용어는 글자 그대로 내용의 변화보다는 ‘형태(form)’의 ‘변화(trans)’에 초점을 맞춘다. 아무리 정보혁명이 발생하더라도 우리 사회에서 권력현상은 없어지지 않을 것이다. 정보혁명은 기존 권력을 사라지게 하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완전히 새로운 권력을 출현시키는 것도 아니다. 다만 정보혁명이라는 물적·지적 환경의 변환에 직면하여 권력은 그 형태를 교묘하게 바꾸고 있을 뿐이다. 그렇다면 정보의 ‘혁명’은 권력의 ‘변환’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이렇게 ‘혁명’과 ‘변환’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정치현상을 탐구하는 것이 바로 이 책의 과제이다.

예상 독자층

정치·국제관계학 연구자 및 학생
정보기술과 사회의 관계에 관심 있는 일반인
언론, 포털 등 미디어 관계자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상배(지은이)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 인디애나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신흥안보, 사이버 안보, 디지털 경제, 공공외교, 미래전, 중견국 외교다. 대표 저서로 『미중 디지털 패권경쟁: 기술·안보·권력의 복합지정학』(2022), 『버추얼 창과 그물망 방패: 사이버 안보의 세계정치와 한국』(2018), 『아라크네의 국제정치학: 네트워크 세계정치이론의 도전』(2014)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글 = 5
여는글 : 정보혁명과 권력변환
 1. 냉장고에 코끼리 넣기 = 16
 2. 공룡의 긴 꼬리 엮기 = 21
 3. 똑똑한 골리앗과 다윗들의 군대 = 26
 4. 네트워크 권력의 이론 = 30
1부 정보혁명의 이해 = 37
 제1장 메타 지식으로 보는 정보혁명
  1. 메타 지식의 개념적 이해 = 40
  2. 기술의 코드화 = 46
  3. 정보의 디지털화 = 55
  4. 지식의 탈체계화 = 66
 제2장 네트워크로 보는 정보혁명
  1. 네트워크의 개념적 이해 = 78
  2. 인터넷과 월드와이드웹 = 87
  3. 정보와 지식의 복합 네트워크 = 93
  4. 사람들의 복합 네트워크 = 102
 제3장 망중망으로 보는 정보혁명
  1. 망중망의 이론적 논의 = 112
  2. 기술체계로서 인터넷의 망중망 = 121
  3. 정보매체로서 인터넷의 망중망 = 127
  4. 콘텐츠 매체로서 인터넷의 망중망 = 133
2부 지배권력의 변환 = 141
 제4장 윈텔리즘과 인터넷 거버넌스
  1. 메타 지식으로 보는 윈텔리즘 = 144
  2. 네트워크로 보는 윈텔리즘 = 150
  3. 메타 지식으로 보는 인터넷 거버넌스 = 155
  4. 네트워크로 보는 인터넷 거버넌스 = 162
 제5장 구글아키와 실리우드
  1. 메타 지식으로 보는 구글아키 = 171
  2. 네트워크로 보는 구글아키 = 179
  3. 메타 지식으로 보는 실리우드 = 187
  4. 네트워크로 보는 실리우드 = 193
 제6장 지배의 네트워크 권력
  1. 네트워크로 보는 지배권력 = 202
  2. 기술구조의 프로그래밍 = 211
  3. 개방성과 호환성의 통제 = 216
  4. 제도와 규범의 프로그래밍 = 226
  5. 정체성의 프로그래밍 = 235
3부 대항세력의 창발 = 245
 제7장 오픈 소스의 대항담론과 리눅스
  1. 리눅스의 도전 = 248
  2. 오픈 소스의 대항담론 = 253
  3. 오픈 소스의 복합 네트워크 = 261
  4. 오픈 소스 대항담론의 확산 = 269
 제8장 위키피디아와 인터넷 커뮤니티
  1. 위키피디아의 도전과 대항담론 = 273
  2. 위키피디아의 복합 네트워크 = 281
  3. 인터넷 커뮤니티의 도전과 대항담론 = 290
  4. 인터넷 커뮤니티의 복합 네트워크 = 297
 제9장 온라인 사회운동과 촛불집회
  1. 정보혁명 시대의 사회운동 = 305
  2. 2008년 촛불집회의 사례 = 311
  3. 촛불집회의 복합 네트워크 = 318
  4. 촛불집회의 대항담론과 지식정치 = 326
 제10장 대항의 네트워크 권력
  1. 네트워크로 보는 대항저력 = 336
  2. 소수자들의 세 모으기 = 345
  3. 디지털 다중의 집단행동 = 351
  4. 대항규범의 프로그래밍 = 359
  5. 정체성의 자기 조직화 = 366
맺는글 : 권력변환의 망제정치
 1. 정보혁명과 권력변환 = 379
 2. 지식구조로 보는 권력변환 = 383
 3. 정보혁명과 지식구조의 변환 = 390
 4. 지배와 대항의 망제정치 = 397
 5. 메타 거버넌스의 과제 = 404
참고문헌 = 415
찾아보기 = 439

관련분야 신착자료

Diener, Alexander C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