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현장 교사를 위한) 수업모형

(현장 교사를 위한) 수업모형 (Loan 38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권낙원 최화숙, 저
Title Statement
(현장 교사를 위한) 수업모형 / 권낙원, 최화숙 공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동문사,   2010  
Physical Medium
160 p. : 삽화 ; 21 cm
Series Statement
한국교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교육연구에세이 ;01
ISBN
9788982514241 9788982514159 (세트)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157-160
000 00752camcc2200265 c 4500
001 000045612573
005 20101008163553
007 ta
008 101008s2010 ulka b 000c kor
020 ▼a 9788982514241 ▼g 04370
020 1 ▼a 9788982514159 (세트)
035 ▼a (KERIS)BIB000012139862
040 ▼d 222001 ▼d 211009
082 0 4 ▼a 371.3 ▼2 22
085 ▼a 371.3 ▼2 DDCK
090 ▼a 371.3 ▼b 2010z8
100 1 ▼a 권낙원 ▼0 AUTH(211009)122971
245 2 0 ▼a (현장 교사를 위한) 수업모형 / ▼d 권낙원, ▼e 최화숙 공저
260 ▼a 서울 : ▼b 동문사, ▼c 2010
300 ▼a 160 p. : ▼b 삽화 ; ▼c 21 cm
440 0 0 ▼a 한국교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교육연구에세이 ; ▼v 01
504 ▼a 참고문헌: p. 157-160
700 1 ▼a 최화숙,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3 2010z8 Accession No. 11159517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3 2010z8 Accession No. 11159517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권낙원(지은이)

공주사범대학 교육학과 졸업(문학사)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교육심리) 졸업(교육학석사) 미국 미네소타대학교 대학원(교육과정 및 수업) 졸업(Ph. D.) 한국교육개발원 책임연구원 중학교 특별활동교과용도서 심의위원(교육부) 한국교원대학교 제1대학 학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회장 (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과학계열 교수

최화숙(지은이)

한국교원대학교 교육학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학석사, 교육학박사(교육과정 전공) 현) 한세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논문 및 저서> 군 적응 상담을 위한 교육과정 내용 모형 설계(2017) 핵심역량에 근거한 대학 교양교육과정 개발(2016)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e Competency Improvement of the Preservice Youth-leaders(2015)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교양교육과정 분석(2015) Teachers' Perception for the Adequacy of Robotbased Instruction in the School Curriculum Implementation(2014) 수업컨설팅 활성화 저해 요인 분석(2013) 교육과정 분석(2012) 교육과정(2011) 현장교사를 위한 수업모형(2010) 외 다수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머리말 = 3
제1장 수업모형의 이해
  1. 수업과 수업모형의 의미 = 10
  2. 수업모형의 유형 분류 = 17
  3. 수업모형 선정 시 고려사항 = 28
제2장 수업모형에 따른 수업계획
  1. 수업계획 = 34
  2. 수업계획의 절차 = 35
  3. 내용의 분석 = 37
  4. 학습과제분석 = 39
  5. 수업목표의 진술 = 42
  6. 수업목표 진술형태 = 46
  7. 교수-학습 과정안의 작성 = 53
제3장 수업모형의 유형
  Ⅰ. 일반 모형 = 58
    1. Glaser(1976)의 수업모형 = 58
    2. 한국교육개발원(1973)의 수업모형 = 63
  Ⅱ. 설명식 모형 = 68
    1. Ausubel(1963)의 선행조직자 수업모형 = 69
    2. Rosenshine과 Stevens(1986)의 지시적 수업모형 = 76
    3. Joyce & Weil(2000)의 개념 획득 수업모형 = 80
  Ⅲ. 사고력 증진 모형 = 86
    1. Suchman(1962)의 탐구훈련 수업모형 = 86
    2. Parnes(1966)의 창의적 수업모형 = 91
    3. Barrows(1994)의 문제중심학습 수업모형 = 96
  Ⅳ. 사회 상호작용 모형 = 102
    1. Hill(1969)의 토의수업모형 = 102
    2. Shaftel & Shaftel(1967)의 역할놀이 수업모형 = 121
    3. Johnson & Johnson(1975)의 협동학습 수업모형 = 132
  Ⅴ. 정의적 모형 = 143
    1. Knowles(1980)의 자기주도적학습 수업모형 = 143
    2. Glasser(1986)의 학급회의 수업모형 = 150
참고문헌 = 15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