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35camcc2200229 c 4500 | |
001 | 000045612098 | |
005 | 20101007115220 | |
007 | ta | |
008 | 100903s2010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58328735 ▼g 93180 | |
035 | ▼a (KERIS)BIB000012153508 | |
040 | ▼a 241026 ▼c 241026 ▼d 211009 | |
082 | 0 4 | ▼a 616.89 ▼2 22 |
085 | ▼a 616.89 ▼2 DDCK | |
090 | ▼a 616.89 ▼b 2010z6 | |
245 | 0 0 | ▼a 임상심리학 / ▼d 안창일 편저 |
250 | ▼a 3판 | |
260 | ▼a 서울 : ▼b 시그마프레스, ▼c 2010. | |
300 | ▼a xvi, 598 p. : ▼b 삽도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p. [593]-598) 수록. | |
700 | 1 | ▼a 안창일, ▼e 편저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의학도서관/보존서고4/ | 청구기호 616.89 2010z6 | 등록번호 13103849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안창일 교수가 엮은 <임상심리학> 제3판. 임상심리학은 부적응의 정도를 평가.진단하고 그 원인을 밝혀내어 치료하는 기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러한 내용들이 이 책에 자세히 소개되어 있다. 특히 우리나라 임상심리학 관련 자료들을 많이 제시하려 노력한 점이 이 책의 특징이다.
실험심리학자들이 인간행동의 기본원리를 과학적 절차를 통해 밝혀내면, 그 결과들을 임상심리학자들은 인간행동에 실제로 적용시키는 일을 한다. 실험심리학이 씨를 뿌리는 학문이라면 임상심리학은 꽃을 피우고 열매를 거두는 학문이라 하겠다. 그만큼 임상심리학은 우리 인간들의 일상생활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는 응용학문이다.
우리가 살다보면 일이 잘 풀릴 때도 있지만, 잘 풀리지 않을 때도 있다. 일이 잘 풀리지 않으면 우리는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스트레스가 심하면 부적응 행동을 유발하게 되며, 이러한 경험이 계속 쌓이면 일상생활에 적응을 잘 할 수 없게 된다. 임상심리학은 부적응의 정도를 평가·진단하고 그 원인을 밝혀내어 치료하는 기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러한 내용들이 이 책에는 자세히 소개되어 있다. 특히 우리나라 임상심리학 관련 자료들을 많이 제시하려 노력한 점이 이 책의 특징이다.
저자 소개
안창일 현재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심리학과 명예교수
박기환 현재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 심리학과 교수
오상우 현재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 교수
박병관 현재 한국심리자문연구소 소장
서울 백병원 외래 부교수
김지혜 현재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 교수
이경희 현재 호연심리상담센터 공동대표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겸임교수
이은영 현재 문신경정신과의원 임상심리학자
이임순 현재 서울정신분석상담연구소 연구원
이현수 현재 고려대학교 의료원 구로병원 신경정신과 임상심리전문가
정진복 현재 덕성여자대학교 언어심리연구소 자문위원
권희경 현재 서울발달심리상담센터 대표
박 경 현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교수
이정흠 현재 마음사랑상담센터 원장
서울 백병원 신경정신과 외래교수
조선미 현재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정신과 교수
한기연 현재 호연심리상담센터 공동대표
안귀여루 현재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고영건 현재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김진영 현재 서울여자대학교 인간개발학부 아동학전공 교수
이원혜 현재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정신과 임상심리전문가
정보제공 :

저자소개
안창일(엮은이)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명예교수. 고려대학교 심리학과와 동 대학원 심리학과를 졸업(문학석사)했다. 미국 오하이오주 University of Dayton 대학원을 졸업(교육학 석사)하고, 미국 Ohio State University 대학원을 졸업(철학 박사)했다. 오하이오 주에 있는 중.고등학교에서 상담교사로 활동하였고,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강사, 메릴랜드 대학교 용산 분교 강사, 국민대학교 교수를 거쳐 1981년부터 2007년까지 교려대학교 교수로 재직하였다. 고려대학교에서 교무처장, 도서관장, 학생상담센터장, 문과대학장의 보직을 수행하였고, 한국심리학회 임상 및 상담심리학회장, 한국상담및심리치료학회장, 한국카운슬러협회장, 한국심리학회장, 한국상담전문가협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지은책으로 <임상심리학>, <상담과 심리치료의 제기법>등이 있다.

목차
목차 머리말 : 제3판을 내면서 = ⅲ 초판 서언 = ⅴ 헌정사(초판) = ⅸ 제1부 임상심리학의 학문적 이해 제1장 임상심리학이란? / 박기환 = 3 임상심리학의 정의 = 3 관련 분야의 정신건강 전문가들 = 4 임상심리학자 = 9 참고문헌 = 19 제2장 임상심리학의 역사 / 오상우 = 21 개인차 심리학의 탄생 = 23 임상심리학의 전문적 발달 = 28 심리치료의 기원 = 31 심리치료에 끼친 심리학의 공헌 = 34 임상심리학의 현재 = 38 한국에서의 임상심리학 = 40 요약 = 44 참고문헌 = 45 제3장 임상심리학의 이론 / 박병관 = 49 정신분석 = 49 행동주의적 접근 = 56 인지주의적 모형 = 59 실존주의/내담자중심 모형 = 61 생물학적 모형 = 65 참고문헌 = 69 제4장 임상심리학의 통합적 접근 / 김지혜 = 71 통합적 접근을 위한 노력 = 71 참고문헌 = 85 제2부 진단과 평가 제5장 진단과 평가 / 이경희 = 91 진단과 평가의 목적 = 91 정신의학적 진단과 평가체계 = 92 범주적 진단분류와 차원적 진단분류 = 96 임상적 진단체계와 심리평가 = 99 참고문헌 = 126 제6장 임상적 면접과 행동 관찰 / 이은영 = 129 임상적 면접 = 129 행동 관찰 및 평가 = 145 요약 및 결론 = 151 참고문헌 = 151 제7장 인지적 평가 / 이임순 = 153 지능의 개념 = 155 지능검사 = 159 웩슬러 지능검사 = 165 지능검사의 임상적 적용 및 주의점 = 180 참고문헌 = 182 제8장 성격평가 / 이현수 = 185 성격평가의 개념 = 185 임상에서의 성격검사 = 191 참고문헌 = 220 제9장 신경심리학적 평가 / 정진복 = 225 마음에 대한 생물학적 접근 : 뇌 행동 패러다임 = 225 임상신경심리학의 발전과 신경심리 평가도구 개발 = 226 신경심리학의 역할과 전망 = 230 무엇을 평가하는가? = 232 신경심리학자들이 다뤄야 할 장애 = 243 사례연구 = 247 참고문헌 = 249 제3부 심리치료의 이론과 기법 제10장 정신역동치료 / 권희경 = 255 고전적 정신분석치료 = 256 신 정신분석학파의 정신역동적 접근 = 265 대상관계적 접근의 정신역동치료 = 271 최근 정신역동치료의 추세와 연구동향 = 274 참고문헌 = 278 제11장 인간중심 심리치료 / 박경 = 281 서론 = 281 주요 개념 = 284 치료과정 = 288 치료기법과 절차 = 297 인간중심 치료의 제한점 = 301 참고문헌 = 302 제12장 행동치료 / 이정흠 = 305 행동치료의 주요 특징들 = 306 행동치료의 역사적 조망 = 308 행동치료의 기법 및 절차들 = 317 참고문헌 = 327 제13장 집단상담 / 조선미 = 331 집단상담의 정의 = 331 집단상담의 특성 = 333 집단상담의 유형 = 335 집단상담의 치료요인 = 337 집단상담자의 특성 및 역할 = 344 집단의 구성 및 선별 = 355 집단상담의 초기단계 = 358 집단상담의 과도적 단계 = 364 집단상담의 작업단계 = 369 집단상담의 종결단계 = 372 참고문헌 = 376 제14장 가족치료 / 한기연 = 379 가족치료의 배경 및 역사 = 379 가족치료의 이론 = 389 가족치료의 실제 = 414 참고문헌 = 424 제15장 정신사회재활치료 / 안귀여루 = 427 정신사회재활 = 427 정신사회재활의 단계 = 432 사회기술 훈련 = 442 행동주의적 가족치료 = 449 정신보건법 = 454 참고문헌 = 455 제4부 임상심리학의 미래발전방향과 윤리 제16장 아동 및 청소년 임상심리학 / 김진영 = 461 아동 및 청소년 임상심리학의 정의 = 461 아동 및 청소년 임상심리학의 역사 = 461 아동 및 청소년 임상심리학자의 역할 = 462 아동 및 청소년 임상심리학에서의 연구 = 463 아동 및 청소년 임상심리학에서의 진단 및 분류 = 468 아동 및 청소년 임상심리학에서의 심리 평가 = 474 심리치료 및 상담 = 480 우리나라의 아동 및 청소년 정신건강 실태와 임상심리학의 미래 = 486 참고문헌 = 489 제17장 노인 임상심리학 / 이원혜 = 499 노인 임상심리학 = 499 노화 = 500 노년기 주요 심리장애 = 505 노인 대상의 심리평가 = 514 노인 대상의 심리치료 기법 = 521 노년기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심리-사회적 문제 = 532 참고문헌 = 534 제18장 긍정 임상심리학: 멘탈 휘트니스와 긍정 심리 상담 및 치료 / 고영건 = 547 긍정 임상심리학적 접근의 필요성 = 549 멘탈 휘트니스 = 552 정신건강 교양 = 553 긍정 심리 상담 및 치료 = 555 고대 멘탈 휘트니스 긍정 심리 상담 및 치료 프로그램 = 561 긍정 임상심리학적 접근의 의의와 제한점 = 563 참고문헌 = 564 제19장 전문가의 윤리 / 안창일 = 569 윤리와 관련된 용어의 이해 = 571 윤리적 결정을 위한 도덕적 원칙과 단계 = 573 윤리강령의 일반원칙 = 576 윤리적 문제와 해결방법 = 579 윤리적 문제의 해결을 위한 지침 = 587 요약 = 588 참고문헌 = 590 찾아보기 = 5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