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행정조사방법론 제4판 (11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남궁근 南宮槿
서명 / 저자사항
행정조사방법론 / 남궁근 저
판사항
제4판
발행사항
파주 :   法文社,   2010   (2014)  
형태사항
xxii, 800 p. : 삽화, 도표 ; 26 cm
총서사항
행정학총서
ISBN
9788918023557
서지주기
참고문헌(p. 765-782)과 색인, 부록수록
000 00815camcc2200277 c 4500
001 000045611839
005 20140402144914
007 ta
008 101004s2010 ggkad b 001c kor
020 ▼a 9788918023557 ▼g 93350
035 ▼a (KERIS)BIB000012154781
040 ▼a KYOBO ▼c KYOBO ▼d 211046 ▼d 211009
082 0 4 ▼a 351.072 ▼2 23
085 ▼a 351.072 ▼2 DDCK
090 ▼a 351.072 ▼b 2010
100 1 ▼a 남궁근 ▼g 南宮槿 ▼0 AUTH(211009)116886
245 1 0 ▼a 행정조사방법론 / ▼d 남궁근 저
246 1 1 ▼a Research methods for public administration
250 ▼a 제4판
260 ▼a 파주 : ▼b 法文社, ▼c 2010 ▼g (2014)
300 ▼a xxii, 800 p. : ▼b 삽화, 도표 ; ▼c 26 cm
440 0 0 ▼a 행정학총서
504 ▼a 참고문헌(p. 765-782)과 색인, 부록수록
900 1 0 ▼a Namkoong, Keun, ▼e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072 2010 등록번호 11159454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072 2010 등록번호 11159454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51.072 2010 등록번호 12122936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072 2010 등록번호 11159454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072 2010 등록번호 11159454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51.072 2010 등록번호 12122936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연구방법론의 최근 흐름을 충실하게 반영하여 대대적으로 보완한 <행정조사방법론> 4판. 특히 현대사회를 혁명적으로 변화시킨 인터넷을 통한 학술정보의 탐색 및 교환에 관한 내용과 최근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연구윤리에 관한 내용을 추가하였다.

제3판이 출간된 후 7년이란 적지 않은 세월이 흘렀다. 오랫동안 개정을 미루었기 때문에 이 책을 교재로 사용하는 교수님들과 독자들에게 빚을 진 것으로 생각하던 차에 연구년을 맞이하여 전면적인 개정작업을 진행하였다. 개정과정에서 연구방법론의 최근 흐름을 충실하게 반영하여 대대적으로 보완하였다. 특히 현대사회를 혁명적으로 변화시킨 인터넷을 통한 학술정보의 탐색 및 교환에 관한 내용과 최근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연구윤리에 관한 내용을 추가하였다. 신세대 독자들이 이 책을 보다 쉽게 학습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로 배려하였다. 첫째, 사례, 그림, 도표를 대폭 추가하여 시각적인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둘째, 자료분석에 사용되는 SPSS 및 AMOS 통계분석 패키지 사용방법을 소개하여 학생들이 실습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셋째, 각 장별로 복습과제를 제시하였는데, 학사과정 학생들에 해당하는 문제와 더불어 학위논문을 작성하는 대학원 학생들에 해당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담당교수님의 지도를 토대로 학습자들이 자신의 수준에 맞게 활용하면 되겠다. 넷째, 더 깊이 있는 공부를 원하는 학습자들을 위하여 각 장 말미에 추천문헌을 수록하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남궁근(지은이)

학력:서울대학교에서 정치학사(1976)와 행정학석사(1978), 미국 Pittsburgh대학교에서 행정학박사(1989) 학위를 받았다. 경력:제19회 행정고시에 합격(1977)한 후 경제기획원 사무관(1981-1982)으로 근무하였고, 경상대학교 행정학과 교수(1982-2001)를 거쳐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에서 행정학과와 IT정책전문대학원 교수(2001-2019), 초대 IT정책대학원장(2003-2005)과 제10대 총장(2011-2015)을 역임한 후 2019년 정년퇴직하였고, 현재 명예석좌교수이다. 미국 UC Berkeley LG연암재단 연구교수(1996), 벨기에 KU Leuven 방문교수(2010),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객원교수(2016),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석좌연구위원(2020-2021)을 지냈다. 학회활동:한국행정학회의 43대 회장(2008)과 연구위원장(2002), &#65378;한국행정학보&#65379; 편집위원장(2000), 한국행정연구원 발간 &#65378;한국행정연구&#65379; 편집위원장(2016-2019),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의 &#65378;정책분석평가학회보&#65379; 편집위원장(1999)으로 봉사하였다. 저서:&#65378;정책학&#65379;(2021), &#65378;행정조사방법론&#65379;(2021), Public Administration and Policy in Korea(co-ed., 2018),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and KAPA(ed., 2009), &#65378;정책분석론&#65379;(공역, 2018), &#65378;비교정책연구&#65379;(1999), &#65378;스칸디나비아 국가의 거버넌스와 개혁&#65379;(공저, 2006), &#65378;전자정부를 통한 부패통제: 이론과 사례&#65379;(공저, 2003), &#65378;시민과 정부개혁&#65379;(공편, 2002), &#65378;고위공무원 개방형 임용제도&#65379;(공저, 2000) 등이 있다. 주요정부자문활동:대통령 위촉 정부자문활동으로는 정부업무평가위원회 민간위원장(2018.4-2022.5), 행정정보공유추진위원회 민간위원장(2007.2-2009.2), 정책기획위원회 위원(2004.11-2008.2), 규제개혁위원회 위원(2002.12-2004.12),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인사개혁간사위원(2003.4-2005.4) 등이 있다. 시민단체활동: 행정개혁시민연합의 정책위원장(2000-2002)과 공동대표(2016-2022)를 역임하였다. 수상&#8228;상훈:미국행정대학원연합회(NASPAA)‘우수박사논문상’(honorable mention, 1989), 한국행정학회 ‘학술상-저술부문’(1999)을 수상하였다. 대한민국정부의 청조근정훈장(2019.2)과 홍조근정훈장(2005.10), 미국 피츠버그대 GSPIA ‘올해의 동문상’(2014)을 받았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과학적 연구의 의미와 논리
 제1절 연구의 의미 = 1
 제2절 지식획득방법의 유형 = 2
  1. 권위적 방법 = 3
  2. 신비적 방법 = 4
  3. 논리적-합리적 방법 = 5
  4. 경험적 방법 = 7
  5. 과학적 방법 = 8
 제3절 과학의 성격 = 10
  1. 과학과 비과학의 구분 = 10
  2. 과학의 발전 = 11
  3. 자연과학과 사회과학 = 12
  4. 과학과 사이비과학 = 13
 제4절 과학의 기본가정 = 14
  1. 자연에는 질서와 규칙성이 있다 = 15
  2. 모든 사건에는 원인이 있다 = 15
  3. 현상은 이해될 수 있다 = 17
  4. 자명한 지식은 없다 = 17
  5. 진리(truth)는 상대적이다 = 18
  6. 경험과 관찰은 지식의 원천이다 = 19
 제5절 과학적 연구과정의 논리체계 = 19
  1. 연역적 논리와 귀납적 논리의 개관 = 20
  2. 연역적 논리에 의한 추론방법 = 20
  3. 귀납적 논리에 의한 추론방법 = 21
  4. 연역법과 귀납법의 관계 = 22
  5. 행정학 연구에서 연역법과 귀납법의 적용 = 24
 복습과제 = 27
 추천문헌 = 28
제2장 과학적 연구의 목적과 유형
 제1절 사회과학 연구의 목적과 접근방법 = 31
  1. 실증주의적 관점: 기술과 설명 = 32
  2. 해석적 관점: 이해와 해석 = 41
  3. 비판이론적 관점: 비판과 실천 = 49
  4. 세 가지 접근방법의 차이점과 공통점 = 51
  5. 여성학적 관점과 포스트모던 관점 = 62
 제2절 과학적 조사연구의 유형 = 66
  1. 연구의 성격에 따른 분류: 순수연구, 응용연구, 평가연구 = 66
  2. 연구의 목적에 따른 분류: 탐색, 기술, 설명 = 68
 제3절 행정 및 정책문제의 조사연구 = 75
  1. 행정현상과 행정변수 = 75
  2. 정책결정의 단계 = 76
  3. 정책결정의 단계와 경험적 조사연구 = 80
 복습과제 = 83
 추천문헌 = 84
제3장 과학적 연구의 절차와 계획
 제1절 과학적 연구의 일반적 절차 = 87
  1. 연구문제의 선정, 이론, 개념적 준거틀 및 가설설정 = 89
  2. 연구대상의 선정 = 90
  3. 조사설계의 선택 = 91
  4. 개념화 및 조작화 = 92
  5. 자료수집 = 93
  6. 자료분석 = 94
  7. 자료해석 및 보고서 작성 = 94
 제2절 연구의 분석단위 = 95
  1. 분석단위의 분류 = 97
  2. 분석단위 선정과 해석의 오류 = 100
 제3절 연구의 시간적 범위 = 103
  1. 횡단적 연구 = 103
  2. 종단적 연구 = 103
  3. 분석단위가 지방정부나 국가인 경우 = 108
 제4절 연구계획서의 작성 = 110
  1. 연구계획서의 의미 = 110
  2. 연구계획서의 구성요소 = 110
  3. 연구계획서의 활용 = 113
 복습과제 = 114
 추천문헌 = 115
제4장 연구문제와 이론ㆍ개념적 준거틀 및 가설
 제1절 연구문제 = 117
  1. 연구문제의 의미와 유형 = 117
  2. 연구문제의 원천 = 121
  3. 연구문제의 평가기준 = 123
  4. 연구문제의 형성과정 = 124
  5. 규범적 질문의 경험적 질문으로의 전환 = 126
  6. 경험적 연구문제의 사례 = 128
 제2절 이론 = 129
  1. 연구문제와 이론의 중요성 = 129
  2. 이론의 개념과 구조 = 130
  3. 연역적 이론형성과 귀납적 이론형성 = 133
  4. 이론과 관련개념 = 134
  5. 이론의 분류 = 136
  6. 이론평가의 기준 = 139
 제3절 연구의 개념적 준거틀 = 141
  1. 개념적 준거틀의 의미 = 141
  2. 개념적 준거틀의 구성과정 = 141
  3. 개념적 준거틀의 표현방법 = 150
  4. 개념적 준거틀의 기능 = 154
 제4절 가설 = 155
  1. 가설(Hypothesis)의 의미 = 155
  2. 가설의 종류 = 156
  3. 가설의 기능 = 159
  4. 연구가설의 사례 = 161
 복습과제 = 162
 추천문헌 = 164
제5장 기존문헌의 검토
 제1절 기존문헌 검토의 의의와 유형 = 165
  1. 기존문헌 검토의 의의 = 165
  2. 기존문헌 검토의 목적 = 167
  3. 기존문헌 검토의 시기 = 167
  4. 일반적 문헌검토의 주요쟁점 = 168
  5. 기존문헌의 체계적 검토 = 170
  6. 메타분석 = 171
 제2절 기존문헌검토의 절차와 기술 = 173
  1. 기존문헌검토의 절차 = 173
  2. 기존문헌 검토대상의 선택 = 173
  3. 문헌검색 = 174
  4. 개별문헌의 검토와 평가 = 181
  5. 기존문헌 검토결과의 기술 = 184
  6. 상충되는 연구결과의 검토 및 종합사례 = 186
 제3절 메타분석 = 193
  1. 메타분석의 특징과 필요성 = 193
  2. 효과의 크기 = 194
  3. 메타분석의 장점과 단점 = 195
  4. 전망 = 197
 복습과제 = 197
 추천문헌 = 198
제6장 인과관계의 추론
 제1절 원인의 개념 = 201
  1. 원인, 결과, 인과관계의 개념 = 201
  2. 행정 및 정책연구에서의 원인 = 202
  3. 사회적 인과관계의 복잡성과 다원적 원인론 = 203
 제2절 인과적 추론의 조건 = 204
  1. 시간적 선후관계 = 205
  2. 공동변화와 연관성 = 205
  3. 비허위적 관계 = 207
 제3절 조사설계의 타당성과 위협요인 = 212
  1. 타당성의 개념 및 종류 = 212
  2. 통계적 결론의 타당성 = 214
  3. 내적 타당성의 의미와 위협요인 = 214
  4. 구성개념의 타당성과 위협요인 = 226
  5. 외적 타당성과 위협요인 = 235
  6. 타당성의 유형 요약 = 241
 복습과제 = 243
 추천문헌 = 244
제7장 설명적 조사설계
 제1절 설명적 조사설계의 기본원리 = 245
  1. 인과적 설명을 위한 조사설계의 원리 = 245
  2. 실험설계의 구성요소 = 248
  3. J. S. Mill의 실험설계 기본논리 = 255
 제2절 진실험설계 = 262
  1. 기본적인 설계 = 264
  2. 복잡한 설계 = 266
  3. 사회실험과 그 사례 = 278
 제3절 준실험설계 = 282
  1. 인과적 추론이 비교적 가능한 준실험설계 = 283
  2. 인과적 추론이 어려운 준실험설계 = 301
 제4절 비실험설계 = 305
  1. 통계적 통계 = 306
  2. 인과모형에 의한 추론 = 308
 복습과제 = 314
 추천문헌 = 317
제8장 기술적 조사설계
 제1절 기술적 조사연구의 개념 및 유형 = 319
  1. 기술적 조사연구의 개념과 특징 = 319
  2. 기술적 조사연구의 유형 = 320
 제2절 횡단적 조사설계 = 323
  1. 횡단적 설계의 개념과 단계 = 323
  2. 횡단적 조사의 유형 = 325
 제3절 내용분석의 설계 = 330
  1. 내용분석의 의미 = 330
  2. 내용분석의 절차와 방법 = 331
 제4절 미래예측 설계 = 336
  1. 미래의 유형과 미래예측의 방법 = 336
  2. 양적 방법에 의한 미래예측 = 338
  3. 질적 방법에 의한 미래예측 = 347
 복습과제 = 354
 추천문헌 = 356
제9장 질적 연구의 조사설계
 제1절 질적 연구의 개념과 특징 = 357
  1. 질적 연구의 개념 = 357
  2. 대두 배경 = 358
  3. 질적 연구의 목적 = 359
  4.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 360
 제2절 질적 연구의 방법 개관 = 367
  1. 근거이론 = 368
  2. 문화기술적 방법 = 369
  3. 현상학적 연구 = 369
  4. 해석학 = 370
  5. 사례연구 = 371
  6. 행위연구 = 371
 제3절 근거이론연구의 설계 = 373
  1. 근거이론의 개념 = 373
  2. 근거이론 연구의 절차 = 373
  3. 근거이론의 적용사례 = 380
 제4절 문화기술적 연구의 설계 = 381
  1.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의 의미와 특징 = 381
  2. 문화기술적 연구의 절차 = 382
  3. 행정연구에서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의 적용 = 383
 제5절 행위연구의 설계 = 384
  1. 행위연구의 개념 = 384
  2. 행위연구의 유형 = 385
  3. 행위연구의 절차 = 387
  4. 행정연구에서 행위연구의 적용 = 389
 제6절 사례연구의 설계 = 390
  1. 사례연구의 개념과 특징 = 390
  2. 사례연구의 유형 = 399
  3. 사례연구설계의 요소와 절차 = 403
  4. 사례조사설계의 유형 = 407
  5. 행정연구에서 사례연구의 적용 = 418
 제7절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혼합 = 419
  1. 혼합방법의 사용가능성 = 419
  2. 혼합방법의 설계유형 = 420
 복습과제 = 422
 추천문헌 = 424
제10장 개념과 측정
 제1절 서론 = 425
  1. 질적 연구의 개념 = 425
 제2절 개념, 구성개념 및 개념적 정의 = 428
  1. 개념 및 구성개념 = 428
  2. 개념적 정의 = 429
 제3절 변수와 조작적 정의 = 430
  1. 변수 = 430
  2. 조작적 정의 = 431
  3. 개념적 정의와 조작적 정의의 사례 = 432
  4. 변수의 종류 = 436
 제4절 변수의 측정 = 438
  1. 측정의 개념 = 438
  2. 측정의 수준과 척도 = 440
 제5절 측정도구와 척도의 구성 = 445
  1. 측정도구 및 척도의 의미 및 필요성 = 445
  2. 척도구성의 기본전제 = 446
  3. 척도구성의 방법 = 449
  4. 척도분석의 방법 = 460
 제6절 지수와 정책지표 = 470
  1. 지수의 의미와 작성방법 = 470
  2. 사회지표와 정책지표 = 477
 복습과제 = 485
 추천문헌 = 488
제11장 측정의 타당성과 신뢰성
 제1절 측정과 측정오차 = 489
  1. 측정오차의 개념 = 489
  2. 측정오차의 종류: 체계적 오차와 무작위오차 = 490
 제2절 측정의 타당성 = 492
  1. 타당성의 개념 = 492
  2. 내용타당성과 평가방법 = 493
  3. 기준타당성과 평가방법 = 494
  4. 구성개념 타당성 = 496
 제3절 측정의 신뢰성 = 503
  1. 신뢰성(reliability)의 개념과 차원 = 503
  2. 신뢰도의 추정방법 = 509
  3. 신뢰도의 제고방안 = 512
 복습과제 = 514
 추천문헌 = 515
제12장 표본추출 및 표본설계
 제1절 표본추출의 의의 = 517
  1. 표본추출의 의의 = 517
  2. 표본조사의 이점 = 518
 제2절 표본추출의 기초개념 = 519
  1. 모집단 = 519
  2. 구성요소와 표본추출단위 = 520
  3. 표본추출의 프레임 = 520
  4. 표본추출비율 = 522
  5. 표본추출오차와 비표본추출오차 = 522
  6. 표본조사에서의 추론 = 523
 제3절 표본추출의 설계 = 525
  1. 표본추출설계의 의의 = 525
  2. 확률표본추출의 방법 = 526
  3. 비확률표본추출의 방법 = 537
 제4절 표본추출분포에 관한 이론 = 542
  1. 표본추출분포의 의미 = 542
  2. 표본평균의 표본추출분포 = 543
  3. 표본비율의 표본추출분포 = 548
 제5절 표본추출오차와 표본크기의 결정 = 549
  1. 표본추출오차와 비표본추출오차 = 549
  2. 표본크기의 신뢰수준에 따른 표본추출오차의 크기 = 550
  3. 적정표본크기의 결정 = 552
 복습과제 = 555
 추천문헌 = 557
제13장 자료수집방법
 제1절 자료의 종류와 수집방법 = 559
  1. 자료의 종류 = 559
  2. 자료수집방법의 분류 = 561
 제2절 서베이 조사방법과 질문서 = 562
  1. 서베이 조사방법의 의의 = 562
  2. 질문서의 작성 = 566
  3. 질문서 적용방법 = 583
 제3절 관찰방법 = 593
  1. 관찰방법의 의의 = 593
  2. 관찰방법의 유형 = 593
  3. 관찰방법의 장점과 단점 = 595
 제4절 면접방법 = 597
  1. 면접방법의 의의 = 597
  2. 면접방법의 종류 = 598
  3. 초점집단면접 = 599
  4. 심층면접 = 600
 제5절 2차 자료 수집방법 = 601
  1. 2차 자료 수집의 의의 = 601
  2. 2차 자료의 유형 = 602
  3. 2차 자료의 원천 = 603
 제6절 자료수집방법의 선택기준 = 605
  1. 현지상황의 특성 = 605
  2. 자료수집방법의 타당도와 신뢰도 = 609
  3. 자료수집비용 = 610
 복습과제 = 611
 추천문헌 = 613
제14장 자료분석방법
 제1절 통계적 자료분석의 기초 = 615
  1. 조사연구의 목적: 기술 또는 설명 = 616
  2. 분석해야 할 변수의 수 = 616
  3. 변수측정의 수준 = 617
 제2절 단일변수의 기술통계 = 618
  1. 중앙경향값의 측정수단 = 619
  2. 산포도의 측정수단 = 620
  3. 분포형태의 측정수단 = 623
  4. SPSS를 활용한 기술통계분석 = 624
 제3절 통계적 가설검증의 의의와 절차 = 630
  1. 통계적 가설검증의 의의 = 630
  2. 통계적 가설검증의 과정 = 635
  3. 변수간 연관성 분석과 가설검증 = 642
 제4절 교차분석과 카이제곱 검증 = 645
  1. 교차분석: 명목변수간의 연관성 분석 = 645
  2. SPSS 교차분석의 실행 = 651
 제5절 상관분석 = 653
  1. 상관분석 개념 = 653
  2. SPSS 상관분석의 실행 = 658
 제6절 회귀분석 = 660
  1. 회귀분석의 개념 = 660
  2. SPSS 회귀분석의 실행 = 664
 제7절 분산분석 = 667
  1. 분산분석의 의미 = 667
  2. SPSS 일원배치 분산분석의 실행 = 670
  3. SPSS 다요인 분산분석의 실행 = 672
 제4절 다변량분석 개관 = 674
  1. 다변량통계분석기법의 분류 = 674
  2. 다변량분석기법 개관 = 676
 제5절 소시오메트리와 연결망분석 = 679
  1. 소시오메트리 = 679
  2. 연결망분석 = 685
 복습과제 = 689
 추천문헌 = 691
제15장 영향력 비교와 공분산구조분석
 제1절 독립변수의 상대적 영향력 비교 = 693
  1. 개관 = 693
  2. 상관분석 = 695
  3. 부분상관분석 = 696
  4. 다중회귀분석 = 698
  5. 경로분석 = 699
  6. 공분산구조분석 = 700
  7. 상대적 영향력 비교방법 적용사례 = 702
  8. 요약 = 709
 제2절 공분산구조모형 = 710
  1. 공분산구조분석의 개념과 대두배경 = 710
  2. LISREL 공분산구조모형의 분석절차 = 715
  3. AMOS 분석모형과 활용사례 = 726
  3. 공분산분석모형의 활용분야와 한계 = 731
 복습과제 = 732
 추천문헌 = 733
제16장 연구보고서 작성과 활용
 제1절 연구보고서의 유형과 구조 = 735
  1. 연구보고서의 목적 = 735
  2. 학술연구보고서의 구조 = 736
  3. 정책분석보고서의 특징과 구조 = 742
 제2절 연구보고서 작성과 연구윤리 = 744
  1. 연구윤리의 중요성 = 744
  2. 연구진실성과 연구부정행위의 개념 = 745
  3. 연구부정행위의 유형 = 748
 제2절 연구결과의 활용 = 751
  1. 연구결과의 활용과정 = 751
  2. 연구결과의 활용유형 = 752
  3. 정책결정에서 연구결과 활용의 증진방안 = 754
 복습과제 = 758
 추천문헌 = 758
부록 = 759
참고문헌 = 765
사항색인 = 783
인명색인 = 79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