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79namcc2200277 c 4500 | |
001 | 000045611832 | |
005 | 20101004155555 | |
007 | ta | |
008 | 101004s2010 ggkd b 001c kor | |
020 | ▼a 9788918103358 ▼g 9332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31 ▼2 22 |
085 | ▼a 331 ▼2 DDCK | |
090 | ▼a 331 ▼b 2010 | |
100 | 1 | ▼a 조우현 ▼g 曺尤鉉 ▼0 AUTH(211009)12794 |
245 | 1 0 | ▼a 일의 세계 경제학 / ▼d 조우현 |
246 | 1 1 | ▼a Economics in the world of work |
250 | ▼a 제2판 | |
260 | ▼a 파주 : ▼b 法文社, ▼c 2010 | |
300 | ▼a xxi, 726 p. : ▼b 도표 ; ▼c 26 cm | |
440 | 0 0 | ▼a 경제학총서 |
500 | ▼a 이 책은 1998년에 출간한 '노동경제학'을 교정, 보완함 | |
504 | ▼a 참고문헌(p. 705-709)과 색인수록 | |
740 | 2 | ▼a 노동경제학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 2010 | 등록번호 11159444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 2010 | 등록번호 11159444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2010년 2월 발행된 <일의 세계 경제학>의 개정판. 노동시장 진입 이전 개인의 재능의 발견, 연마 그리고 비교우위에 의한 분업과 특화를 이 책의 출발점(2장과 3장)으로 삼고, 25세에서 65세까지의 주된 관심사인 일자리 창출을 이 책의 종착점(16장)으로 삼았다.
2010년 2월 이 책의 초판이 나온 지 불과 6개월 만에 개정판을 내게 되었다. 나는 초판이 발간되기 전, 교정을 최소 3회 이상 보았지만, 책이 발간된 후 많은 오타 및 문장의 부정확함 등이 발견되어, 이들을 수정한 후의 책을 개정판으로 하였다. 초판을 구입한 독자들을 위하여 중요한 수정이 가해진 페이지(page)에 국한하여, 수정된 부분을 붉은색으로 표시한 pdf파일을 법문사 홈페이지(http://www.bobmunsa. co.kr) 공지사항에 올려 놓았다. 초판을 구입한 독자들에 끼친 번거로움에 심심한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 금년이 연구년이고 해서 나는 더운 여름을 강원도 홍천 공작산 수타사에 머물면서, 개정판 작업을 마쳤다. 불사에서의 첫 예불은 새벽 네 시에 있다. 예불 목탁소리를 듣고 일어나, 오타 수정 및 문장 교정 작업을 행하였다. 이제 온전한 책이 된 듯하다. 필자 나름대로는 각고의 노력으로 이 책을 내게 되었지만, 능력이 부족하여 아직도 미흡한 부분이 많다고 독자들은 판단할 수도 있다. 앞으로 수준 높은 독자들의 많은 비판과 제언(提言)을 받아가며, 보다 좋은 책으로 손질해 나갔으면 한다. 개정판을 냄과 동시에 나는 이 책의 영역을 공작산 수타사에서 진행 중이다. 전문번역가인 황은영 씨의 작업을 내가 영문 교정을 보고 있다. 책 이름은 The Economic Analysis of the World of Work with Special Reference to Korea로 잠정적으로 정하였다. 일차 번역이 완결되면 미국 또는 영국 출판사에 보내어 글로벌 시장에 이 책을 출간할 예정으로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제 I 편 일의 세계에 관한 경제학의 출발점 제 1 장 일의 세계에 관한 경제학 제 1 절 일의 세계 4 제 2 절 일의 세계에 관한 경제학 7 제 3 절 일의 세계 경제학의 지향성 12 제 II 편 개인에 의한 재능의 발견과 연마 제 2 장 비교우위에 의한 분업과 특화 제 1 절 개인의 생애주기에 있어서 청년기 20 제 2 절 리카도 모형에 의한 분업과 완전 특화 21 제 3 절 교역으로부터 기대되는 이익 27 제 4 절 리카도 비교우위론의 몇 가지 응용 34 제 5 절 교육이 분업과 특화에 미치는 영향 40 제 3 장 교육투자 제 1 절 왜 교육에 투자할까 44 제 2 절 대학진학의 선택: 개인교육투자모형의 예 48 제 3 절 간판으로서의 교육 투자: 신호모형의 적용 58 제 4 절 대학교육의 높은 비용과 ‘가난의 대물림’ 63 제 5 절 고졸자의 능력개발 70 제 6 절 교육이 임금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통계적 방법 76 보 론 통계분석 기법의 이해 84 제 III 편 노동시장론 제 4 장 노동시장의 개관 제 1 절 노동시장의 정의 100 제 2 절 고용과 임금의 정의와 측정 102 제 3 절 노동에 대한 수요 113 제 4 절 노동의 공급 124 제 5 절 경쟁노동시장의 균형과 기능 129 제 6 절 일자리 근무여건의 차이와 보상적 임금격차 137 제 7 절 대졸자와 고졸자 일자리간의 임금격차 141 제 5 장 노동수요의 기본 이론과 응용 제 1 절 경쟁기업의 이윤극대화와 비용최소화 150 제 2 절 경쟁기업의 장기노동수요곡선 155 제 3 절 경쟁산업의 노동수요곡선 169 제 4 절 준고정적 노동비용과 기업의 선택 176 제 5 절 최저임금제 183 제 6 절 노동시장유연성: 정의, 유형 및 정책 190 제 6 장 노동수요의 변동을 낳는 요인들과 그 파급효과 제 1 절 국제무역과 노동수요의 변화 198 제 2 절 글로벌 생산의 확대와 노동수요 209 제 3 절 기술진보가 노동수요에 미치는 영향215 제 4 절 일자리와 근로자 간의 불합치: 구조적 실업 224 제 5 절 불완전 경쟁기업의 고용과 임금 결정 229 보 론 생산가능성곡선의 도출 235 제 7 장 노동공급의 기본 이론과 응용 제 1 절 노동공급의 여러 차원들 242 제 2 절 소득-여가 선택모형과 경제활동참가 247 제 3 절 노동시간의 결정과 노동공급곡선 259 제 4 절 근로를 유인하는 복지프로그램 267 제 5 절 가계생산과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275 제 8 장 저출산, 고령화 관련 장기의 노동공급 제 1 절 저출산의 경제분석 : 베커의 가계생산이론 284 제 2 절 여성의 경력단절과 저출산 294 제 3 절 출산장려 정책 298 제 4 절 급속한 고령화와 노동공급 애로 309 제 5 절 외국인 노동공급 319 제 9 장 헤도닉 임금론 제 1 절 헤도닉(HEDONIC) 임금이란? 330 제 2 절 개인의 무차별곡선과 기업의 등이윤선 331 제 3 절 헤도닉 임금의 결정 336 제 4 절 헤도닉 모형의 응용 341 제 5 절 산업안전의 경제분석 350 제 IV 편 근로자 재능의 발견, 연마 및 노사간 짝짓기 제10장 비대칭적 정보와 노사 간의 짝짓기 제 1 절 비대칭적 정보의 현실 364 제 2 절 기업의 선별과 근로자의 신호 368 제 3 절 성과연동의 보수 376 제 4 절 성공적인 짝짓기를 위한 직장탐색 389 제 5 절 효율적 직장이동 가설 395 제11장 일의 세계에서의 인적자본 투자 제 1 절 일의 세계에서의 훈련 400 제 2 절 일반적 훈련, 기업특수적 훈련 및 기업의 임금·고용 정책 406 제 3 절 기업의 생산방식과 숙련의 폭과 깊이 418 제 4 절 숙련근로자의 부족과 숙련갭 427 제 5 절 숙련의 획득·향상에서 시장의 역할 431 보 론 개인의 인적자본 투자에 관한 벤-포라 모형 440 제12장 내부노동시장의 특징과 이론적 조명 제 1 절 내부노동시장의 기원과 전망 450 제 2 절 일자리 서열구조와 제한된 입직구 454 제 3 절 내부승진과 장기계약 458 제 4 절 내부노동시장에서의 동기유발 임금 463 제 5 절 내부노동시장의 유형 473 제 6 절 한국 공공부문 내부노동시장의 분석 477 제 V 편 불평등과 실업 제13장 노동조합: 보다 평등한 삶을 위한 토대 제 1 절 노동조합의 정의, 이념 및 조직 496 제 2 절 노동정치 영역에서의 사회민주주의와 자유주의 510 제 3 절 단체교섭, 파업, 그리고 단체협약 518 제 4 절 노동조합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529 제 5 절 한국의 노동조합 운동의 특징과 위기 540 제 6 절 노동조합 성장을 위해서 무엇을 할 것인가 제14장 불평등, 차별, 그리고 사회정책 제 1 절 분배의 형평성 562 제 2 절 비정규근로자의 노동시장 568 제 2 절 여성노동시장 580 제 4 절 소득분배의 불평등: 측정과 실태 598 제 5 절 형평성 증진의 사회정책 606 제15장 경제의 거시적 변동과 실업 제 1 절 실업의 종류와 실업대책 620 제 2 절 경기적 실업 분석의 두 흐름 625 제 3 절 케인즈학파의 경기적 실업분석과 몇가지 반론들 629 제 4 절 통화주의와 공급 중시 경제학의 처방 648 제 5 절 글로벌 불균형과 경기적 실업-미국, 일본, 한국의 사례 658 제 6 절 단기와 장기의 실업대책: 종합 664 제 VI 편 일의 세계 경제학의 종착점 제16장 일자리 창출의 정치경제학 제 1 절 핵심적인 일자리 창출 모델 678 제 2 절 덴마크의 유연안정성 모델과 그 함의 684 제 3 절 한국 정부기능의 전면적 재조정 695 제 4 절 상명하복(上命下服)에서 자율과 창의 존중의 문화 형성 699 제 5 절 합리적 진보주의의 길 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