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한국의 근대박람회

한국의 근대박람회 (Loan 16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이각규
Title Statement
한국의 근대박람회 / 이각규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10  
Physical Medium
viii, 671 p. : 삽화, 연표 ; 24 cm
ISBN
9788964060841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657-671)과 색인, 부록수록
000 00675camcc2200229 c 4500
001 000045611763
005 20110921164844
007 ta
008 101004s2010 ulkaj b 001c kor
020 ▼a 9788964060841 ▼g 93300
035 ▼a (KERIS)BIB000012148229
040 ▼a KYOBO ▼c KYOBO ▼d 211046 ▼d 211009 ▼d 244002
082 0 4 ▼a 659.152 ▼2 22
085 ▼a 659.152 ▼2 DDCK
090 ▼a 659.152 ▼b 2010z4
100 1 ▼a 이각규 ▼0 AUTH(211009)54712
245 1 0 ▼a 한국의 근대박람회 / ▼d 이각규 지음
260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c 2010
300 ▼a viii, 671 p. : ▼b 삽화, 연표 ; ▼c 24 cm
504 ▼a 참고문헌(p. 657-671)과 색인, 부록수록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659.152 2010z4 Accession No. 15129121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모든 박람회가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박람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려면 전략적인 기획력과 풍부한 실무 노하우가 필요하다. 이 책은 우리나라 근대사의 한 축을 이루는 근대박람회의 기획부터 각 박람회가 낳은 성과까지, 배치도와 홍보물, 전시관 등의 풍부한 사진 자료와 근대박람회 면면을 알 수 있는 신문기사까지 모두 담았다. 조선 말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개최된 박람회의 실무 사례가 오늘날 박람회 관련 전문가들에게 알려 주는 지식은 여전히 유효하다.

이 책은 크게 7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 근대박람회 경험과 세계박람회 참가는 외국박람회 관람과 박람회를 통한 조선의 개화, 최초로 참가한 1893년 시카고세계박람회, 대한제국의 1900년 파리세계박람회 참가를, 2장 대한제국의 박람회와 일본박람회의 조선인 전시에는 대한제국의 박람회 제도 정비와 박람회 개최 추진, 일본박람회의 조선인 전시, 우리나라 최초의 박람회인 1906년 부산일한상품박람회와 서울에서 개최된 대형 박람회인 1907년 경성박람회를 소개하였다. 3장 일제강점기 일본박람회 참가와 조선에서의 박람회 개최는 일제강점기의 일본박람회 참가, 군소박람회 시대, 소비를 자극한 각종 박람회와 공진회, 기생
의 등장과 조선의 일본 기생을, 4장 식민 통치를 과시한 시정 5년 기념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는 개최 의도, 개최 취지 및 운영 조직, 남녀 간수(운영도우미) 채용과 개최 준비, 관람객의 동원, 회장 배치와 전시 시설, 각종 행사 프로그램, 공진회장 풍경, 공진회와 기생, 조선총독부박물관, 소설 속의 공진회와 지식인들의 평가를 담았다. 5장 경제불황 속에개최된 시정 20주년 기념 1929년 조선박람회에는 개최 취지와 목적, 조선총독부의 기획과 준비, 관람객 동원과 관광사업, 박람회의 유혹, 회장조성과 전시 시설, 각종 행사 프로그램, 도시화된 경성 풍경, 조선박람회의 경제적 영향, 조선박람회의 평가를, 6장 내선일체와 황국신민화의 선전장 1940년 조선대박람회는 개최 배경, 개최 목적과 전략, 박람회 준비, 박람회의 선전과 관람객 동원, 박람회장 배치와 출품물, 전시관과 부대 시설, 각종 행사 프로그램, 박람회를 통한 황국신민화, 조선대박람회의 평가를 소개하였다. 7장 한국근대박람회의 시기적 흐름과 성격은 시기별로 19세기의 주요 국가 정책이었던 세계박람회, 조선 말기의 박람회, 대한 제국 시기의 박람회, 일제강점기의 박람회를 소개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이각규(지은이)

한국지역문화이벤트연구소장이자 이벤트프로젝트 프로듀서다. 부산산업대학교(현 경성대학교)와 배재대학교 관광경영대학원을 졸업했으며, (주)롯데전자 광고실 디자이너, (주)대홍기획 프로모션국 이벤트팀장, (주)세륭기획 엑스포사업부장, 투웨이프로모션 대표, (주)서울광고기획 SP국 부국장을 역임했다. 현재 2030부산엑스포추진단 자문위원과 2022하동야생차엑스포 기획위원, 박람회연구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국내 최초의 국제박람회기구 공인 인정박람회였던 1993대전세계박람회의 홍보캠페인, 문화행사, 회장운영 등을 기획하고 컨설팅했다. 2012여수세계박람회를 비롯해 2001경기세계도자기엑스포, 2005∼2016고양세계꽃박람회, 2011대장경천년세계문화축전, 2012안성세계민속축전, 2013이스탄불·경주세계문화엑스포, 2013산청세계전통의약엑스포,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2014 인천아시안게임, 2017아스타나세계박람회 한국관, 2030부산세계등록박람회 유치 타당성조사 등을 기획·컨설팅하고 심사·평가했다. 2005년 아이치세계박람회부터 모든 세계박람회를 현장 조사했으며, 박람회 실무이론과 박람회학(EXPOLOGY)의 체계화를 위해 다양한 연구와 저술을 하고 있는 전문가다. 주요 저서로 『이벤트 성공의 노하우(최신 개정판)』(2017), 『박람회프로듀스』(2015), 『세계박람회 기업관의 전략과 실제』(2015, 공저), 『한국의 근대박람회』(2010), 『지역이벤트』(2008), 『문화관광축제 변화와 성과 1996∼2005』(2007), 『이벤트 성공의 노하우(개정판)』(2007), 『21세기 지역이벤트 전략』(2000) 등이 있다. 역서로 『국제박람회와 메가이벤트 정책』(2012), 『국제박람회 역사와 일본의 경험』(2011), 『기업은 이런 축제에 투자한다』(2011), 『기적을 만드는 이벤트 전략』(1994)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ⅴ
차례 = ⅸ
01 근대박람회 경험과 세계박람회 참가
 외국 박람회 관람과 박람회를 통한 조선의 개화 = 2
  조선 보빙사의 보스턴기업박람회 관람 = 2
  『서유견문』에 소개된 박람회 = 5
  국제산업박람회 추진과 절실했던 개화 의지 = 7
 최초로 참가한 1893년 시카고세계박람회 = 9
  정경원의 활동과 초라했던 조선 전시실 = 10
  조선 전시실의 전시 내용과 관련 기록 = 16
  결과 보고와 출품물 처리 = 22
 대한제국의 1900년 파리세계박람회 참가 = 26
  대한제국위원회 구성 = 26
  대한제국관의 건립 과정 = 29
  대한제국관의 건립 = 36
  대한제국관의 전시 = 39
  전시 평가와 출품물 처리 = 53
  '인종 전시' 부문에 출품된 고종황제의 초상화 = 54
 세계박람회 참가와 서구의 시각 = 56
  세계박람회 참가와 박람회 관련법 제정 = 57
  조선관 전시에 대한 서구의 시각 = 57
02 대한제국의 박람회와 일본박람회의 조선인 전시
 박람회 제도 정비와 박람회 개최 = 60
  박람회 관련 제도 정비 = 60
  다양한 박람회 개최와 외국박람회 참가 = 63
 일본박람회의 조선인 전시 = 68
  1903년 제5회 내국권업박람회 = 69
  1907년 도쿄권업박람회 = 73
  조선인 전시에 대한 조선인의 반응 = 79
 우리나라 최초의 박람회 1906년 부산일한상품박람회 = 87
  개최 배경 및 취지 = 89
  박람회 추진 및 출품물 = 93
  박람회의 운영 = 97
  박람회의 평가 = 99
 서울에서 개최된 1907년 경성박람회 = 100
  개최 추진과 목적 = 101
  관람객 동원 = 103
  출품물과 전시관 구성 = 105
  박람회 풍경 = 107
  박람회의 평가 = 110
03 일제강점기 일본박람회 참가와 조선에서의 박람회 개최
 일제강점기의 일본박람회 참가 = 114
  조선 통감부의 1910년 영국 일영박람회 참가 = 114
  조선총독부의 일본박람회 참가 = 122
  1922년 평화기념 도쿄박람회의 조선관과 조선 시찰단 = 139
 군소박람회 시대 = 152
  1910년대 = 152
  1920년대 = 153
  1930년대 = 157
  1940년대 = 160
 소비를 자극한 각종 박람회와 공진회 = 161
  흥행몰이 행사로 전락한 1915년 가정박람회 = 162
  경제난 속에 개최된 1923년 조선부업품공진회 = 167
  대형 박람회의 예행연습 1926년 조선박람회 = 173
 기생의 등장과 조선의 일본 기생 = 178
  박람회의 기생 등장 = 178
  조선의 일본 기생 = 180
04 식민 통치를 과시한 시정 5년 기념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
 개최 의도 = 186
 개최 취지 및 추진 = 188
  개최 취지 = 188
  개최 추진 = 190
  운영조직 및 인원 = 190
 남녀 간수 채용과 개최 준비 = 182
  남녀 간수의 채용 = 193
  개최 준비 및 선전 = 195
 관람객의 동원과 성격 = 199
  관람객의 동원 = 199
  관람객의 성격 = 202
 회장 배치와 전시 시설 = 206
  공진회장 배치와 출품물 = 207
  전시관과 주요 시설 = 216
  전시관 = 220
 각종 행사 프로그램 = 252
  공식행사 = 252
  기획행사 = 260
  공연 및 영화상영, 특별행사 = 263
 개최 경비 = 272
  예산 = 273
  지출 = 273
 공진회장 풍경 = 274
 공진회와 기생 = 281
  포스터에 활용된 기생의 이미지 = 282
  연예인으로 동원된 기생 = 284
  연예관의 기생 공연 = 286
  1915년의 새 춤: '시정오년 기념성택무'와 '철도축하무' = 287
 공진회의 미술관 = 291
  근대적 미술 전시의 시작 = 293
  미술관의 전시 구성 = 294
 소설 속의 공진회와 지식인들의 평가 = 296
05 경제 불황 속에 개최된 시정 20주년 기념 1929년 조선박람회
 개최 취지 = 302
 개최 목적 = 304
 조선총독부의 기획과 준비 = 306
  시구 개정과 박람회의 장소성 = 307
  운영 조직 및 인원 = 313
  박람회 분위기 조성과 선전 활동 = 315
  감시와 통제 = 320
 관람객 동원과 관광 사업 = 326
  관람객 동원 = 326
  관광 사업 = 337
 박람회의 유혹 = 340
  일확천금을 꿈꾸었던 군상들 = 341
  마네킹걸과 여간수 = 351
 회장 조성과 전시 = 357
  박람회장 배치와 출품물 = 358
  전시관의 건설과 시설 내용 = 367
  주요 전시관과 전시물 = 371
  각종 시설 = 433
 각종 행사 프로그램 = 450
  공식행사 = 450
  기획행사 = 456
  공연 및 오락 = 462
 소요 예산 및 경성협찬회 수지 결산 = 475
 근대화된 경성 풍경 = 478
  시골 사람의 경성 구경 = 478
  백화점의 등장 = 489
  구경거리가 되는 관람객, 봇다리 = 495
 조선박람회의 경제적 영향 = 498
  조선박람회가 경성의 경제에 미친 영향 = 499
  조선박람회 페막과 실업자, 농촌문제 = 502
 조선박람회의 평가 = 505
06 내선일체와 황국 신민화의 선전장 1940년 조선대박람회
 개최 배경 = 514
 개최 목적과 전략 = 516
  개최 목적 = 516
  개최 전략 = 517
 박람회 준비 = 518
  박람회의 추진 = 518
  장소 선정 = 520
  규모 및 소요 경비 = 522
 선전 활동과 관람객 동원 = 523
  선전 활동 = 523
  관람객 동원 = 526
 박람회장 배치와 출품물 = 527
  박람회장 배치 = 528
  출품물과 심사 = 529
 전시관과 부대 시설 = 530
  전시관의 특징 = 532
  주요 전시관 = 539
  기타 전시관 = 547
  부대 시설 = 582
 각종 행사 프로그램 = 584
  공식행사 = 584
  특별행사 = 586
  각종 공연 = 588
 박람회장 풍경 = 590
 박람회를 통한 황국 신민화 = 595
 조선대박람회의 평가 = 599
07 한국 근대박람회의 시기적 흐름과 성격
 19세기의 주요 국가정책이었던 세계박람회 = 602
 조선 말기의 박람회 = 602
 대한제국 시기의 박람회 = 603
 일제강점기의 박람회 = 605
 박람회 정책의 성과와 한계 = 609
부록 = 613
그림 찾아보기 = 620
표 찾아보기 = 642
국립중앙도서관 제공 사진 자료 목록 = 643
참고문헌 = 65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