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실전 미디어플래닝 노트 : 실무자와 학생들을 위한 가이드북 개정판

실전 미디어플래닝 노트 : 실무자와 학생들을 위한 가이드북 개정판 (1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권오범 權五範
서명 / 저자사항
실전 미디어플래닝 노트 : 실무자와 학생들을 위한 가이드북 / 권오범 지음
판사항
개정판
발행사항
파주 :   한국학술정보,   2010  
형태사항
467 p. : 삽화, 도표 ; 23 cm
ISBN
9788926814307
서지주기
참고문헌: p. 465
000 00668camcc2200241 c 4500
001 000045611647
005 20101001135304
007 ta
008 101001s2010 ggkad b 000c kor
020 ▼a 9788926814307 ▼g 93300
035 ▼a (KERIS)REW000000096737
040 ▼d 211009
082 0 4 ▼a 659.1 ▼2 22
085 ▼a 659.1 ▼2 DDCK
090 ▼a 659.1 ▼b 2010z8
100 1 ▼a 권오범 ▼g 權五範
245 1 0 ▼a 실전 미디어플래닝 노트 : ▼b 실무자와 학생들을 위한 가이드북 / ▼d 권오범 지음
250 ▼a 개정판
260 ▼a 파주 : ▼b 한국학술정보, ▼c 2010
300 ▼a 467 p. : ▼b 삽화, 도표 ; ▼c 23 cm
504 ▼a 참고문헌: p. 465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59.1 2010z8 등록번호 11159409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수년간의 미디어플래닝 업무경력과 다양한 강의경험을 바탕으로 학생들과 현업 실무자들이 쉽게 미디어플래닝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한 책이다.

강의를 들으면서 핵심내용을 요약 정리하듯 노트형태로 책의 내용을 실었기 때문에 기존 이론서에 비해 다소 파격적인 형태를 띄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책은 대학에서 강의교재로 채택하여 활용하기에 적합하며, 특히, 현업 미디어 업무와 관련된 저년차 미디와 플래너와 미디바이어, 그리고 AE실무자들에게 미디어플래닝 가이드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권오범(지은이)

오리콤에서 미디어플래닝 업무만 16년간 하다가 ’02년 말에 독립해서 작지만 그동안 꿈꿔왔던 전문 미디어 플래닝렙 ‘플랜미디어’를 만들어 운영 중이며 미디어플래닝 업무대행과 미디어컨설팅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후학양성을 위한 실습중심의 ‘미디어플래닝 아카데미’를 함께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주요 광고회사의 미디어플래너로 인재를 배출하고 있다. ’95년부터 한양대 등에서 대학강의를 하고 있으며 현재 숙명여대에서 겸임교수로 강의 중이다. 또한 한국방송광고공사 광고교육원에서 미디어전문가과정과 실제과정 강의를 담당하였으며 한국광고단체연합회에서 운영하고 있는 ‘애딕’에 ‘권오범의 실전 미디어플래닝’ 온라인 강좌를 열고 있다. 그리고 현재 한양대 광고학 박사과정에 있다. * 주요 논문 및 성과 - 광고미디어로서 인터랙티브TV의 특성과 적용에 관한 연구 - CATV의 광고매체 기능 활성화 방안연구 - 오리콤 미디어 효과분석 예측모델 ‘O’MEX’ 시스템 개발 외 다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Chapter 1 디지털 멀티미디어 시대와 미디어플래닝 = 15
 1. 디지털 멀티미디어와 멀티채널 시대 = 16
 2.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 특성과 변화 = 18
 3. 디지털 시대와 방송광고 환경 변화 = 27
 4. 디지털 시대의 광고 특성 = 39
 5. 디지털 시대의 효과적인 광고 = 40
 6.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플래닝 변화 방향 = 41
Chapter 2 미디어플래닝 업무 이해 = 43
 1. 미디어 관련 개념 정의 = 44
 2. 미디어플래닝 개념 정의 = 46
 3. 미디어플래닝 업무내용과 성격 = 47
 4. 미디어플래닝 업무 중심으로 본 광고회사 내부조직 = 49
 5. 일반적인 미디어플래닝 업무 진행과정 = 50
 6. 일반적인 매체기획안 전개 내용 = 51
 7. 미디어플래너의 주요 업무 = 52
 8.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미디어플래너의 과제 = 53
 9. 미디어플래너로서 갖춰야 할 기본 사항 = 54
Chapter 3 미디어플래닝 관련개념 이해 = 55
 1. 매체분석 유형과 평가 원칙 = 56
 2. 일반적인 매체 분석유형과 세부 요소 = 57
 3. 정성분석 요소와 개념 = 58
 4. 정량분석과 평가방법 유형 = 60
 5. 정량적 매체효과 평가관련 개념 = 61
 6. 정량적 매체 효율성 평가관련 개념 = 68
Chapter 4 광고판매와 규제관련 내용 이해 = 71
 1. 방송광고 판매유형과 기준 = 72
 2. 방송광고 규제관련 내용 이해 = 78
Chapter 5 양방향 광고 이해 = 83
 1. 개념 정의와 특성 = 84
 2. 광고 접근단계와 주요 판매광고 유형 = 85
 3. CM in CM 세부내용 = 86
 4. CM in Program 세부내용 = 89
 5. CM in Banner 세부내용 = 91
 6. 기타 적용 가능한 디지털 미디어 방송광고 유형 = 92
 7. 양방향 광고효과 분석결과 = 95
 8. 인쇄매체에서의 양방향 광고 = 96
Chapter 6 매체조사자료 유형과 활용 = 97
 1. 현재 국내활용 주요 매체조사자료 유형 = 98
 2. 총광고량 모니터링 조사자료 = 99
 3. 광고표현물 검색자료 = 104
 4. 극장광고 모니터링 자료 = 106
 5. 온라인광고 모니터링 자료 = 108
 6. 방송매체 가상광고, PPL 광고 모니터링 자료 = 109
 7. TV 시청률 조사자료 = 111
 8. TV 시청률 조사방법 유형 = 121
 9. 인쇄매체 열독률 조사자료 = 126
 10. 구독률 관련개념 유형과 구분 = 130
Chapter 7 도달률과 평균노출빈도 심층 이해 = 131
 1. GRPs, Reach, Avg.Freq. 상관관계 = 132
 2. 도달률과 중복 도달률 관련개념 이해 = 133
 3. 미디어플래닝시 도달률 확대 방법 = 134
 4. Frequency Distribution과 효과평가 = 139
 5. Frequency Distribution 유형별 전략적 특성비교 = 140
Chapter 8 효과적인 광고 도달률과 노출빈도 = 141
 1. 광고 노출빈도 관련 해결 이슈 = 142
 2. Avg.Freq.와 Effective Frequency = 143
 3. Response Function과 Effective Frequency = 144
 4. Response Curves 유형 = 145
 5. Effective Frequency Range = 146
 6. Effective Reach 이해와 산출방법 = 147
 7. Effective Reach 적용과 사례 = 148
 8. Effective Rating Points 이해와 산출방법 = 149
 9. ERPs와 Effective Reach에 대한 연구 = 150
 10. M.J.Naples의 Effective Frequency 연구 = 151
 11. 미디어 전략의 뉴 트렌드와 Recency Planning = 163
Chapter 9 효과적인 빈도와 도달률 수준 결정방법 = 167
 1. J.Ostrow의 효과적 빈도 결정방법 = 168
 2. 부문별 효과적 빈도 결정요인 = 169
 3. 효과적 빈도 결정 적용사례 = 173
 4. Minimum Effective Frequency 결정방법 = 174
 5. Rossiter와 Percy의 MEF 결정 주요 요인 이해 = 175
 6. MEF 요인별 적정 빈도수준과 산출방법 = 179
 7. Rossiter와 Percy의 MEF 산출사례 = 180
 8. Murray와 Jenkins의 효과적 도달범위 결정방법 = 181
Chapter 10 미디어플래닝과 마케팅전략 = 183
 1. 미디어플래닝과 마케팅전략과의 상관관계 = 184
 2. 마케팅전략의 주요 목적 = 186
 3. 마케팅전략이 미디어플래너에게 중요한 이유 = 187
 4. 미디어플래너로서 알아야 할 세부 마케팅 정보 = 188
 5. 매체기획안 수립시 영향을 주는 주요 마케팅 변수 = 193
 6. 구매과정에서의 광고와 제품의 역할과 비중 = 195
 7. 커뮤니케이션 진행과정에서의 매체의 역할과 비중 = 196
Chapter 11 매체목표와 전략 수립방법 = 197
 1. 매체목표, 매체전략, 매체전술 개념정의 = 198
 2. 매체목표의 역할과 기능 = 199
 3. 매체목표 수립 가이드라인과 설정고려 요소 = 200
 4. 매체목표 수립적용 마케팅이론과 모델 = 201
 5. 창의적인 매체전략 수립위한 주요 가이드라인 = 205
 6. 제한적인 예산 하에서의 매체전략 수립방법 = 229
 7. 미디어플래닝 단계별 종합 검토사항 = 230
 8. 미디어플래닝시 제기되는 문제점 = 233
Chapter 12 미디어믹스 전략과 비히클 선정 = 237
 1. 미디어믹스 개념이해 = 238
 2. J.Rossiter와 L.Percy의 미디어믹스 접근법 = 239
 3. 브랜드 인지도 관련 미디어믹스 제안유형 = 240
 4. 브랜드 태도 관련 미디어믹스 제안유형 = 244
 5.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관련 미디어믹스 접근법 = 249
 6. 미디어 특성에 따른 미디어 선정방법 = 250
 7. 미디어 비히클 평가와 선정기준 = 251
 8. 매체광고 형태와 효과지수 = 253
Chapter 13 스케줄링 전략과 지역선정 전략 = 265
 1. 스케줄링 전략 고려요인 = 266
 2. 스케줄링 전략 유형과 특성 = 268
 3. 지역선정 전략과 BDI, CDI 개념 = 272
 4. 지역선정 전략과 BDI, CDI Matrix 활용전략 = 275
 5. 지역선정 전략과 CI 개념 = 276
Chapter 14 광고예산 설정방법 = 277
 1. 광고예산 설정방법의 한계성과 효과측정 제약요인 = 278
 2. 광고예산 설정시 고려사항 = 279
 3. 광고예산 설정방법 연구 = 284
 4. 예산설정방법 유형 = 285
 5. 기존 제품대상 예산설정 기법 = 286
 6. 신제품대상 예산설정 기법 = 288
Chapter 15 광고효과와 매체효과 관련 연구사례 = 289
 1. Avg.Freq.와 Communication Effects 상관관계 = 290
 2. 광고 인지도와 시장 점유율과의 상관관계 = 291
 3. 구매 의향률 변화로 본 트래킹 조사 필요성 사례 = 292
 4. 시점별 인지도 변화와 결과판단 사례 = 293
 5. Voice Share와 Mind Share의 상관관계 = 294
 6. 광고 잔존효과와 자발적 회상과의 상관관계 = 295
 7. 광고 잔존효과와 브랜드 구매자 변화 사례 = 297
Chapter 16 매체평가서 사례 = 299
 1. 한국언론재단 관련 광고주 매체집행 평가서 = 300
 2. 현대자동차 월간 매체평가서 = 324
Chapter 17 매체기획안 사례 = 347
 1. 수협중앙회 기업이미지 광고 매체기획안 = 348
 2. 한국수력원자력 매체기획안 = 386
 3. 삼양라면 매체기획안 = 434
참고문헌 = 465
미디어플래닝아카데미 수강생 모집 = 466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