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ter 1 디지털 멀티미디어 시대와 미디어플래닝 = 15
1. 디지털 멀티미디어와 멀티채널 시대 = 16
2.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 특성과 변화 = 18
3. 디지털 시대와 방송광고 환경 변화 = 27
4. 디지털 시대의 광고 특성 = 39
5. 디지털 시대의 효과적인 광고 = 40
6.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플래닝 변화 방향 = 41
Chapter 2 미디어플래닝 업무 이해 = 43
1. 미디어 관련 개념 정의 = 44
2. 미디어플래닝 개념 정의 = 46
3. 미디어플래닝 업무내용과 성격 = 47
4. 미디어플래닝 업무 중심으로 본 광고회사 내부조직 = 49
5. 일반적인 미디어플래닝 업무 진행과정 = 50
6. 일반적인 매체기획안 전개 내용 = 51
7. 미디어플래너의 주요 업무 = 52
8.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미디어플래너의 과제 = 53
9. 미디어플래너로서 갖춰야 할 기본 사항 = 54
Chapter 3 미디어플래닝 관련개념 이해 = 55
1. 매체분석 유형과 평가 원칙 = 56
2. 일반적인 매체 분석유형과 세부 요소 = 57
3. 정성분석 요소와 개념 = 58
4. 정량분석과 평가방법 유형 = 60
5. 정량적 매체효과 평가관련 개념 = 61
6. 정량적 매체 효율성 평가관련 개념 = 68
Chapter 4 광고판매와 규제관련 내용 이해 = 71
1. 방송광고 판매유형과 기준 = 72
2. 방송광고 규제관련 내용 이해 = 78
Chapter 5 양방향 광고 이해 = 83
1. 개념 정의와 특성 = 84
2. 광고 접근단계와 주요 판매광고 유형 = 85
3. CM in CM 세부내용 = 86
4. CM in Program 세부내용 = 89
5. CM in Banner 세부내용 = 91
6. 기타 적용 가능한 디지털 미디어 방송광고 유형 = 92
7. 양방향 광고효과 분석결과 = 95
8. 인쇄매체에서의 양방향 광고 = 96
Chapter 6 매체조사자료 유형과 활용 = 97
1. 현재 국내활용 주요 매체조사자료 유형 = 98
2. 총광고량 모니터링 조사자료 = 99
3. 광고표현물 검색자료 = 104
4. 극장광고 모니터링 자료 = 106
5. 온라인광고 모니터링 자료 = 108
6. 방송매체 가상광고, PPL 광고 모니터링 자료 = 109
7. TV 시청률 조사자료 = 111
8. TV 시청률 조사방법 유형 = 121
9. 인쇄매체 열독률 조사자료 = 126
10. 구독률 관련개념 유형과 구분 = 130
Chapter 7 도달률과 평균노출빈도 심층 이해 = 131
1. GRPs, Reach, Avg.Freq. 상관관계 = 132
2. 도달률과 중복 도달률 관련개념 이해 = 133
3. 미디어플래닝시 도달률 확대 방법 = 134
4. Frequency Distribution과 효과평가 = 139
5. Frequency Distribution 유형별 전략적 특성비교 = 140
Chapter 8 효과적인 광고 도달률과 노출빈도 = 141
1. 광고 노출빈도 관련 해결 이슈 = 142
2. Avg.Freq.와 Effective Frequency = 143
3. Response Function과 Effective Frequency = 144
4. Response Curves 유형 = 145
5. Effective Frequency Range = 146
6. Effective Reach 이해와 산출방법 = 147
7. Effective Reach 적용과 사례 = 148
8. Effective Rating Points 이해와 산출방법 = 149
9. ERPs와 Effective Reach에 대한 연구 = 150
10. M.J.Naples의 Effective Frequency 연구 = 151
11. 미디어 전략의 뉴 트렌드와 Recency Planning = 163
Chapter 9 효과적인 빈도와 도달률 수준 결정방법 = 167
1. J.Ostrow의 효과적 빈도 결정방법 = 168
2. 부문별 효과적 빈도 결정요인 = 169
3. 효과적 빈도 결정 적용사례 = 173
4. Minimum Effective Frequency 결정방법 = 174
5. Rossiter와 Percy의 MEF 결정 주요 요인 이해 = 175
6. MEF 요인별 적정 빈도수준과 산출방법 = 179
7. Rossiter와 Percy의 MEF 산출사례 = 180
8. Murray와 Jenkins의 효과적 도달범위 결정방법 = 181
Chapter 10 미디어플래닝과 마케팅전략 = 183
1. 미디어플래닝과 마케팅전략과의 상관관계 = 184
2. 마케팅전략의 주요 목적 = 186
3. 마케팅전략이 미디어플래너에게 중요한 이유 = 187
4. 미디어플래너로서 알아야 할 세부 마케팅 정보 = 188
5. 매체기획안 수립시 영향을 주는 주요 마케팅 변수 = 193
6. 구매과정에서의 광고와 제품의 역할과 비중 = 195
7. 커뮤니케이션 진행과정에서의 매체의 역할과 비중 = 196
Chapter 11 매체목표와 전략 수립방법 = 197
1. 매체목표, 매체전략, 매체전술 개념정의 = 198
2. 매체목표의 역할과 기능 = 199
3. 매체목표 수립 가이드라인과 설정고려 요소 = 200
4. 매체목표 수립적용 마케팅이론과 모델 = 201
5. 창의적인 매체전략 수립위한 주요 가이드라인 = 205
6. 제한적인 예산 하에서의 매체전략 수립방법 = 229
7. 미디어플래닝 단계별 종합 검토사항 = 230
8. 미디어플래닝시 제기되는 문제점 = 233
Chapter 12 미디어믹스 전략과 비히클 선정 = 237
1. 미디어믹스 개념이해 = 238
2. J.Rossiter와 L.Percy의 미디어믹스 접근법 = 239
3. 브랜드 인지도 관련 미디어믹스 제안유형 = 240
4. 브랜드 태도 관련 미디어믹스 제안유형 = 244
5.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관련 미디어믹스 접근법 = 249
6. 미디어 특성에 따른 미디어 선정방법 = 250
7. 미디어 비히클 평가와 선정기준 = 251
8. 매체광고 형태와 효과지수 = 253
Chapter 13 스케줄링 전략과 지역선정 전략 = 265
1. 스케줄링 전략 고려요인 = 266
2. 스케줄링 전략 유형과 특성 = 268
3. 지역선정 전략과 BDI, CDI 개념 = 272
4. 지역선정 전략과 BDI, CDI Matrix 활용전략 = 275
5. 지역선정 전략과 CI 개념 = 276
Chapter 14 광고예산 설정방법 = 277
1. 광고예산 설정방법의 한계성과 효과측정 제약요인 = 278
2. 광고예산 설정시 고려사항 = 279
3. 광고예산 설정방법 연구 = 284
4. 예산설정방법 유형 = 285
5. 기존 제품대상 예산설정 기법 = 286
6. 신제품대상 예산설정 기법 = 288
Chapter 15 광고효과와 매체효과 관련 연구사례 = 289
1. Avg.Freq.와 Communication Effects 상관관계 = 290
2. 광고 인지도와 시장 점유율과의 상관관계 = 291
3. 구매 의향률 변화로 본 트래킹 조사 필요성 사례 = 292
4. 시점별 인지도 변화와 결과판단 사례 = 293
5. Voice Share와 Mind Share의 상관관계 = 294
6. 광고 잔존효과와 자발적 회상과의 상관관계 = 295
7. 광고 잔존효과와 브랜드 구매자 변화 사례 = 297
Chapter 16 매체평가서 사례 = 299
1. 한국언론재단 관련 광고주 매체집행 평가서 = 300
2. 현대자동차 월간 매체평가서 = 324
Chapter 17 매체기획안 사례 = 347
1. 수협중앙회 기업이미지 광고 매체기획안 = 348
2. 한국수력원자력 매체기획안 = 386
3. 삼양라면 매체기획안 = 434
참고문헌 = 465
미디어플래닝아카데미 수강생 모집 = 4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