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교육과정의 역사적 이해
제1절 교육과정의 이해 = 1
1. 교육과정의 고전적 의미 = 1
2. 교육과정의 정의 = 4
3. 교육과정 개념의 다양화 = 5
제2절 교육과정 재개념화의 담론 = 7
1. 교육과정의 재개념화 = 7
2. 재개념화의 역사적 접근 = 10
제3절 교육과정 재개념화의 인식론적 관점 = 28
1. 인식론적 관점으로의 변화 = 28
2. 객관주의 = 30
3. 주관주의 = 33
4. 내러티브 사고 = 41
제4절 교육과정 재개념화와 교수설계 = 43
1. 교육과정과 수업계획 = 43
2. 교육과정과 교수 = 47
3. 교육과정과 교수 및 학습의 관계 = 52
제5절 교수설계 = 54
1. 교수설계 개념 = 54
2.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접근 = 56
3. 롸이겔루스(Reigeluth)의 정교화 이론 = 57
제6절 교수설계 유형 = 61
1. ADDIE 모형 = 61
2. 글레이저(Glaser)의 교수모형 = 62
3. 블룸(Bloom)의 완전학습 = 63
4. Gagn◆U00E9◆-Briggs의 포괄적 교수설계이론 = 64
5. Dick & Carey 모형 = 70
제7절 교육과정 구성의 기초 = 73
1. 교육의 의미 = 73
2. 교육의 기초 = 75
3. 교육과정 구성의 기초 = 77
제2장 철학적 기초
제1절 철학과 교육과정 = 79
1. 교육과정에서 철학의 의미 = 79
2. 전통철학과 교육과정 = 81
제2절 20C 현대교육철학 = 91
1. 진보주의와 경험중심 교육과정 = 91
2. 본질주의와 학문중심 교육과정 = 103
3. 항존주의와 교과중심 교육과정 = 119
4. 재건주의와 재건주의 교육과정 = 129
5. 열린교육과 비형식 교육과정 = 134
6. 20C 전반 현대교육철학의 재분류 = 139
7. 20C 후반 현대교육철학 = 141
제3장 심리학적 기초
제1절 심리학의 이해 = 147
1. 심리학의 역사적 접근 = 147
2. 인간의 발달에 대한 관점 = 152
3. 준비도의 입장 = 153
4. 심리학과 교육과정 개발 = 155
5. 교육심리학 = 156
제2절 심리학과 교육과정 = 159
1. 능력심리학과 고전교육과정 = 159
2. 생리심리학적 접근과 창의성 교육 = 161
제3절 교수-학습이론의 유형 = 163
1. 성숙주의 = 163
2. 행동주의와 행동주의 교육과정 = 165
3. 인지주의와 인지주의 교육과정 = 176
4. 구성주의와 구성주의 교육과정 = 186
5. 인간주의와 인간주의 교육과정 = 207
6. 다문화주의와 다문화 교육과정 = 213
제4절 교육과정 유형의 변천 = 223
1. 교육과정 유형의 특징 = 223
2. 교육과정 유형의 변천 = 226
3. 교육과정, 교육철학, 교수학습이론의 도해 = 229
제4장 사회적 기초
제1절 사회ㆍ문화적 기초의 의의 = 231
1. 사회와 교육 = 231
2. 생태학(ecology) = 233
제2절 생태학적 접근 = 234
1. 브론펜브르너(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접근 = 234
2.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생태학적 접근 = 238
제5장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
제1절 교육목표 진술방법 = 243
1. 요구분석의 필요성 = 243
2. 교수목표 설정 = 244
3. 교육목표의 분류 = 245
4. 과제분석 = 246
5. 학습과제 분석의 유형 = 250
제2절 교육목표 진술방법의 역사적 접근 = 253
1. 보비트(Bobbits) = 253
2. 타일러(Tyler) = 254
3. 블룸(Bloom) = 259
4. 메이거(Mager) = 266
제3절 교육내용 = 272
1. 교육내용의 선정과 준거 = 272
2. 학습경험의 조직 = 276
3. 학습경험의 평가 = 278
제4절 학습자 분석 = 279
1. 학습자성향 파악 = 279
2. 내적요인 = 279
3. 외적요인 = 291
4. 교사의 기대 = 294
5. 교사의 유형 = 298
제6장 우리나라 교육과정기의 변천
제1절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역사적 접근 = 303
1. 역대정권과 교육과정기 = 303
2. 교육과정 변화의 기본 질문 = 306
제2절 우리나라 교육과정기의 변천과정 = 307
1. 교수요목기 = 307
2. 제1차 교육과정기 = 315
3. 제2차 교육과정기 = 320
4. 제3차 교육과정기 = 326
5. 제4차 교육과정기 = 331
6. 제5차 교육과정기 = 337
7. 제6차 교육과정기 = 341
8. 제7차 교육과정기 = 347
9. 2007년 교육과정 개정안 = 363
10. 2009년 교육과정 개정안 = 377
제7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제1절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 및 평가 = 395
1. 교육과정 개발 = 395
2. 교육과정 운영 = 396
3. 교육과정 평가 = 398
4. 교육과정 개발과 교육과정 설계의 차이점 = 398
제2절 교육과정 개발 활동 = 399
1. 교육과정 개발 활동의 위상 = 399
2. 교육과정 개발 분야 = 399
제3절 교육과정 개발수준 = 400
1. 교육과정 개발수준과 변화 = 400
2. 교육과정 개발의 참여 집단 및 절차 = 401
3. 교육과정 개발의 관점 = 420
4. 교육과정 개발모형과 절차 = 423
제4절 교육과정 개발모형의 분류 = 426
1. 합리적 모형 = 426
2. 순환적 모형 = 437
3. 역동적 상호작용 모형 = 438
4. 구성주의 개발모형 = 447
5. 아이즈너(Eisner)의 예술적 모형 = 450
6. 종합적인 모형 = 456
제5절 교육과정 개발수준과 실제 = 460
1.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발 = 460
2. 지역수준 교육과정 개발 = 463
3. 학교수준 교육과정 개발 = 472
제8장 우리나라 학교수준 교육과정 개발
제1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교육과정 개발 = 477
1. 학교수준 교육과정 개발모형 = 477
2. 학교수준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 = 479
3. 학교수준 교육과정 개발과정 = 480
4. 학교수준 교육과정 편성 요령 = 482
5. 학교수준 교육과정 위원회 조직과 편성 계획 수립 = 484
6. 교사중심 학교 교육과정 관계도 = 485
7. 학교수준 교육과정의 평가 = 486
8. 학교수준 교육과정 개발의 장점과 문제점 보완 = 488
제2절 2009년 교육과정 개정안의 학교수준 교육과정 = 490
1. 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지원 = 490
2. 특수한 학교에서의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 493
3. 학교 급별 공통 사항 = 494
4. 규모별 시간 배당 예시 = 497
참고문헌 = 501
찾아보기 = 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