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역사적 접근의) 교육과정 이해와 개발

(역사적 접근의) 교육과정 이해와 개발 (Loan 38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고재희
Title Statement
(역사적 접근의) 교육과정 이해와 개발 / 고재희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교육과학사,   2010  
Physical Medium
xiii, 527 p. : 삽화 ; 26 cm
ISBN
9788925404097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501-513)과 색인수록
000 00620camcc2200229 c 4500
001 000045611636
005 20101001173958
007 ta
008 101001s2010 ggka b 001c kor
020 ▼a 9788925404097 ▼g 93370
035 ▼a (KERIS)BIB000012151535
040 ▼a 211032 ▼d 211009
082 0 4 ▼a 375 ▼2 22
085 ▼a 375 ▼2 DDCK
090 ▼a 375 ▼b 2010
100 1 ▼a 고재희 ▼0 AUTH(211009)101357
245 2 0 ▼a (역사적 접근의) 교육과정 이해와 개발 / ▼d 고재희
260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10
300 ▼a xiii, 527 p. : ▼b 삽화 ; ▼c 26 cm
504 ▼a 참고문헌(p. 501-513)과 색인수록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5 2010 Accession No. 11159413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5 2010 Accession No. 111594132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2-15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고재희(지은이)

現) 전북대학교 교육학과 외래교수 부모교육, 교사교육 강사 前) 군산대학교 교직과 외래교수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외래교수 원광대학교 교육학과 외래교수 원광대학교 교육, 일반대학원 외래교수 호원대학교 유아교육학과 외래교수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외래교수 우석대학교 아동복지학과 외래교수 우석대학교 보육교사 교육원 전담교수 우석대학교 평생교육원 전담교수 방송통신대학교 외래교수 전북대학교 평생교육원 전담교수 기전여자대학 외래교수 서해대학 외래교수 한국체력향상협회 자문교수 유아교육지도자자격시험 출제위원 보육교사 승급교육 담당강사 전라북도농업기술원 교육 강사 [저서] 현대교육과정사탐구(파란마음) 유아문학의 전달매체 및 교수방법(양서원) 보육교사 양성과정 교재(우석대학교) 통합적 접근의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교육과학사) 역사적 접근의 교육과정 이해와 개발(교육과학사) 로드맵과 함께하는 교육철학 및 교육사(형설출판사)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장 교육과정의 역사적 이해
 제1절 교육과정의 이해 = 1
  1. 교육과정의 고전적 의미 = 1
  2. 교육과정의 정의 = 4
  3. 교육과정 개념의 다양화 = 5
 제2절 교육과정 재개념화의 담론 = 7
  1. 교육과정의 재개념화 = 7
  2. 재개념화의 역사적 접근 = 10
 제3절 교육과정 재개념화의 인식론적 관점 = 28
  1. 인식론적 관점으로의 변화 = 28
  2. 객관주의 = 30
  3. 주관주의 = 33
  4. 내러티브 사고 = 41
 제4절 교육과정 재개념화와 교수설계 = 43
  1. 교육과정과 수업계획 = 43
  2. 교육과정과 교수 = 47
  3. 교육과정과 교수 및 학습의 관계 = 52
 제5절 교수설계 = 54
  1. 교수설계 개념 = 54
  2.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접근 = 56
  3. 롸이겔루스(Reigeluth)의 정교화 이론 = 57
 제6절 교수설계 유형 = 61
  1. ADDIE 모형 = 61
  2. 글레이저(Glaser)의 교수모형 = 62
  3. 블룸(Bloom)의 완전학습 = 63
  4. Gagn◆U00E9◆-Briggs의 포괄적 교수설계이론 = 64
  5. Dick & Carey 모형 = 70
 제7절 교육과정 구성의 기초 = 73
  1. 교육의 의미 = 73
  2. 교육의 기초 = 75
  3. 교육과정 구성의 기초 = 77
제2장 철학적 기초
 제1절 철학과 교육과정 = 79
  1. 교육과정에서 철학의 의미 = 79
  2. 전통철학과 교육과정 = 81
 제2절 20C 현대교육철학 = 91
  1. 진보주의와 경험중심 교육과정 = 91
  2. 본질주의와 학문중심 교육과정 = 103
  3. 항존주의와 교과중심 교육과정 = 119
  4. 재건주의와 재건주의 교육과정 = 129
  5. 열린교육과 비형식 교육과정 = 134
  6. 20C 전반 현대교육철학의 재분류 = 139
  7. 20C 후반 현대교육철학 = 141
제3장 심리학적 기초
 제1절 심리학의 이해 = 147
  1. 심리학의 역사적 접근 = 147
  2. 인간의 발달에 대한 관점 = 152
  3. 준비도의 입장 = 153
  4. 심리학과 교육과정 개발 = 155
  5. 교육심리학 = 156
 제2절 심리학과 교육과정 = 159
  1. 능력심리학과 고전교육과정 = 159
  2. 생리심리학적 접근과 창의성 교육 = 161
 제3절 교수-학습이론의 유형 = 163
  1. 성숙주의 = 163
  2. 행동주의와 행동주의 교육과정 = 165
  3. 인지주의와 인지주의 교육과정 = 176
  4. 구성주의와 구성주의 교육과정 = 186
  5. 인간주의와 인간주의 교육과정 = 207
  6. 다문화주의와 다문화 교육과정 = 213
 제4절 교육과정 유형의 변천 = 223
  1. 교육과정 유형의 특징 = 223
  2. 교육과정 유형의 변천 = 226
  3. 교육과정, 교육철학, 교수학습이론의 도해 = 229
제4장 사회적 기초
 제1절 사회ㆍ문화적 기초의 의의 = 231
  1. 사회와 교육 = 231
  2. 생태학(ecology) = 233
 제2절 생태학적 접근 = 234
  1. 브론펜브르너(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접근 = 234
  2.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생태학적 접근 = 238
제5장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
 제1절 교육목표 진술방법 = 243
  1. 요구분석의 필요성 = 243
  2. 교수목표 설정 = 244
  3. 교육목표의 분류 = 245
  4. 과제분석 = 246
  5. 학습과제 분석의 유형 = 250
 제2절 교육목표 진술방법의 역사적 접근 = 253
  1. 보비트(Bobbits) = 253
  2. 타일러(Tyler) = 254
  3. 블룸(Bloom) = 259
  4. 메이거(Mager) = 266
 제3절 교육내용 = 272
  1. 교육내용의 선정과 준거 = 272
  2. 학습경험의 조직 = 276
  3. 학습경험의 평가 = 278
 제4절 학습자 분석 = 279
  1. 학습자성향 파악 = 279
  2. 내적요인 = 279
  3. 외적요인 = 291
  4. 교사의 기대 = 294
  5. 교사의 유형 = 298
제6장 우리나라 교육과정기의 변천
 제1절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역사적 접근 = 303
  1. 역대정권과 교육과정기 = 303
  2. 교육과정 변화의 기본 질문 = 306
 제2절 우리나라 교육과정기의 변천과정 = 307
  1. 교수요목기 = 307
  2. 제1차 교육과정기 = 315
  3. 제2차 교육과정기 = 320
  4. 제3차 교육과정기 = 326
  5. 제4차 교육과정기 = 331
  6. 제5차 교육과정기 = 337
  7. 제6차 교육과정기 = 341
  8. 제7차 교육과정기 = 347
  9. 2007년 교육과정 개정안 = 363
  10. 2009년 교육과정 개정안 = 377
제7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제1절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 및 평가 = 395
  1. 교육과정 개발 = 395
  2. 교육과정 운영 = 396
  3. 교육과정 평가 = 398
  4. 교육과정 개발과 교육과정 설계의 차이점 = 398
 제2절 교육과정 개발 활동 = 399
  1. 교육과정 개발 활동의 위상 = 399
  2. 교육과정 개발 분야 = 399
 제3절 교육과정 개발수준 = 400
  1. 교육과정 개발수준과 변화 = 400
  2. 교육과정 개발의 참여 집단 및 절차 = 401
  3. 교육과정 개발의 관점 = 420
  4. 교육과정 개발모형과 절차 = 423
 제4절 교육과정 개발모형의 분류 = 426
  1. 합리적 모형 = 426
  2. 순환적 모형 = 437
  3. 역동적 상호작용 모형 = 438
  4. 구성주의 개발모형 = 447
  5. 아이즈너(Eisner)의 예술적 모형 = 450
  6. 종합적인 모형 = 456
 제5절 교육과정 개발수준과 실제 = 460
  1.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발 = 460
  2. 지역수준 교육과정 개발 = 463
  3. 학교수준 교육과정 개발 = 472
제8장 우리나라 학교수준 교육과정 개발
 제1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교육과정 개발 = 477
  1. 학교수준 교육과정 개발모형 = 477
  2. 학교수준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 = 479
  3. 학교수준 교육과정 개발과정 = 480
  4. 학교수준 교육과정 편성 요령 = 482
  5. 학교수준 교육과정 위원회 조직과 편성 계획 수립 = 484
  6. 교사중심 학교 교육과정 관계도 = 485
  7. 학교수준 교육과정의 평가 = 486
  8. 학교수준 교육과정 개발의 장점과 문제점 보완 = 488
 제2절 2009년 교육과정 개정안의 학교수준 교육과정 = 490
  1. 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지원 = 490
  2. 특수한 학교에서의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 493
  3. 학교 급별 공통 사항 = 494
  4. 규모별 시간 배당 예시 = 497
참고문헌 = 501
찾아보기 = 51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