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39camcc2200229 c 4500 | |
001 | 000045611358 | |
005 | 20100929152514 | |
007 | ta | |
008 | 100929s2003 ulka b 001c kor | |
020 | ▼a 8955440413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08828511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48 ▼d 211009 | |
082 | 0 4 | ▼a 374.013 ▼2 22 |
085 | ▼a 374.013 ▼2 DDCK | |
090 | ▼a 374.013 ▼b 2003 | |
100 | 1 | ▼a 김경회 ▼g 金京會, ▼d 1954- |
245 | 1 0 | ▼a 한국의 평생직업교육 / ▼d 김경회 저 |
260 | ▼a 서울 : ▼b 원미사, ▼c 2003 | |
300 | ▼a 376 p. : ▼b 삽화 ; ▼c 27 cm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 부록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4.013 2003 | 등록번호 11158908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 저자소개지은이 김경회충청남도 연기군에서 출생(1954년) <학력>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학과 경북대학교 경영대학원 회계학 전공 University of Iowa 대학원 철학박사 <주요경력> 교육부 기획예산담당관, 교육부 산업교육정책관, 공보관 충천마도 부교육감, 교육인적자원부 평생직업교육국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빙교수, 성균관대학교 및 한국디지털 대학 시간강사 현재 교육인적자원부 국장 <연구논문> 『Sugjective and Objective Measures of Quality for Selected Doctoral Departments in Korea』 『국립대학 특별회계 쟁점에 관한 분석 연구』 『한국과 핀란드의 직업교육체제와 직업분류 비교연구』 『평생교육 프로그램 풀 구축 및 평가인정제 도입방안 연구』 『실업계고교 육성정책의 평가연구』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머리말 = 3 제1장 현대사회의 변화와 평생직업교육 1. 현대사회 성격에 대한 담론 = 13 2. 지식의 개념, 유형, 속성 = 21 3. 교육패러다임의 변화 = 25 제2장 노동시장 변화와 평생직업교육 1. 노동시장의 수요변화 = 35 2. 인적자원구조의 변화 = 41 3. 직업교육에 주는 함의점 = 46 제3장 평생직업교육의 개념 1. 평생직업교육의 개념 = 53 2. 평생직업교육의 영역과 목적 = 58 3. 평생직업교육의 개념 = 61 4. 평생직업교육의 평생학습 = 68 제4장 성인학습자의 특성 1. 성인학습자의 발달특성 = 75 2. 성인의 학습참여동기 = 79 3. 성인학습의 원리 = 82 제5장 진로교육 1. 진로교육 의미 = 89 2. 진로발달이론 = 91 3. 진로교육의 필요성과 내용 = 95 4. 진로상담에서 활용되는 심리검사 = 99 5. 진로정보 = 104 제6장 직업세계의 이해 1. 직업의 의미 = 111 2. 직업의 분류 = 112 3. 우리 나라 직업구조의 변화와 전망 = 118 4. 미래의 직업세계 = 122 제7장 자격제도에 대한 이해 1. 자격의 개념과 기능 = 133 2. 자격의 요건과 유형 = 134 3. 우리 나라 자격제도의 현황 = 138 4. 자격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논의 = 147 제8장 산학협동 1. 산학협동의 개념 = 155 2. 산학협동의 필요성과 기대효과 = 157 3. 산학협동의 내용과 원리 = 161 4. 산학협동에서 정부의 역할 및 지원사업 = 163 5. 산학협동의 발전과제 = 167 제9장 기업의 인적자원개발 1. 기업 인적자원개발의 의미 = 175 2. 기업 인적자원개발의 투자실태 및 경향 = 179 3. 기업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지원제도 = 183 4. 기업 인적자원개발의 활성화를 위한 과제 = 195 제10장 사이버 직업교육 1. 사이버교육의 개념과 특징 = 203 2. 사이버교육체제의 구성요소 = 208 3. 사이버교육 실태 = 211 제11장 학교교육을 통한 직업교육 1. 직업교육 체제 = 225 2. 고등학교단계의 직업교육 = 228 3. 고등학교단계의 직업교육기관 = 241 제12장 직업교육의 행정조직 및 법령 1. 평생직업교육을 담당하는 중앙행정조직 = 255 2. 직업교육훈련법령 = 264 제13장 주요선진국의 평생직업교육 1. 영국의 직업교육훈련 = 283 2. 독일의 직업교육훈련 = 295 3. 미국의 직업교육훈련 = 302 4.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 309 제14장 평생직업교육의 과제 1. 평생직업교육제도 정비 현황 = 315 2. 평생직업교육의 문제점 = 317 3. 평생직업교육체제 구축을 위한 과제 = 322 부록 = 335 찾아보기 = 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