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재외한인 민족교육의 실태

재외한인 민족교육의 실태 (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경근, 저 임재완, 저 고형일, 저 황기우, 저
서명 / 저자사항
재외한인 민족교육의 실태 / 김경근 [외]
발행사항
파주 :   집문당,   2005  
형태사항
xxx, 295 p. : 도표 ; 23 cm
총서사항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세계한상ㆍ문화연구단 총서 ;5
ISBN
8930311989 8930311962(전11권)
일반주기
저자 : 김경근, 임재완, 고형일, 황기우  
서지주기
참고문헌(p. 281-283)과 색인, 부록수록
000 00967camcc2200313 c 4500
001 000045611356
005 20100929154841
007 ta
008 100929s2005 ggkd b 001c kor
020 ▼a 8930311989 ▼g 94300
020 1 ▼a 8930311962(전11권)
035 ▼a (KERIS)BIB000010273482
040 ▼a 241027 ▼d 211009
082 0 4 ▼a 325.2519 ▼2 22
085 ▼a 325.253 ▼2 DDCK
090 ▼a 325.253 ▼b 2005e ▼c 5
245 0 0 ▼a 재외한인 민족교육의 실태 / ▼d 김경근 [외]
260 ▼a 파주 : ▼b 집문당, ▼c 2005
300 ▼a xxx, 295 p. : ▼b 도표 ; ▼c 23 cm
440 0 0 ▼a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세계한상ㆍ문화연구단 총서 ; ▼v 5
500 ▼a 저자 : 김경근, 임재완, 고형일, 황기우
504 ▼a 참고문헌(p. 281-283)과 색인, 부록수록
536 ▼a 이 총서는 2003년도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700 1 ▼a 김경근, ▼e▼0 AUTH(211009)54453
700 1 ▼a 임재완, ▼e
700 1 ▼a 고형일, ▼e▼0 AUTH(211009)113339
700 1 ▼a 황기우, ▼e▼0 AUTH(211009)35638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5.253 2005e 5 등록번호 11158908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경근(지은이)

<재외한인 민족교육의 실태>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총서를 펴내며 = ⅲ

추천사 = ⅴ

서문 = xi

Ⅰ. 머리말 =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3

 2. 연구내용 및 방법 = 6

  1) 연구내용 = 7

  2) 연구방법 = 7

 3. 연구범위 = 9

 4. 이 책의 구성 = 10

Ⅱ. 한국의 재외한인 민족교육 정책 현황 = 11

 1. 재외한인 민족교육 정책의 역사적 변천 = 13

  1) 일제 강점기의 민족교육 운동 = 13

  2) 해방 이후 재외한인 민족교육 정책 = 14

  3) 1960년대 재외한인 민족교육 정책 = 15

  4) 1970년대 재외한인 민족교육 정책 = 17

  5) 1980년대 재외한인 민족교육 정책 = 18

  6) 1990년대 재외한인 민족교육 정책 = 19

 2. 재외한인 민족교육 정책 현황 = 21

  1) 재외한인 민족교육 정책의 기본방향 = 21

  2) 재외한인 민족교육에 대한 지원사업 = 24

 3. 재외한인 민족교육기관 = 25

  1) 재외한인 민족교육의 체계 = 25

  2) 국내 재외한인교육기관 = 26

  3) 현지 재외한인교육기관 = 29

Ⅲ. 재미한인 민족교육의 실태 = 35

 1. 개관 = 37

 2. 재미한인 민족교육의 운영 실태 = 40

  1) 한글학교 = 40

  2) 한국학교 = 49

  3) 한국교육원 = 49

 3. 재미한인 민족교육에 대한 실태조사 = 56

  1) 일반현황 = 57

  2) 민족교육에 대한 인식조사 = 66

Ⅳ. 재일한인 민족교육의 실태 = 77

 1. 개관 = 79

 2. 재일한인 민족교육의 운영 실태 = 82

  1) 한국학교 = 83

  2) 조선학교 = 95

  3) 민족학급 = 97

  4) 한글학교(토요학교) = 98

  5) 한국교육원 = 102

 3. 재일한인 민족교육에 대한 실태조사 = 106

  1) 한글학교 = 106

  2) 한국교육원 = 127

  3) 한국학교 = 146

Ⅴ. 재중한인 민족교육의 실태 = 151

 1. 개관 = 153

 2. 조선족 민족교육의 운영 실태 = 156

  1) 조선족학교 = 156

  2) 한글학교 = 172

  3) 한국학교 = 174

 3. 조선족 민족교육에 대한 설문조사 = 182

  1) 일반현황 = 182

  2) 민족교육에 대한 인식조사 = 192

Ⅵ. 재중앙아시아한인 민족교육의 실태 = 203

 1. 개관 = 205

 2. 고려인 민족교육의 운영 실태 = 210

  1) 한글학교 = 210

  2) 한국교육원 = 212

 3. 고려인 민족교육에 대한 설문조사 = 220

  1) 일반현황 = 220

  2) 민족교육에 대한 인식조사 = 225

Ⅶ. 국가별 민족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 235

 1. 민족교육의 이념 수립 여부 = 237

 2. 민족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 = 238

 3. 민족교육 관련 특별활동 프로그램의 운영 = 242

 4. 교육시설 및 자료의 구비 = 244

 5. 민족교육 담당교사에 대한 인식 = 245

 6. 학생의 민족교육에 대한 흥미와 관심 = 247

 7. 민족교육에 대한 학부모와 지역사회의 참여 및 지원 = 248

 8. 민족교육에 대한 한국과 거주국의 지원 = 249

Ⅷ. 맺음말 = 253

 1. 요약 = 255

  1) 연구 개요 = 255

  2) 국가별 민족교육의 실태 = 256

 2. 향후 과제 = 263

  1) 재외한인 민족교육의 과제 = 263

  2)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방향 = 278

참고문헌 = 281

부록 = 284

찾아보기 = 292



관련분야 신착자료

Ivanovna, Din Yuliya (2022)
Hollifield, James Frank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