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국가안보론

국가안보론 (Loan 8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이광보, 1957-, 저 남기봉, 저 곽우영, 저 구종재, 저 주용범, 저
Title Statement
국가안보론 / 이광보 [외]공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인천 :   진영사,   2010  
Physical Medium
268 p. ; 26 cm
ISBN
9788965410058
General Note
저자: 이광보, 남기봉, 곽우영, 구종재, 주용범  
부록: 한일병합조약 전문, 한미동맹 관련자료, 북한 핵문제 관련자료  
000 00825camcc2200289 c 4500
001 000045611187
005 20100928173850
007 ta
008 100928s2010 ick 000c kor
020 ▼a 9788965410058 ▼g 93390
035 ▼a (KERIS)BIB000012153822
040 ▼a 211032 ▼d 211009
082 0 4 ▼a 355.03109 ▼2 22
085 ▼a 355.03109 ▼2 DDCK
090 ▼a 355.03109 ▼b 2010
245 0 0 ▼a 국가안보론 / ▼d 이광보 [외]공저
260 ▼a 인천 : ▼b 진영사, ▼c 2010
300 ▼a 268 p. ; ▼c 26 cm
500 ▼a 저자: 이광보, 남기봉, 곽우영, 구종재, 주용범
500 ▼a 부록: 한일병합조약 전문, 한미동맹 관련자료, 북한 핵문제 관련자료
700 1 ▼a 이광보, ▼d 1957-, ▼e
700 1 ▼a 남기봉, ▼e
700 1 ▼a 곽우영, ▼e▼0 AUTH(211009)70976
700 1 ▼a 구종재, ▼e▼0 AUTH(211009)110636
700 1 ▼a 주용범,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5.03109 2010 Accession No. 11159338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5.03109 2010 Accession No. 11159338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본서는 크게 3부분으로 나누어서 구성하였다. 제1부는 국가와 국가안보에 대하여 이해를 할 수 있도록 하였고 제2부는 국가 안정보장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고 제3부는 한국의 안보환경과 북한의 핵 개발 파장 및 전망을 다루었다. 본서는 누구나 이해하기 쉽도록 핵심적인 내용을 요약하여 정리하였으므로 안보에 대한 기본소양을 넓히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국가는 인류역사의 시작과 함께 존재하였다고 할 수 있으며, 인류가 공동사회를 이루고 살게 되면서부터 공동체 이익을 위해 조직과 질서를 만들었으며 이러한 조직이 점차 커지며 국가로 발전하게 되었다. 인간은 국가로부터 안전을 보장 받는 조건으로 국가가 주어진 의무를 수행한다. 국가안보란 국가가 자국의 영토와 국민의 생명, 재산을 국내·외 위협으로 보호하는 것으로서, 안보가 튼튼할 때 국민들이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으며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이 가능할 것이다. 우리는 1950년 한국전쟁을 경험하면서 국가안보의 중요성을 누구보다 깊이 인식하였고, 1910년 일제의 강제병합으로 36년 동안 많은 고통과 슬픔을 겪으면서 국가안보야 말로 최우선 국가정책과제가 되어야 한다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있다. 1991년 소련이 해체되고 냉전이 종식되면서 유럽 지역 국가들은 병력과 장비를 대폭 축소하고 있으나 남북한과 주변 국가는 핵무기를 비롯한 미사일 등 대량살상무기 개발과 군비증강을 계속하고 있다. 더욱이 북한은 한반도 적화통일을 위한 전략을 포기하지 않고 있으며 강릉무장공비침투, 천안함 격침 등 비정규전적 도발을 자행하고 있으나, 국민들의 안보의식이 나날이 해이해져 가는 현실이 매우 안타까운 일이다. 안보는 국가의 생존을 보장하는 산소이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보험료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우리는 평소 산소의 고마움을 느끼지 못하듯이 안보의 고마움을 느끼지 못하고 살아가고 있다.
경제는“잘사느냐 못사느냐”하는 문제에 그치지만, 국가안보는“사느냐 죽느냐”하는 생존이 달린 문제로서, 국가안보를 튼튼히 하여야 위태롭지 않다.
따라서 우리는 국가안보의 중요성을 깨달아 개별국가들이 국가안보를 어떠한 방법으로 추구하는지 알 수 있어야 하며, 세계·동북아·한반도 안보환경을 파악하고 군비통제, 국가통일정책, 한미동맹에 대하여 이해함으로서 국가를 반석위에 올려놓을 수 있을 것이다.
본서는 크게 3부분으로 나누어서 구성하였다. 제1부는 국가와 국가안보에 대하여 이해를 할 수 있도록 하였고 제2부는 국가 안정보장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고 제3부는 한국의 안보환경과 북한의 핵 개발 파장 및 전망을 다루었다. 본서는 누구나 이해하기 쉽도록 핵심적인 내용을 요약하여 정리하였으므로 이 책을 읽고 안보에 대한 기본소양을 넓히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부 국가와 국가안보, 국가이익
 제1장 국가의 개념 = 11
  제1절 국가의 정의 = 11
  제2절 국가의 구성요소 = 12
   1. 영토 = 12
   2. 국민 = 15 
   3. 주권 = 15
  제3절 국가의 유형 = 16
   1. 단일국가 = 16
   2. 국가연합과 연방국가 = 17
   3. 영연방국(Commonwealth) = 17 
 제2장 국가안보와 국가이익 = 18
  제1절 국가안보의 개념 = 18
   1. 안보의 어원 = 18
   2. 국가안보의 정의 = 18
  제2절 국가이익 = 20
   1. 국가이익의 정의 = 20
   2. 국가이익의 유형 = 24 
  제3절 국가이익의 왜곡 = 25
제2부 국가안전보장방법
 제3장 자주국방 = 31
  제1절 자주국방의 개념 = 31
   1. 자주국방 의미 = 31
   2. 자주국방의 목적 = 31
   3. 자주국방의 딜레마 = 33
  제2절 한국의 자주국방 = 33
   1. 자주국방의 배경 = 33
   2. 자주국방 추진 = 34
  제3절 동맹 불가국의 자주국방 = 37
   1. 이스라엘 = 37
   2. 대만 = 38
  제4절 비동맹국가의 자주국방 = 39
   1. 비동맹주의 = 39
   2. 비동맹국 자주국방 사례 = 41
  제5절 중립국의 자주국방 = 42
   1. 핀란드 = 42
   2. 스웨덴 = 42
   3. 스위스 = 43
 제4장 동맹 = 44
  제1절 개요 = 44
   1. 동맹의 개념 = 44
   2. 동맹의 분류 = 45
   3. 동맹의 조건 = 45
  제2절 동맹의 관리 = 47
   1. 동맹의 영속성 = 47
   2. 동맹의 실효성 = 48
   3. 동맹국간 비용분담 = 49
   4. 동맹의 변화 = 49
  제3절 주요 동맹 = 50
   1. 북대서양 조약기구 = 50
   2. 바르샤바조약기구 = 52
   3. 미주기구 = 53
   4. 태평양안전보장조약 = 53
  제4절 한미동맹 = 54
   1. 한미상호 방위 조약 = 54
   2. 주한미군 = 55
   3. 지휘체제 = 60
 제5장 세력균형 = 63
  제1절 세력균형 개념 = 63
   1. 개요 = 63
   2. 세력균형의 의미 = 64
   3. 세력균형의 목적과 기능 = 65
  제2절 세력균형의 유형 = 65
   1. 균형자형 균형 = 66
   2. 복합균형 = 66
   3. 뮤니히형 = 66
   4. 빌헤름형 = 67
  제3절 세력균형 이론의 편견 = 67
   1. 강대국 중심 이론 = 67
   2. 유럽 중심적 이론 = 68
 제6장 집단안보 = 69
  제1절 집단안보 개념과 발전 = 69
   1. 집단안보의 개념 = 69
   2. 집단안보의 발전 = 71
   3. 집단안보의 수단 = 74
   4. 집단안보 작동 개념과 허점 = 75
  제2절 집단안보, 집단방위, 세력균형 = 77
   1. 집단안보와 집단방위 = 77
   2. 집단안보와 세력균형 = 78
  제3절 UN 안보리 개혁 = 80
   1. 개혁논의 = 80
   2. 개혁 쟁점 = 81
  제4절 한국과 유엔 = 84
   1. 유엔과 한국정부수립 및 한국전쟁 = 84
   2. UN 총회와 한반도 문제 = 85
   3. 한국안보와 유엔 = 86
 제7장 다자안보협력 = 87
  제1절 개요 = 87
  제2절 공동안보 = 88
   1. 개념 = 88
   2. 공동안보의 적용 = 90
  제3절 협력안보 = 91
   1. 개념 = 91
   2. 협력안보의 기원 = 93
  제4절 다자협력안보레짐 = 95
   1. OSCE = 95
   2. ARF = 100
  제5절 동아시아 다자안보협력 노력 = 107
   1. 다자안보협력 실태 = 107
   2. 동아시아 공동체 추구 노력 = 108
 제8장 군비통제 = 111
  제1절 군비통제 개념 = 111
   1. 군비통제의 정의 = 111
   2. 군비통제의 유형별 구분 = 112
  제2절 군비통제 절차 = 116
   1. 협상단계 = 116
   2. 신뢰구축단계 = 116
   3. 이행단계 = 117
   4. 검증단계 = 117
  제3절 군비통제기능과 한계 = 119
   1. 군비통제의 기능 = 119
   2. 군비통제의 한계 = 121
  제4절 군비 통제 사례 = 123
   1. 핵 군비통제 = 123
   2. 재래식 군비통제 = 126
  제5절 한반도 군비통제 = 127
   1. 1980년대 이전 군비통제 = 127
   2. 1990년대 군비통제 = 129
   3. 2000년대 군비통제 = 132
 제9장 통합 = 134
  제1절 통합의 개념 = 134
  제2절 연합사례 = 138
   1. 유럽연합 = 138
   2. 동남아시아국가연합 = 140
   3. 아프리카연합 = 142
  제3절 통일사례 = 145
   1. 베트남 = 145
   2. 예멘 = 146
   3. 독일 = 147
  제4절 한반도 통합 = 149
   1. 한반도 분단구조 = 149
   2. 통합 시도와 역전 = 150
   3. 분단의 극복 = 152
   4. 평화협정과 평화체제 = 152
   5. 남북한 통일방안 비교 = 154
제3부 한국의 안보환경과 북한 핵 개발
 제10장 한국의 안보환경 = 161
  제1절 개요 = 161
   1. 안보환경변화와 한반도의 지정학적 특성 = 161
   2. 동북아의 안보질서 = 163
  제2절 주변국의 안보정책 = 164
   1. 미국의 안보정책 = 164
   2. 중국의 안보정책 = 169
   3. 일본의 안보정책 = 173
   4. 러시아의 안보정책 = 180
  제3절 북한의 안보위협 = 185
   1. 개요 = 185
   2. 대남전략 = 188
   3. 군사전략 = 191
 제11장 북한의 핵무기 개발 = 196
  제1절 개 요 = 196
  제2절 북한 핵 위기상황의 전개 = 197
   1. 북한 핵개발 배경 = 197
   2. 한반도 비핵화 공동선언 = 198
   3. 1차 북 핵 위기 = 199
   4. 2차 북 핵 위기 = 206
  제3절 북한 핵무기 개발의 파장 = 213
   1. 한반도 군사력 균형 파괴 = 213
   2. 동북아시아의핵 확산 = 213
  제4절 북한 핵문제의 전망 = 216
부록 = 219
 부록 1 한일병합조약 전문 = 221
 부록 2 한미동맹 관련자료 = 223
 부록 3 북한 핵문제 관련자료 = 25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