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권리 패러독스와 정위(正位)

권리 패러독스와 정위(正位)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봉철 李捧喆
서명 / 저자사항
권리 패러독스와 정위(正位) / 이봉철 지음
발행사항
고양 :   인간사랑,   2010  
형태사항
406 p. ; 23 cm
ISBN
9788974180096
서지주기
참고문헌(p. [385]-391)과 색인수록
000 00634camcc2200229 c 4500
001 000045611178
005 20100928180123
007 ta
008 100928s2010 ggk b 001c kor
020 ▼a 9788974180096 ▼g 93340
035 ▼a (KERIS)BIB000012147819
040 ▼a 244006 ▼c 244006 ▼d 244006 ▼d 211009
082 0 4 ▼a 320 ▼2 22
085 ▼a 320 ▼2 DDCK
090 ▼a 320 ▼b 2010z3
100 1 ▼a 이봉철 ▼g 李捧喆 ▼0 AUTH(211009)126607
245 1 0 ▼a 권리 패러독스와 정위(正位) / ▼d 이봉철 지음
260 ▼a 고양 : ▼b 인간사랑, ▼c 2010
300 ▼a 406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385]-391)과 색인수록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 2010z3 등록번호 11159339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 2010z3 등록번호 11159339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봉철(지은이)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였으며, 미국 텍사스 주립대학(오스틴)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남대학교 행정정책대학원장을 지냈으며, 2006년 현재 한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및 사회과학대학장으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통일과 통일논의: 구조와 자율의 정치동학>, <포스트 모던 변화와 정치사상>, <주변과 자율: 청소년, 여성, 통일>, <21세기 새정치가치 탐색>이 있고, 옮긴 책으로 <유럽외교사-상>, <페레스트로이카>, <비판정치론> 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서론 = 11
1부 권리와 인간
 제2장 권리와 삶 = 25
  1. 권리근거와 인간 존재양태 = 27
  2. 권리내용과 삶의 내용 = 30
  3. 권리내용질서와 삶의 국면 = 35
  4. 권리의 뜻과 인간존엄성 = 40
 제3장 권리관계와 사회관계 = 45
  1. 권리관계의 발달과 롤즈의 설명 = 48
  2. 권리관계의 유효성과 자율성평등원칙 = 54
  3. 권리기본관계와 3기본관계구조 = 62
2부 권리 패러독스
 제4장 권리관계와 소외 = 69
  1. 현행 주체관계 구조와 주체지위의 소외 = 73
  2. 현행 개념관계 구조와 상호성 소외 = 82
  3. 현행 의미관계 구조와 인간존엄성 소외 = 90
  4. 소외된 권리관계의 사회현상화와 폐단 = 104
 제5장 권리질서와 질서 - 이율배반성 = 125
  1. 권리질서의 이율배반성 = 131
  2. 이율배반권리질서와 사회계약질서 = 141
  3. 이율배반권리질서와 권위질서 = 153
  4. 이율배반권리질서와 자유주의 질서 = 164
3부 정위(正位)
 제6장 현행 권리관계의 정위 = 171
  1. 권리관계 정위가 선행되는 이유 = 172
   1) 권리관계 패러독스와 권리질서 패러독스의 상호관계 = 172
   2) 권리관계가 정위의 우선대상이다 = 178
  2. 정위될 권리관계의 요건 = 180
   1) 내용상의 요건 = 180
   2) 형식상의 요건 = 182
  3. 권리관계 정위준거 모델 = 184
  4. 주체관계 구조의 검토와 수정 = 192
  5. 개념관계 구조의 검토와 수정 = 200
  6. 의미관계 구조의 검토와 수정 = 210
  7. 부합권리관계와 부합권리질서 = 226
 제7장 부합권리관계와 정위된 자유주의 질서 = 235
  1. 정위자유주의 질서의 내용 및 제도의 구성요건 = 239
   1) 정위자유주의 질서의 내용구성 요건 = 240
   2) 정위자유주의 질서의 제도구성 요건 = 245
  2. 부합권리관계와 정위자유주의 질서내용의 재현 = 250
  3. 부합권리관계와 정위자유주의 질서제도의 재현 = 255
   1) 위임책무이론과 과제해결 실마리 = 260
   2) 약속책무의 두 위임근거 : 공평성원칙과 정의원칙 = 272
   3) 정의원칙과 공평성원칙의 상호관계 : 같은 뜻, 다른 기능 = 276
   4) 정의원칙과 공평성원칙의 기능상의 변별 : 의무와 책무 = 284
   5) 의무ㆍ책무ㆍ권리 3위임이론과 롤즈의 '2층위 위임질서체계' 모델 = 292
   6) 롤즈 모델의 보완과 '쌍권ㆍ쌍무 3층위 위임질서체계' 모델 = 304
  4. 정위자유주의 질서 하의 정치세계 : 삶, 정치, 정치질서 = 322
 제8장 결론에 대신하여 : 권리개념과 권리관념 = 335
  1. 권리개념, 권리관념, 그리고 권리 패러독스 = 337
  2. 권리개념의 탄생과 '책임'이 상실된 '자유뿐'의 권리 = 343
  3. 자연법 전통의 지속과 '자율성평등'의 인간 이미지 = 357
   1) 스토아 자연법 태동기의 인간 이미지 = 361
   2) 스토아 자연법의 인간 이미지와 키케로 자연법의 인간 이미지 = 368
   3) 키케로 이후 서구 근대화 특성 착상까지의 인간 이미지 = 373
참고문헌 = 385
색인 = 393

관련분야 신착자료

Diener, Alexander C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