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31camcc2200241 c 4500 | |
001 | 000045611138 | |
005 | 20100928203512 | |
007 | ta | |
008 | 100928s2010 ggk b 001c kor | |
020 | ▼a 9788930314787 ▼g 93710 | |
035 | ▼a (KERIS)REW000000096978 | |
040 | ▼d 211009 | |
082 | 0 4 | ▼a 495.1902 ▼2 22 |
085 | ▼a 497.702 ▼2 DDCK | |
090 | ▼a 497.702 ▼b 2010 | |
100 | 1 | ▼a 고영근 ▼g 高永根, ▼d 1936- ▼0 AUTH(211009)57949 |
245 | 1 0 | ▼a 표준 중세국어문법론 / ▼d 고영근 |
250 | ▼a 제3판 | |
260 | ▼a 파주 : ▼b 집문당, ▼c 2010 | |
300 | ▼a 497 p. ; ▼c 24 cm | |
504 | ▼a 참고문헌(p. 463-479)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702 2010 | 등록번호 11159325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702 2010 | 등록번호 11159325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497.702 2010 | 등록번호 15134253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702 2010 | 등록번호 11159325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702 2010 | 등록번호 11159325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497.702 2010 | 등록번호 15134253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1985년부터 시행된 통일문법의 체계에 따른 옛말의 문법, 정확히는 최근까지 이루어진 중세국어 문법연구를 바탕으로 쓰여진 책. 제3판에서는 개정판이 나온 후 지난 10여 년 동안에 이루어진 중세어 중심의 문법사를 다룬 업적을 검토하여 내용을 많이 보강하였다. 대부분 각주를 통하여 반영하였으나 본문을 통하여 내용을 보충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1)-1’과 같은 방식으로 번호를 매겨 예문을 보충하고 설명을 곁들였다.
연습문제 답안지는 성문당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다운로드 (표준으로 검색)
http://www.jipmoon.co.kr/kboard/content.asp?part=pds&id=79&GotoPage=1&block=
이 책은 1985년부터 시행된 통일문법의 체계에 따른 옛말의 문법, 정확히는 최근까지 이루어진 중세국어 문법연구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제3판에서는 개정판이 나온 후 지난 10여 년 동안에 이루어진 중세어 중심의 문법사를 다룬 업적을 검토하여 내용을 많이 보강하였다. 대부분 각주를 통하여 반영하였으나 본문을 통하여 내용을 보충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1)-1’과 같은 방식으로 번호를 매겨 예문을 보충하고 설명을 곁들였다.
책은 3편 1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편은 총론으로서 문자와 표기법, 개별 글자들의 발음, 문법자료의 성격 등 문법학습에 있어 알아 두어야 할 예비사항을 다루었다. 제2편은 품사론을 포함한 형태론이고, 제3편은 문법요소의 기능과 의미를 포함한 통사론이다. 개정판과 비교하여 큰 틀은 변함없지만 필요에 따라 본문의 순서를 이동하기도 하였다. 본문 끝에는 연습문제를 두어 이론의 활용화를 꾀하였다. 이곳에는 ‘길잡이’를 마련하여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하였고 ‘참고문헌’에서는 각주에서 언급한 논저를 배열하여 더 깊이 공부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참고가 되게 하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고영근(지은이)
1936년 경남 진양군 (현재 진주시)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와 대학원을 거쳐 같은 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를 역임하였다. (문학박사). 훔볼트 초빙교수로 독일 라이프치히 소재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 만하임 소재 독일어 연구원, 보훔, 콘스탄츠, 함부르크, 뷔르츠부르크 대학에서 이 론문법과 텍스트과학을 연구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로 있으며 어학전문 국제학술지 『형태론』의 편집고문과 <이극로박사 기념사업회> 회장을 맡고 있다. 짖고 엮은 책 우리말 문법, 그 총체적 모습(2018), 한국어와 언어 유형론(2018), 한국어의 시제 서법 동작상(2004/2007 보정판), 중세국어의 시상과 서법(1981/1986 재판/1998 보정판/2011 제4판), 우리말의 총체서술과 문법체계(1993), 국어형태론연구(1989/1999 증보판), 텍스트이론(1999), 텍스트과학(2011), 단어·문장·텍스트(1995/2004 보정판), 표준 중세 국어 문법론(1997/2009 개정판/2010 제3판/2020 제4판), 역대한국문법의 통합적 연구(2001), 한국의 언어연구(2001), 국어문법의 연구(1983), 민족어의 수호와 발전(2008), 민족어학의 건설과 발전(2011), 한국어문 운동과 근대화(1998), 북한의 언어문화(1999), 북한의 문법연구와 문법지식의 응용화(2008), 최현배의 학문과 사상(1995), 통일시대의 語文問題(1994), 표준국어문법론(공저 1985/1993 개정판/2011 제3판/2014 제4판), 새로 쓴 표준 국어문법론(2019 전면개정판), 북한의 문법연구와 문법교육(공저 2004), 한국텍스트과학의 제과제(공저 2001), 문법과 텍스트(공저 2002),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분석(공저 2003), 우리말 문법론(공저 2008/2018 개정판), 중세어자료강해(공편 1997), 문법(국정단일통일 고등학교 1985, 1992), 주시경의 『국어문법』(공동교감 1986), 역대한국문법대계 153책(공편 1977~2015), 우리 언어 문화의 뿌리를 찾아(어문수상집 1996), 우리 언어 문화의 바른 길을 찾아서(어문수상집 2020) 등 50여 종 수상 세종문화상(1996), 일석국어학상(2004), 삼일문화상(2008), 외솔문화상(2020)

목차
목차 제3판 머리말 = ⅲ 초판 머리말 = ⅴ 개정판을 내면서 = ⅶ 제1편 총론 제1장 문자, 표기법, 발음 = 3 1.1. 문자 = 3 1.2. 표기법 = 8 1.3. 발음 = 15 연습문제 = 24 제2장 문법자료와 그 성격 = 27 2.1. 문법자료 = 27 2.2. 문법자료의 성격 = 34 연습문제 = 40 제3장 중세국어의 특징 = 43 3.1. 형태적 특징 = 43 3.2. 통사적 특징 = 46 연습문제 = 49 제4장 중세국어 문법연구의 어제와 오늘 = 51 연습문제 = 55 제2편 형태론 제5장 중세국어의 단어의 특징과 품사분류 = 59 5.1. 형태소와 단어 = 59 5.2. 중세국어의 품사분류 = 61 연습문제 = 65 제6장 체언과 조사 = 67 6.1. 명사 = 67 6.2. 대명사와 수사 = 75 6.3. 복수 표시법 = 85 6.4. 조사 = 88 6.5. 체언의 형태 교체 = 106 연습문제 = 110 제7장 활용론 = 113 7.1. 활용어 = 113 7.2. 활용의 규칙성과 불규칙성 = 123 7.3. 선어말어미 = 136 7.4. 어말어미 = 145 연습문제 = 156 제8장 관형사, 부사, 감탄사 = 157 8.1. 관형사 = 157 8.2. 부사 = 159 8.3. 감탄사 = 164 연습문제 = 165 제9장 품사의 통용 = 167 연습문제 = 171 제10장 단어형성의 원리 = 173 10.1. 단어의 짜임새 = 173 10.2. 파생법 = 178 10.3. 합성법 = 192 10.4. 합성어의 파생 = 198 연습문제 = 199 제3편 통사론 제11장 문장의 성분 = 203 11.1. 문장의 성분과 재료 = 203 11.2. 주성분 = 208 11.2.1. 주어 = 208 11.2.2. 서술어 = 212 11.2.3. 목적어 = 215 11.2.4. 보어 = 220 11.3. 부속성분 = 221 11.3.1. 관형어 = 221 11.3.2. 부사어 = 228 11.4. 독립성분 = 236 연습문제 = 237 제12장 일과 관련된 문법 범주 = 241 12.1. 부정법 = 241 연습문제 = 248 12.2. 사동법 = 248 12.3. 피동법 = 257 12.4. 피동법과 능격 표현 = 263 연습문제 = 266 제13장 앎과 시간에 관련된 문법 범주 = 269 13.1. 기본서법과 시제 = 271 13.2. 부차서법과 앎ㆍ느낌 = 285 13.3. 동작상 = 296 연습문제 = 302 제14장 사람과 관련된 문법 범주 = 305 14.1. 결어법 = 305 14.1.1. 문체법 = 305 14.1.2. 존비법 = 322 14.2. 공대법 = 327 14.2.1. 존경법 = 327 14.2.2. 겸손법 = 334 연습문제 = 339 제15장 화자 표시법과 대상 표시법 = 345 15.1. 화자 표시법 = 345 15.2. 대상 표시법 = 353 연습문제 = 359 제16장 문장과 이야기의 짜임새 = 363 16.1. 겹문장과 이야기 = 363 16.2. 안은 문장 = 365 16.3. 이어진 문장 = 373 연습문제 = 383 16.4. 이야기 = 385 연습문제 = 393 붙임 1. 문법자료 = 399 2. 본문 예문 해석 = 411 참고논저 = 463 찾아보기 = 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