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021camuu2200313 a 4500 | |
001 | 000045609850 | |
005 | 20100915174247 | |
008 | 100915s2010 enk b 001 0 eng d | |
015 | ▼a GBB011928 ▼2 bnb | |
020 | ▼a 9780745648750 (hbk.) | |
020 | ▼a 0745648754 (hbk.) | |
020 | ▼a 9780745648767 (pbk.) | |
040 | ▼a StDuBDS ▼b eng ▼c StDuBDS ▼d 211009 | |
082 | 0 4 | ▼a 330.9051 ▼2 22 |
084 | ▼a 330.9051 ▼2 DDCK | |
090 | ▼a 330.9051 ▼b C161b | |
100 | 1 | ▼a Callinicos, Alex. |
245 | 1 0 | ▼a Bonfire of illusions / ▼c by Alex Callinicos. |
260 | ▼a Cambridge : ▼b Polity, ▼c 2010. | |
300 | ▼a xi, 179 p. ; ▼c 22 cm. | |
504 | ▼a Includes bibliographical references and index. | |
610 | 2 0 | ▼a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
650 | 0 | ▼a Global Financial Crisis, 2008-2009. |
650 | 0 | ▼a Geopolitics. |
650 | 0 | ▼a Capitalism. |
651 | 0 | ▼a United States ▼x Foreign relations ▼z China. |
651 | 0 | ▼a China ▼x Foreign relations ▼z United States.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서고6층/ | 청구기호 330.9051 C161b | 등록번호 11159243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알렉스 캘리니코스(지은이)
1950년 짐바브웨에서 태어난 세계적 마르크스주의 석학이다.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에서 “자본론의 논리학”으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현재 런던대학교 킹스칼리지 명예교수다. 실천하는 지식인의 전형으로, 2000년대의 대안 세계화 운동과 반전 운동을 건설하는 데 중요한 구실을 했으며 영국 사회주의노동자당(SWP) 중앙위원장을 맡고 있다. 2001년 한국의 한 중앙 일간지가 선정한 세계 지식인 42인 가운데, 놈 촘스키에 이어 둘째 순서로 소개됐다. 또 <한겨레>가 보도했듯이 “캘리니코스는 세계에서 손꼽히는 마르크스주의와 세계 반전?반자본주의 이론가로 평가받고 있다.” 캘리니코스가 쓴 《카를 마르크스의 혁명적 사상》은 한국 대학생들 사이에서도 오랫동안 필독서로 꼽혔다. 그 밖에 《반자본주의 선언》, 《제국주의와 국제 정치경제》, 《알렉스 캘리니코스의 자본론 행간 읽기》, 《포스트모더니즘: 마르크스주의의 비판》, 《인종차별과 자본주의》, 《브렉시트와 유럽연합》(공저), 《코로나19, 자본주의의 모순이 낳은 재난》(공저), 《제3의 길은 없다》, 《사회이론의 역사》, 《현대철학의 두 가지 전통과 마르크스주의》, 《이론과 서사》 등 수십 권의 저서가 번역돼 있다.

목차
Preface and Acknowledgements ix
Introduction: How the World Changed in 2008 1
1 Finance Humbled 20
What is fi nancialization? 23
Three perspectives on financial crises 34
More than just a financial crisis 50
Dilemmas of recovery 83
2 Empire Confined 95
The state roars back 95
Collision of empires 106
Orchestrating disharmony 121
Conclusion: Regime Change or System Change? 127
The end of neoliberalism? 127
State, market and planning 134
Notes 144
Index 169
정보제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