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1073camcc2200337 c 4500 | |
001 | 000045609529 | |
005 | 20100916204302 | |
007 | ta | |
008 | 100913s2009 ulkad b 000c kor | |
020 | ▼a 9788963550749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2147663 | |
040 | ▼a 211042 ▼c 211042 ▼d 211009 | |
041 | 0 | ▼a kor ▼b eng |
082 | 0 4 | ▼a 373.182 ▼2 22 |
085 | ▼a 373.182 ▼2 DDCK | |
090 | ▼a 373.182 ▼b 2009 | |
100 | 1 | ▼a 박동열 ▼0 AUTH(211009)74303 |
245 | 1 0 | ▼a 전문계 고교생의 기초학습능력 향상 방안 / ▼d 박동열, ▼e 정철영, ▼e 김진구 |
246 | 1 1 | ▼a (The) method to improve the basic learning abilit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
260 | ▼a 서울 : ▼b 한국직업능력개발원, ▼c 2009 | |
300 | ▼a xi, 271 p. : ▼b 삽화, 도표 ; ▼c 24 cm | |
490 | 1 0 | ▼a 정책연구 ; ▼v 2009-19 |
504 | ▼a 참고문헌(p. 259-271)과 부록수록 | |
700 | 1 | ▼a 정철영, ▼e 저 |
700 | 1 | ▼a 김진구, ▼e 저 |
830 | 0 | ▼a 정책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v 2009-19 |
900 | 1 0 | ▼a Park, Dong-Yeol, ▼e 저 |
900 | 1 0 | ▼a Jung, Chul-Young, ▼e 저 |
900 | 1 0 | ▼a Kim, Jin-Koo,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3.182 2009 | Accession No. 11159134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절차 1. 연구의 방법 2. 연구절차 제2장 전문계 고등학교 기초학습능력 운영 및 지원현황 제1절 전문계 고등학생의 기초학습능력 실태 1. 기초학습능력의 개념 2. 기초학습능력 수준 현황 제2절 기초학습능력 관련 교과목 운영실태 1. 전문계 고등학교의 기초교과목 운영 현황 2. 교육과정 개편에 따른 전문계 고등학생의 기초교과목 운영전망 제3절 전문계 고교 학습부진학생 기초학습능력 향상 정책과 과제 1. 시도 교육청 단위에서의 학습부진학생 기초학습능력 향상 정책현황 2. 학습부진학생의 기초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단위학교의 노력 제3장 전문계 고등학교 학업성취 모형 및 실태분석 제1절 전문계 고등학교 학업성취 모형탐색 1. 학업성취도 관련 변인 2. 전문계 고등학교 학업성취모형(안) 제2절 전문계 고등학교 학업성취 실태 분석 1. 전문계 고등학교 기초학습능력 관련 변인 실태분석 2. 기초학습능력에 대한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 결과 제4장 전문계 고등학생 기초학습능력 향상 방안 제1절 기본방향 제2절 향상 방안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