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4
제1편 정치학 연구의 철학적 기초
1. 실증주의 = 22
2. 해석주의(해석학) = 27
3. 최근의 새로운 움직임 = 32
(1) 실재론과 후기실증주의 = 33
(2) 해석주의: 후기구조주의, 포스트모더니즘, 구성주의 = 36
(3) 기타의 형태: 페미니즘, 신실용주의, 자연주의 = 37
4. 정치학의 현황 = 39
(1) 페레스트로이카 운동 = 40
(2) King, Keohane, Verba의 방법론 연구: 문제점과 대안 = 44
제2편 사회과학의 이론적 구성: 최근의 연구동향
제1장 비판적 실재론
1. 실재론의 중심 주제 = 52
2. 인과메커니즘의 구성: '업덕션'과 '리트로덕션' = 55
3. 사회적 실재론: 구조와 행위 = 58
4. 설명적 비평 = 60
5. 비판적 실재론과 Freud의 정신분석 = 63
제2장 후기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1. 구조주의 = 65
2. 후기구조주의 = 69
(1) Jacques Derrida: 해체의 논리 = 69
(2) Michel Foucault: 계보학 = 72
3. 포스트모더니즘 = 81
(1) Jran-Francis Lyotard = 82
(2) Zygmunt Bauman = 84
제3장 구성주의
1. 구성주의 인식론 = 87
2. 과학적 지식: 세 가지 형태 = 91
(1) 에딘버러 학파의 지식사회학 = 91
(2) 사회적 구성주의: Bruno Latour & Steve Woolgar = 93
(3) 과학과 오토포이에스 체제 = 94
3. 국제정치학 : Alexander Wendt = 97
(1) 주성주의 국제정치학 = 98
(2) 양자이론의 원용 = 100
(3) 구성주의 비판에 대한 대응 = 104
4. 비교정치학 = 110
(1) 비교과정분석 = 111
(2) 정체성 = 112
(3) 근대주권국가의 형성: 개념적 역사 분석 = 116
제4장 페미니즘: 입장이론
1. 입장이론의 기본 논리 = 121
(1) Dorothy Smith = 121
(2) Nancy C. M. Hartsock 페미니스트 유물론 = 124
(3) Patricia Hill Collins: 흑인 페미니스트 사상 = 126
2. 입장이론과 포스트모더니즘 = 129
(1) Linda Alcoff: 여성 정체성의 문제 = 130
(2) Nancy J. Hirschmann: 포스터모던 전략 = 131
3. 객관성의 문제: 후기실증주의 = 134
(1) Alison Wylie: 입장이론과 후기실증주의 = 134
(2) Sandra Harding: 실증주의 유산의 재구성 = 137
제5장 신실용주의
1. 실용주의: 현대적 구성 = 141
(1) 고전적 실용주의 = 142
(2) 신실용주의: Richard Rorty = 144
2. 사회과학과 신실용주의 = 151
(1) 사회과학 방법론: 기본방향 = 152
(2) 과학적 탐구의 행동적 측면 = 154
(3) 대화주의 = 156
(4) 해석학적 재구성: 교화 = 158
3. 사회과학의 최근 연구동향 = 160
(1) 문화인류학 = 161
(2) 고고학 = 163
(3) 역사: 계보학적 접근 = 165
제6장 자연주의: 진화이론
1. 진화이론의 기본 구조 = 172
(1) 진화의 기본방향 = 173
(2) 변이 진화 = 175
(3) 자연선택 = 176
(4) 적응 = 178
(5) 소진화와 대진화 = 178
2. 사회과학과 진화이론 = 185
(1) 기능주의와 합리적 선택의 재구성: Alexander Rosenberg = 185
(2) 유전적 결정론과 환경중시론 = 188
(3) 문화적 진화: '멤(meme)' = 190
3. 정치학의 연구동향 = 191
(1) 국가: 정책과 관행 = 192
(2) '단속 평형'과 정치적 변환 = 193
(3) 정책적 멤(policy memes)의 진화: 아이디어와 이해 = 194
(4) 공공재(public goods)의 형성 = 196
(5) 세계화 = 200
(6) 앞으로의 새로운 연구주제 = 204
제3편 현대정치학의 주요 이론적 접근
제1장 구조와 행위: 종합적 접근
1. 구조화이론: Anthony Giddens = 210
(1) 행위의 측면 = 212
(2) 구조의 측면 = 215
(3) 제도 = 219
(4) 구조적 원칙, 집합, 특성 = 220
(5) 경험적 연구의 방향 = 222
2. 비판적 실재론 = 229
(1) Roy Bhaskar = 229
(2) Margaret Archer = 231
(3) 전략적-관계적 접근: Bob Jessop = 232
3. 하비투스 이론 : Pierre Bourdieu = 243
(1) 객관적 구조와 주관적 현상의 통합 = 244
(2) 하비투스 = 245
(3) 경역과 자본 = 248
(4) 문화적 자본과 상징적 자본 = 251
(5) 경험적 연구의 사례 = 253
제2장 역사적 접근
1. 연구의 영역과 객관성 문제 = 262
(1) 연구 영역 = 262
(2) 객관성의 문제 = 265
2. 역사적 접근: 고전적 토대 = 269
(1) K. Marx와 역사사회학 = 270
(2) M. Weber와 해석적 전통 = 275
(3) 기능주의-진화론적 역사사회학 = 284
(4) 연보학파: Fernand Braudel = 287
(5) 문명화 과정의 연구: Norbert Elias = 289
3. 역사적 접근: 현대적 구성 = 291
(1) 네오마르크스주의: P. Anderson의 '절대주의 국가'연구 = 291
(2) 근대화 이론 = 294
(3) 문화연사 = 299
(4) 역사적 연구와 '언어적 전환' = 303
(5) 계보학적 접근 = 308
4. 비교 역사적 분석의 연구동향 = 313
(1) 비교 역사적 분석의 '시간적 범위' = 313
(2) 구조와 행위의 연결 = 317
제3장 정치사상: 현대적 접근
1. 평등 자유주의: John Rawls = 321
2. 자유지상주의: Robert Nozick = 327
(1) 개인적 자유의 절대적 가치: Kant의 원칙 = 328
(2) 소유자격 이론 = 329
3. 마르크스주의 = 332
(1) 전후 서구 마르크스주의의 변모 = 332
(2) 분석적 마르크스주의: 자본주의적 소외론 = 336
4. 공동체주의 = 338
(1) 공동체주의의 정의관 = 339
(2) 건전한 공동체의 특성: 사회적 주제 = 342
(3) 공동체주의와 민족주의 = 345
5. 협의민주주의와 시민 이론 = 348
(1) 협의민주주의 = 349
(2) 시민이론 = 352
6. 다문화주의 = 356
(1) 다문화주의의 기본 전제 = 357
(2) 인정의 정치 = 358
(3) 다문화주의의 정치적 측면 = 361
7. 페미니즘 = 364
(1) 페미니즘의 연구 주제 = 364
(2) 페미니즘의 이데올로기적 특성 = 369
(3) 최근의 새로운 이론들: 포스트 페미니즘 = 373
제4장 문화적 접근
1. 문화 = 379
2. 문화적 접근의 연구 분야 = 382
(1) 문화사회학 = 382
(2) 문화연구 = 383
(3) 정치학의 문화적 접근 = 385
3. 문화적 접근의 이론적 맥락 = 389
(1) 문화주의 = 389
(2) 구조주의 언어학 = 391
(3) 문화와 이데올로기 = 394
(4) 후기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 397
(5) 신실용주의 = 405
4. 문화적 접근의 주요 논제 = 408
(1) 정체성 = 408
(2) 종족성, 인종, 민족 = 391
(3) 담론분석 = 417
(4) 사회운동 = 422
(5) 국가와 문화적 전환 = 425
제5장 정치심리학
1. 정치지도자의 심리적 특징 = 432
(1) 정신분석학적 접근 = 432
(2) 특성 이론 = 436
2. 정치적 이미지: 인지이론의 논리 = 439
(1) 정보처리 과정 = 439
(2) 정치적 이미지와 그 전략적 측면 = 444
3. 대외정책 결정의 심리적 변수 = 449
(1) 위험인식 = 449
(2) 손실회피와 전망이론 = 453
4. 정치적 가치와 이데올로기 = 455
(1) 정치적 가치 = 456
(2) 정치적 이데올로기 = 458
(3) 가치의 거시적 분석 = 461
5. 정치적 집단행동 = 464
(1) 주요 이론적 접근의 개요 = 465
(2) 정치화된 집단적 정체성: B. Simon & B. Klandermans = 467
(3) 집단적 정치행동의 수요-공급 이론: B. Klandermans = 472
6. 정치적 극단주의: 테러리즘과 대량학살 = 476
(1) 극단주의의 성격 = 477
(2) 테러리즘 = 479
(3) 대량학살과 대규모 살인 = 482
7. 정신분석학과 현대사회의 변환 = 489
(1) Freud의 유산: 무의식과 문명 = 489
(2) Frankfurt 학파: 자본주의 사회의 문제점 = 492
(3) 구조주의: Lacan과 Althusser = 495
(4) 페미니즘: Julia Kristeva = 501
(5) 포스트모더니즘 = 503
제4편 현대정치학의 이론적 연구영역
제1장 근대와 탈근대의 역사적 변환
1. 근대의 의미 = 513
2. 탈근대의 역사적 변환: 포스트모더니즘 = 516
(1) 포스트모더니즘의 철학적 담론 = 517
(2) 포스트모더니즘: 경제적 분석 = 523
(3) 포스트모더니즘: 문화적 전환 = 527
(4)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비판 = 536
3. 근대의 재조명 = 537
(1) Jurgen Habermas: 근대와 의사소통 합리성 = 538
(2) 반사적 근대화 = 541
제2장 민주주의: 도전과 선택
1. 민주화의 '제3 물결'과 '이행 패러다임' = 549
(1) Guillermo O'Donnell: 강화론의 환상 = 550
(2) Thomas Carothers: 이행 패러다임의 문제점 = 552
2. 선진 민주주의 고민 = 555
(1) S. Pharr, R. Putnam, & R. Dalton: 선진민주주의 고민 = 556
(2) Russel J. Dalton: 선진 민주위의의 정치적 지지도의 퇴조 = 559
3. 민주주의에 대한 도전 = 564
(1) 세계화와 경쟁력 = 564
(2) 발전국가의 부상 = 566
(3) 다수준 가버넌스 = 570
4. 민주주의의 선택 = 572
(1) 보편적 민주주의론 = 573
(2) 민주주의의 세 가지 형태: 개혁의 기본 방향 = 575
(3) 민주주의의 어려운 선택 = 582
제3장 환경과 정치
1. 환경문제의 역사적 맥락 = 587
(1) U.N 인류환경회의 = 588
(2) 지구정상회의 = 590
(3)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세계정상회의' = 593
2. 환경정치의 주요 현안과 이론적 맥락 = 595
(1) 환경정치의 주요 현안 = 595
(2) 환경정치의 이론적 맥락: 이데올로기 = 599
3. 환경주의 = 602
(1) 보수주의 = 604
(2) 자유주의 = 606
4. 생태주의 = 608
(1) 이론적 기초 = 609
(2) 환경위기의 본질과 대응방향 = 614
(3) 녹색정치의 제도적 고안: 분권화와 국가의 역할 = 617
(4) 녹색 정치의 전략적 측면 = 622
5. 환경정치의 최대 현안: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 = 631
(1)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 원인과 결과 = 631
(2) 국제적 공조: 교토 의정서 체제 = 633
(3) 정책적 대응의 세 가지 형태 = 635
(4) 기후변화의 지정학 = 640
제4장 세계화
1. 세계화의 의미 = 647
(1) David Held et. al. = 647
(2) Jan Aart Scholte = 647
(3) Joseph S. Nye and John D. Donahue = 648
2. 세계화의 이론적 구성 = 648
(1) 신자유주의 제도주의 = 650
(2) 세계체제 이론 = 653
(3) 세계사회의 발전 모형 = 658
(4) 세계문화의 다양성 = 661
(5) 사회적 구성주의 = 665
3. 세계화와 경제적 변환 = 685
(1) 신국제분업과 경제성장 = 672
(2) 상품화의 증대 = 673
(3) 자본주의의 새로운 조직 형태: 고도 자본주의 = 674
(4) 세계적 불평등의 문제 = 676
(5) 세계적 금융질서: 2008년 미국 금융위기의 전말 = 678
4. 세계화와 문화적 변환 = 672
(1) 집단적 정체성: 민족주의의 변환 = 686
(2) 지식과 사상의 변환 = 688
5. 세계화와 가버넌스
(1) 정치적 현실주의 = 693
(2) 자유주의적 국제주의 = 696
(3) 마르크스주의 = 699
(4) 문화적 분석 = 706
6. 세계화의 정책적 논의 = 711
(1) 신자유주의 = 711
(2) 세계화 반대론 = 714
(3) 개혁주의 = 715
(4) 변환주의 = 717
참고문헌 = 720
찾아보기 = 7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