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1 면역학의 개요 = 11
1. 면역의 개념 = 11
2. 면역학의 역사 = 12
1) 고대∼17세기 = 12
2) 18∼19세기 = 12
3) 20세기 = 14
3. 면역의 종류 = 15
1) 선천면역 = 15
2) 후천면역 = 17
4. 면역기관과 세포 = 20
1) 림프기관 = 20
2) 면역세포 = 25
02 항원 = 33
1. 항원의 정의 = 33
2. 항원의 분류 = 34
1) 항체 생성능력 = 34
2) 화학적 특성 = 36
3) 가슴샘 의존성 = 37
3. 항원의 인식 = 37
1) 선천면역에 의한 항원인식 = 38
2) 후천면역에 의한 항원인식 = 38
03 보체 = 43
1. 보체의 종류 = 43
2. 보체의 활성화 경로 = 45
1) 대체경로 = 45
2) 렉틴경로 = 45
3) 고전경로 = 46
3. 보체의 기능 = 47
1) 옵소닌화와 포식작용 = 47
2) 세포용해 = 50
3) 염증반응 = 50
4) 바이러스의 중화 = 51
4. 보체경로의 조절작용 = 51
5. 질병과 보체의 변화 = 53
04 면역관련 항원인식 분자 - 면역글로불린(항체), T세포 수용체, 주조직적합복합체 = 61
1. 면역글로불린 = 61
1) 면역글로불린의 정의 = 61
2) 면역글로불린의 구조 = 62
3) 면역글로불린의 종류와 특징 = 64
4) 면역글로불린의 다양성 = 68
5) 단클론항체와 다클론항체 = 75
6) 면역글로불린의 임상적 활용 = 79
7) 질병과 면역글로불린의 관계 = 80
2. T세포 수용체 = 81
1) T세포 수용체의 정의 = 81
2) T세포 수용체의 구조와 종류 = 81
3) T세포 수용체의 다양성 = 82
3. 주조직적합복합체 = 83
1) 주조직적합복합체의 정의 = 83
2) 주조직적합복합체의 구조와 종류 = 83
3) 주조직적합복합체의 다양성 = 84
4) 항원제시과정 = 86
5) 주조직적합복합체 제한 = 91
6) 주조직적합복합체에 의한 T세포의 동종반응 = 91
05 B세포와 T세포의 발달과정 = 103
1. B세포의 발달과정 = 103
1) B세포의 분화 = 103
2) 유전자재배열의 특징 = 104
3) 자가항원에 의한 B세포의 제거 = 106
2. 성숙 B세포의 분화과정 = 107
3. B-1과 B-2세포 = 109
4. T세포의 발달과정 = 111
1) 유전자재배열의 특징 = 111
2) 양성선택과 음성선택 = 113
5. 효과 T세포와 기억 T세포의 분화 = 115
06 T세포매개면역 = 123
1. T세포의 항원인식 및 활성화 = 123
1) 항원제시세포의 항원제시 = 123
2) T세포 활성화를 위한 분자 = 125
3) 항원보강제 = 128
4) T세포의 활성화 신호전달과정 = 129
2. 효과 T세포의 특징 및 분화 = 132
1) 효과세포의 성상 = 132
2) $$T_H$$1세포와 $$T_H$$2세포 = 134
3. 세포매개면역의 작용기전 = 134
1) 도움 T세포 = 134
2) 세포독성 T세포 = 137
3) 억제 T세포 = 139
4) 시토카인 = 140
07 B세포의 체액면역 = 145
1. 체액면역의 단계 = 145
2. B세포의 활성화 기전 = 147
1) B세포 수용체에 의한 신호전달경로 = 147
2) B세포 공동수용체의 역할 = 147
3) 가슴샘 의존성 = 148
4) 림프기관에서 B세포의 분화과정 = 151
3. 항체의 기능 = 153
1) 동형항체의 역할 = 153
2) 중화작용 = 155
3) 포식작용 = 157
4) 항체의존세포매개세포독성 = 157
08 감염에 대한 면역반응 = 165
1. 감염원의 종류 및 병기리전 = 165
2. 선천면역반응 = 166
1) 물리적 방어 = 166
2) 혈장단백질의 작용 = 166
3) 세포유주운동을 통한 염증반응 = 168
4) 큰포식세포에 의한 시토카인의 분비 = 169
5) 포식작용 = 171
6)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선천면역기전 = 172
3. 후천면역반응 = 175
4. 면역기억 = 176
09 과민면역질환 = 183
1. 과민반응의 정의 = 183
2. 제1형 과민반응 = 185
1) 발병기전 = 185
2) 아토피 = 187
3) 임상적 양상 = 188
4) 진단검사 및 치료 = 189
3. 제2형 과민반응 = 190
1) 발병기전 = 190
2) 임상적 양상 = 191
4. 제3형 과민반응 = 191
1) 발병기전 = 191
2) 임상적 양상 = 192
5. 제4형 과민반응 = 192
1) 발병기전 = 192
2) 임상적 양상 = 193
10 자가면역질환 = 199
1. 자가면역질환의 정의 = 199
2. 자가면역질환의 발병기전 = 200
1) 유전인자 = 200
2) 환경인자 = 201
3. 자가면역질환의 종류 = 202
1) 세포표면 단백질에 대한 항체생산 관련 질환 = 203
2) 면역복합체 질환 = 206
3) T세포매개질환 = 206
4) 기타질환 = 208
11 면역결핍질환 = 215
1. 면역결핍질환의 개요 = 215
2. 선천면역결핍질환 = 216
1) B세포의 면역결핍질환 = 216
2) T세포의 면역결핍질환 = 217
3) B세포와 T세포의 복합형 면역결핍질환 = 218
4) 포식세포의 면역결핍질환 = 220
5) 보체관련 이상질환 = 221
3. 후천면역결핍질환 = 223
1) 후천면역결핍증후군 = 223
2) 약물 및 생활환경 = 227
12 종양면역 = 233
1. 종양면역의 개요 = 233
1) 종양의 종류 = 233
2) 종양의 원인 = 234
3) 종양면역의 정의 = 236
2. 종양항원 = 236
1) 종양특이항원 = 236
2) 종양연관항원 = 237
3. 종양에 대한 면역반응 = 239
1) 자연살해세포 = 239
2) 큰포식세포 = 239
3) B세포와 항체 = 239
4) T세포 = 239
4. 종양의 면역회피기전 = 240
1) 종양항원의 연관성 = 240
2) 주조직적합복합체의 연관성 = 240
3) T세포 관련과정 = 241
5. 종양면역치료 = 241
1) 항체에 의한 종양제거 = 242
2) 백신 = 244
3) 세포치료제 = 244
13 이식면역 = 249
1. 이식의 종류 = 249
2. 이식거부반응 = 250
1) 이식거부의 정의 = 250
2) 혈액형 항원 = 250
3) 이식거부반응 기전 = 251
4) 먼역억제제 = 255
3. 이식편대숙주질환 = 257
부록 Ⅰ = 263
부록 Ⅱ = 265
부록 Ⅲ = 266
색인 = 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