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직업으로서의 정치

직업으로서의 정치 (Loan 10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Weber, Max 전성우, 역
Title Statement
직업으로서의 정치 / 막스 베버 지음 ; 전성우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나남,   2007   (2009)  
Physical Medium
142 p. ; 19 cm
Series Statement
나남신서 ;1190
Varied Title
Politik als beruf
ISBN
9788930081900 9788930080019(세트)
000 00781camcc2200289 c 4500
001 000045606997
005 20100825191515
007 ta
008 100825s2007 ggk 000c kor
020 ▼a 9788930081900 ▼g 94300
020 1 ▼a 9788930080019(세트)
035 ▼a (KERIS)BIB000010798601
040 ▼a 249002 ▼c 249002 ▼d 211009
041 1 ▼a kor ▼h ger
082 0 4 ▼a 320 ▼2 22
085 ▼a 320 ▼2 DDCK
090 ▼a 320 ▼b 2007a4
100 1 ▼a Weber, Max ▼0 AUTH(211009)22212
245 1 0 ▼a 직업으로서의 정치 / ▼d 막스 베버 지음 ; ▼e 전성우 옮김
246 1 9 ▼a Politik als beruf
260 ▼a 파주 : ▼b 나남, ▼c 2007 ▼g (2009)
300 ▼a 142 p. ; ▼c 19 cm
440 0 0 ▼a 나남신서 ; ▼v 1190
700 1 ▼a 전성우, ▼e▼0 AUTH(211009)52951
900 1 0 ▼a 베버, 막스, ▼e
945 ▼a KLPA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0 2007a4 Accession No. 111590685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4-05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2persons reqested this item) R Service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0 2007a4 Accession No. 111590686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4-06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20 2007a4 Accession No. 151301219 Availability Missing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0 2007a4 Accession No. 111590685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4-05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2persons reqested this item) R Service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0 2007a4 Accession No. 111590686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4-06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20 2007a4 Accession No. 151301219 Availability Missing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근대의 마지막 대가 막스 베버의 정치적 유언장인 <직업으로서의 정치>. 한 손에 들어올만큼 작은 크기이지만, 정치의 본질과 소명, 그 배반에 대한 현대의 모든 지적 상상력과 논의의 원천으로 간주되는 최고의 고전 중의 하나이다.

해박한 지식과 특유의 섬세하고 깊은 통찰력으로 정치에 대한 필생의 사유를 풀어낸 이 강연을 마친 후 바로 다음 해에 베버는 세상을 떠났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가히 근대 최고 정치사상가의 하나인 베버의 정치적 유언장이라고 할 만하다.

베버는 그 유명한 지배의 정당성에 대한 논의를 비롯하여 직업 정치가의 출현, 그 형태와 자질과 윤리를 다룬다. 그러나 가장 시선을 끄는 것은 역시 정치의 소명과 그 배반에 대한 통렬한 지적이다. 그는 어리석고 비열해 보이는 세상에 좌절하지 않고 그 어떤 상황에 대해서도 "그럼에도 불구하고!"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만이 정치에 대한 "소명"을 갖고 있다고 말한다.

이런 열정적 소명이 없다면, 그는 정치인이 아니라 그저 먹고살기 위해 혹은 더 잘 먹고살기 위해 정치판을 이용하는 천박한 정치적 기식자나 포식자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베버는 권력행사의 객관적 결과와 그 책임에 대한 감각이 없는 것 역시 치명적인 정치적 죄악이며, 정치적 소명의 배반임을 강조한다.

정치가 풀어야 할 과제는 늘어났지만 정치의 능력은 현저히 떨어진 요즘, 베버의 유언장은 이 정치적 성찰을 이끌어줄 길잡이가 될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막스 베버(지은이)

독일 에르푸르트에서 태어났으며, 하이델베르크, 슈트라스부르크, 베를린, 괴팅겐 대학에서 법학, 경제학, 역사학, 철학 등을 공부했다. 1889년 베를린 대학에서 중세 이탈리아 상사(商社)에 대한 논문으로 법학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1891년에는 고대 로마 농업사에 관한 연구로 ‘하빌리타치온’(독일 대학교수 자격)을 취득했다. 1893년 평생의 지적 반려자인 마리안네 슈니트거와 결혼했다. 1894년에 프라이부르크 대학의 경제학 및 재정학 정교수로 초빙되었다. 1897년에는 하이델베르크 대학의 경제학 및 재정학 정교수로 초빙되었으나, 얼마 후 심한 정신적 질환을 앓게 되어 1903년 10월 대학에서 물러나 명예교수가 되었다. 1904년 베르너 좀바르트 및 에드가 야페와 『사회과학 및 사회정책 저널』의 공동 편집인이 되었다. 독일 사회학회가 탄생하는 데 ‘산파’ 역할을 했으며, 1909년 이 학회가 창립되었을 때 회계 담당 이사가 되었다. 또한 같은 해에 방대한 사회과학 총서 『사회경제학 개요』의 조직과 편집을 담당했으며, 사회정책학회 총회에서 벌어진 가치판단 논쟁에서 가치판단 중지의 원칙을 옹호했다. 1919년 뮌헨 대학의 사회과학, 경제사 및 경제학 정교수로 초빙되었으나, 1920년 6월 14일 급작스런 폐렴으로 한창 원숙한 지적 경지에 이른 56세에 세상을 떠나 그의 영원한 정신적 고향인 하이델베르크에 안장되었다. 그는 『경제와 사회』 및 『종교사회학 논총』(전3권) 등을 비롯해 문화과학과 사회과학 담론의 다양한 차원 ― 이론적 논의, 경험적 연구, 역사적 접근, 비교 연구, 방법론적 고찰, 그리고 이론과 실천의 관계 등 ― 에 걸쳐 실로 거대한 지적 유산을 남겼다. 총 3부 43권(실제로는 54권)으로 구성된 『막스 베버 전집』(Max Weber-Gesamtausgabe)은 1984년부터 출간되기 시작해 2020년 완간되었다.

전성우(옮긴이)

국내 베버 연구의 1인자인 전성우는 서울대학교 독문과를 졸업했으며 독일 괴팅겐대학에서《프로테스탄티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으로 막스 베버를 접하고 사회학으로 전향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양대학교 정보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하는 동안 베버를 연구했다.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교 및 에를랑겐대학교, 일본 가쿠슈인대학교에서 초빙교수로 있었으며 한국이론사회학회의 회장을 지냈다. 쓴 책으로는 《막스 베버 사회학》, 《막스 베버 역사사회학 연구》, Max Webers Stadtkonzeption, 《막스 베버 사회학의 쟁점들》(공저), 번역서로는 《탈주술화 과정과 근대》, 《막스 베버 사회과학방법론Ⅰ》, 《막스 베버의 고대 중세 연구》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막스 베버의 근대사회론”, “막스 베버 지배사회학 연구”, “Der Mythos Max Weber”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역자서문 = 5
01. 문제제기와 개념틀 = 19
 1. 〈정치〉 및 〈국가〉의 개념정의 = 19
 2. 지배 정당성의 근거: 세 가지 유형 = 23
 3. 지배조직의 외적 기본요건 = 27
 4. 서구 근대국가의 형성: 〈직업 정치가〉의 출현 = 30
02. 〈직업 정치가〉의 제 측면 = 35
 1. 정치참여의 다양한 방식 = 35
 2. 〈직업〉으로서의 정치 = 38
 3. 근대 전문 관료층의 대두 = 45
 4. 전문 관료층, 군주 그리고 의회 = 48
 5. 〈전문 관료〉와 〈정치 관료〉 = 50
03. 직업 정치가의 역사적 제 유형 = 55
 1. 성직자, 문인, 궁정귀족, 도시문벌 = 55
 2. 법률가층 = 58
 3. 〈관료〉와 〈정치가〉 = 62
 4. 저널리스트 = 65
04. 근대적 정당과 직업 정치가 = 71
 1. 근대 정당의 형성과정 = 71
 2. 현대의 정당구조와 직업 정치가 = 78
 3. 영국 사례 = 82
 4. 미국 사례 = 89
 5. 독일 사례 = 96
05. 직업 정치가의 자질 = 105
 1. 열정, 책임감, 균형감각 = 105
 2. 〈대의〉에 대한 헌신: 〈권력정치〉의 한계 = 108
06. 〈정치〉와 〈윤리〉 = 113
 1. 〈윤리〉와 〈독선〉 = 113
 2. 〈절대윤리〉와 〈정치〉 = 116
 3. 〈신념윤리〉와 〈책임윤리〉 = 121
 4. 목적은 수단을 정당화하는가? = 122
 5. 종교적 윤리와 정치 = 127
 6. 정치의 〈폭력성〉과 윤리 = 131
결론: 〈신념윤리〉와 〈책임윤리〉의 상보성 = 13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Diener, Alexander C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