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광고학 개론 2010 개정판

광고학 개론 2010 개정판 (Loan 59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이명천 김요한, 저
Title Statement
광고학 개론 / 이명천 , 김요한
판사항
2010 개정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10  
Physical Medium
vi, 475 p. : 삽화 ; 26 cm
ISBN
9788964060940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수록
000 00662camcc2200253 c 4500
001 000045606898
005 20100826131608
007 ta
008 100825s2010 ulka b 000c kor
020 ▼a 9788964060940 ▼g 93300
035 ▼a (KERIS)BIB000012110166
040 ▼a 243001 ▼d 211009
082 0 4 ▼a 659.1 ▼2 22
085 ▼a 659.1 ▼2 DDCK
090 ▼a 659.1 ▼b 2010z5
100 1 ▼a 이명천 ▼0 AUTH(211009)139861
245 1 0 ▼a 광고학 개론 / ▼d 이명천 , ▼e 김요한
250 ▼a 2010 개정판
260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c 2010
300 ▼a vi, 475 p. : ▼b 삽화 ; ▼c 26 cm
504 ▼a 참고문헌 수록
700 1 ▼a 김요한, ▼e▼0 AUTH(211009)4100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59.1 2010z5 Accession No. 11159049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59.1 2010z5 Accession No. 11159049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미디어 관련 법의 제·개정과 기술의 발달로 새로운 광고 기법이 등장하고 있다. 이 시점에도 광고 환경은 계속 변화하고 있다. 이번 개정판은 급변하는 광고 환경을 고려해 새로운 광고 관련 제도와 광고 유형을 다양하게 소개한다. 실생활 사례 중심으로 설명함으로써 광고에 처음 입문하는 사람이 광고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광고에 입문하는 사람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복잡한 이론의 설명보다는 실생활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사례를 중심으로 설명했다. 광고를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는 광고의 기본적인 지식 함양을 통해 효과적인 광고 전략 수립의 기반을 축적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비전공자에게는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광고를 하나의 정보와 문화현상으로 파악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도록 구성했다.
국내 광고 위주로 관련 사례들을 설명하고 <광고의 미래>에 관한 장을 마련하여 최신의 다양한 광고 기법을 소개했다. 특정 사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한 가지 견해보다는 국내외의 관련 교재와 논문, 학회 발표문, 그리고 신문 및 인터넷 기사 등의 다양한 자료를 통해 광고에 대한 균형감각을 갖출 수 있도록 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이명천(지은이)

중앙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다. 중앙대학교에서 광고홍보학으로 학사학위를, 경영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한양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장과 홍보실장, 한국광고홍보학회장, 한국PR학회장, SBSi 사외이사, 국제청소년지원단 이사장, UNEP 한국위원회 이사를 역임했다.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법인이사와 한마음한몸운동본부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 및 논문으로는『광고조사론』(공역, 1993),『글로벌 시대의 광고와 사회』(공저, 1999),『인터넷 광고론』(역서, 2000),『글로벌 마케팅 커뮤니케이션』(공저, 2002),『인터넷 광고의 이해』(공역, 2003),『광고연구방법론』(공저, 2003),『위기 관리 PR 커뮤니케이션』(공역, 2006),『위기 커뮤니케이션』(공역, 2009), “기업의 제품 관련 위기 유형과 대응 전략별 효과에 관한 연구”(공동연구, 2007), “정부 정책 홍보 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분석 연구”(공동연구, 2008), “모바일진의 광고매체 가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공동연구, 2009), “정부 부처의 홍보대사 이용 실태 및 홍보담당자들의 인식 연구”(2010) 등이 있다.

김요한(지은이)

원광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다. 동국대학교에서 영어영문학으로 학사학위를 받았고, 중앙대학교에서 광고홍보전공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PR학회 기획이사, 한국지역언론학회 편집이사, 호남언론학회 총무이사를 역임했다. 저서 및 논문으로는『글로벌 마케팅 커뮤니케이션』(공저, 2002),『광고연구방법론』(공저, 2003),『문화콘텐츠 마케팅』(공저 2006),『커뮤니케이션의 이해와 활용』(공저, 2013),『SPSS를 이용한 사회과학통계』(공저, 2014), “소비자 관여도에 따른 광고와 퍼블리시티의 제시순서 효과”(2008), “이벤트와 스폰서 간 일치성이 스폰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2009), “기업의 CSR 활동 광고와 기업의 관련성이 기업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사전 기업 이미지와 CSR 광고의 형태를 조절변인으로”(2009), “소비자행동 예측에 기반이 되는 광고효과 지표로서 태도-확신 지수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2012), “홍보대사와 캠페인 간 적합성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2013), “메시지 측면성과 경쟁 브랜드명시 여부에 따른 비교광고의 효과”(2015)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1장 광고의 역사 
 1. 광고의 기원 = 1
  광고의 어원 = 1
  고대 광고 = 2
  중세 광고 = 2
  근세로의 전환 = 3
 2. 한국 광고사 = 5
  개화기(1886∼1910년) = 5
  일제 무단정치시대(1910∼1920년) = 6
  일제시대 : 광고 성장 및 쇠퇴기(1920∼1945년) = 7
  해방에서 4대 매체 등장시기(1945∼1968년) = 10
  광고대행사 시대, 국제화 물결(1968∼1980년) = 13
  언론통폐합, 한국방송광고공사 설립 및 컬러방송(1980∼1987년) = 19
  개방시대(1988년 이후) = 21
2장 광고의 이해 
 1. 광고의 정의 = 31
  광고의 핵심개념 = 31
  유사개념들과의 비교 = 34
 2. 광고의 기능 = 36
  광고의 정기능 = 37
  광고의 역기능 = 41
 3. 광고의 유형 = 46
  표적 수용자에 따른 분류 = 47
  지역에 따른 분류 = 50
  목적에 따른 분류 = 55
  매체에 따른 분류 = 60
  자극 수요에 따른 분류 = 60
3장 광고산업 
 1. 광고산업의 구조 = 64
 2. 광고대행사 = 66
  광고대행사 형성 과정 = 68
  광조주들이 광고대행사를 이용하는 이유 = 70
  광고대행사의 유형 = 72
  광고대행사 보상제도 = 75
 3. 미디어렙 = 79
  미디어렙의 정의 및 유형 = 79
  KOBACO = 81
  미디어렙 경쟁체제 도입 = 85
 4. 미디어 에이전시 = 89
  미디어 에이전시의 정의 및 특성 = 89
  미디어 에이전시의 탄생 배경 = 91
  미디어 에이전시의 유형 = 93
 5. 매체 = 93
 6. 조사회사 = 96
 7. 규제기관 = 96
  정부 및 공공기관 = 96
  자율규제기관 = 96
4장 광고와 마케팅(Ⅰ) : 마케팅 개요 
 1. 마케팅의 의미 = 99
 2. 마케팅 개념의 등장 및 핵심 요소 = 103
  마케팅 개념의 변화 = 103
  마케팅 개념의 핵심 요소 = 107
5장 광고와 마케팅(Ⅱ) : 브랜드 차별화 전략
 1. 시장세분화 전략 = 125
  세분화 전략의 종류 = 126
  시장세분화의 기준 = 133
 2. 표적시장 선정 = 140
 3. 포지셔닝 전략 = 142
6장 촉진 믹스 
 1. 광고 = 147
 2. PR = 148
  PR의 정의 = 149
  PR 전략 = 151
  PR 프로그램 유형 = 157
 3. 판매촉진 = 172
  판매촉진 전략 = 172
  소비자 대상 판매촉진프로그램 = 174
  중간상 대상 판매촉진 프로그램 = 178
  판매촉진의 장단점 = 182
 4. 인적판매 = 183
  인적판매의 사용 이유 = 183
  인적판매를 사용하는 제품 = 184
 5. 다이렉트 마케팅 = 186
  다이렉트 마케팅의 증가 이유 = 186
  다이렉트 마케팅의 특성 = 187
  다이렉트 마케팅의 유형 = 187
7장 광고와 커뮤니케이션  
 1.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 194
  커뮤니케이션의 정의 = 194
  커뮤니케이션 모형 = 195
  커뮤니케이션의 유형 = 199
 2. 광고 커뮤니케이션의 기본 요소 = 201
  정보원/송신자 = 201
  메시지 = 214
  채널 = 224
  소비자 = 225
  효과 = 228
8장 광고 목표 및 예산 설정 
 1. 광고 목표 설정 = 237
  광고 목표의 기능 = 237
  광고 목표로서 매출 = 239
  광고 목표로서 커뮤니케이션 효과 = 244
  DAGMAR = 245
 2. 광고 예산 설정 = 249 
  매출 비율법 = 251
  지불능력 기준법 = 252
  경쟁사 기준법 = 253
  고정예산법과 매체 인상비 승수법 = 254
  목표과업법 = 254
9장 광고 크리에이티브 전략 
 1. 크리에이티브 목표 = 258
 2. 크리에이티브 컨셉트 = 259
 3. 크리에이티브 전략의 유형 = 262
  USP 전략 = 263
  브랜드 이미지 전략 = 267
  포지셔닝 전략 = 273
 4. 크리에이티브 실행 형식 = 283
  위협 = 283
  유머 = 285
  패러디 = 287
  온정 = 289
  성(性) = 290
  비교 = 292
  증언 = 294
  생활의 단면 = 295
  실연 = 296
10장 광고 매체 전략 
 1. 매체기획의 의사결정들 = 300
 2. 매체기획 수립 시 고려요인들 = 301
  제품 특성 = 301
  가격 정책 = 304
  유통 = 304
  촉진 = 305
 3. 매체 효과의 지표 = 306
  비히클 수용자 크기 측정 = 306
  도달률, 평균 빈도, GRP = 314
  효과 도달률 = 318
 4. 매체 스케줄링 전략 = 322
  광고량의 결정 = 322
  광고 시점의 결정 = 326
 5. 미디어 믹스 전략 = 327
  집중화 전략 = 330
  다매체 전략 = 330
 6. 비히클 선정 = 331
11장 광고 매체의 특성 
 1. TV = 335
  TV 광고의 특성 = 337
  TV 광고의 유형 = 340
  TV 광고의 요금 = 342
 2. 라디오 = 344
  라디오 광고의 특성 = 344
  라디오 광고의 유형 및 요금 = 345
 3. 신문 = 346
  신문 광고의 특성 = 346
  신문 광고의 유형 = 348
  신문 광고의 요금 = 354
 4. 잡지 = 354
  잡지 광고의 특성 = 354
  잡지의 규격 = 356
  잡지 광고의 유형 및 요금 = 358
 5. 인터넷 = 358
  인터넷 광고의 특성 = 359
  인터넷 광고의 유형 = 361
  인터넷 광고의 요금 = 368
12장 광고 조사 
 1. 광고에서 조사가 중요하게 된 원인 = 373
  치열해진 경쟁상황 = 373
  유통업자의 권한 강화 = 374
  매체환경의 변화 = 376
  소비자의 변화 = 376
 2. 마케팅 조사와 광고 조사의 차이 = 377
  마케팅 조사 = 377
  광고 조사 = 379
 3. 광고 조사의 영역 = 380
  광고전략조사 = 380
  광고평가조사 = 384
 4. 광고 조사의 사례 = 385
13장 광고 규제 
 1. 광고규제의 근거 = 391
  경제적 측면 = 391
  사회ㆍ문화적 측면 = 392
 2. 광고규제의 종류 = 392
  타율규제 = 393
  자율규제 = 394
  소비자규제 = 399
 3. 광고규제의 사례 = 400
  허위광고 = 400
  기만광고 = 406
  품위손상광고 = 407
 4. 바람직한 광고규제의 방향 = 411
14장 광고의 미래
 1. 광고환경의 변화 = 415
  능동적 소비자의 등장 = 415
  광고량의 증가로 인한 광고 효과의 감소 = 415
  새로운 기기의 등장과 광고 회피의 증가 = 417
 2. 새로운 광고 유형의 등장 = 419
  디지털 방송광고 = 419
  모바일 광고 = 423
  DMB 광고 = 427
  PPL = 430
  애드 무비 = 442
  가상광고 = 446
  게릴라 마케팅 = 452
  게임을 이용한 광고 = 455
  변형 버스 광고 = 460
  래핑(wrapping) = 462
  '3D TV' 광고 = 466
  기타 유형들 = 468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