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징조처럼 암시처럼 : 정중화 시집

징조처럼 암시처럼 : 정중화 시집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정중화, 1960-
서명 / 저자사항
징조처럼 암시처럼 : 정중화 시집 / 정중화
발행사항
서울 :   문학의전당,   2010  
형태사항
118 p. ; 21 cm
총서사항
문학의 전당·신작시집
ISBN
9788993481563
000 00613camcc2200217 c 4500
001 000045605735
005 20100819115023
007 ta
008 100722s2010 ulk 000cp kor
020 ▼a 9788993481563 ▼g 03810
035 ▼a (KERIS)BIB000012100237
040 ▼a 221016 ▼c 221016 ▼d 221016 ▼d 244002
082 0 4 ▼a 895.715 ▼2 22
085 ▼a 897.17 ▼2 DDCK
090 ▼a 897.17 ▼b 정중화 징
100 1 ▼a 정중화, ▼d 1960-
245 1 0 ▼a 징조처럼 암시처럼 : ▼b 정중화 시집 / ▼d 정중화
260 ▼a 서울 : ▼b 문학의전당, ▼c 2010
300 ▼a 118 p. ; ▼c 21 cm
440 0 0 ▼a 문학의 전당·신작시집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97.17 정중화 징 등록번호 15128922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2003년 「문학세계」로 등단한 정중화의 시집. 시인은 일상에서 건져 올린 소재로 따뜻한 시를 쓴다. 시집은 1부 '잊고 사는 이에게', 2부 '바람이 전하는 말', 3부 '그리운 날의 일기', 4부 '징조처럼 암시처럼'으로 구성되었다.

일상에서 건져 올린 소재로 따뜻한 시를 쓰는 정중화 시인의 신작 시집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정중화(지은이)

1960년 강원 춘천에서 태어나 2003년 『문학세계』로 등단했다. 시집에 『내가 여전히 그대를 그리워해도 되겠습니까』가 있고 춘천문협 회원, 삼악시·평화문단 동인, 춘천수향시낭송회 부회장으로 있다. 2010년 현재 춘천교대 사무처 시설팀에 근무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1부 잊고 사는 이에게
 친구여 = 13
 시간여행 = 14
 사랑할 때는 = 16
 편하게 사는 법 = 17
 숲에서 = 18
 아침에 = 19
 막차는 지나가버리고 = 20
 잊고 사는 이에게 = 21
 그리움 10 = 22
 세탁기를 돌리며 = 23
 숯가마에서 = 24
 짝사랑 = 25
 늦은 귀가 = 26
 노송 = 27
 찢어진 타이어 = 28
 배 = 29
2부 바람이 전하는 말
 싹 = 33
 작은 것도 사랑입니다 = 34
 꽃샘추위 = 36
 진달래 = 37
 아침 풍경 = 38
 안개 숲 = 39
 태종대 앞바다를 걸었네 = 40
 장어백숙 = 42
 달리지 않는 차 = 44
 달빛 풍경 = 46
 정동진의 밤엔 바다가 뭍에 있다 = 48
 바람이 전하는 말 = 49
 사과를 먹다가 = 50
 단풍 = 52
 산곡풍 = 53
 골목 안에서 = 54
 춘천역엔 기차가 가지 않는다 = 56
 소양댐 = 58
3부 그리운 날의 일기
 당신을 사랑하나 봅니다 = 61
 빛 = 62
 안개 = 63
 화려한 봄날 = 64
 가로등 = 65
 그리운 날의 일기 = 66
 못 = 67
 비 = 68
 양말 = 70
 들풀 = 72
 신발을 위하여 = 74
 장마 = 75
 시인의 항변 = 76
 낙엽 2 = 78
 편지 = 79
 늙어가는 그림 = 80
 붕어빵을 만드는 여자 = 82
 추억 = 84
4부 징조처럼 암시처럼
 겨울나무 5 = 87
 겨울맞이 = 88
 冬將軍 = 90
 북소리 = 91
 겨울정원 = 92
 귀가 = 93
 신발장을 정리하며 = 94
 낙엽송 = 96
 동행 = 97
 낮달 = 98
 달 = 99
 숯 굽는 남자 = 100
 탈출 = 101
 그렇게 하기로 하지 = 102
 징조처럼 암시처럼 = 103
 이별후애(離別後愛) = 104
 은행나무 = 105
해설 - 자기응시의 시, 내면의식의 순수성 / 이영춘 = 106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