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82namcc2200229 c 4500 | |
001 | 000045605712 | |
005 | 20100818094015 | |
007 | ta | |
008 | 100817s2010 ulk 000c kor | |
020 | ▼a 9788960211353 ▼g 03810 : ▼c \8,000 | |
020 | ▼a 9788960211056 (세트) | |
040 | ▼a 244002 ▼c 244002 ▼d 244002 | |
082 | 0 4 | ▼a 895.715 ▼2 22 |
085 | ▼a 897.17 ▼2 DDCK | |
090 | ▼a 897.17 ▼b 이석구 커 | |
100 | 1 | ▼a 이석구, ▼d 1960- |
245 | 1 0 | ▼a 커다란 잎 : ▼b 이석구 시집 / ▼d 이석구 지음 |
260 | ▼a 서울 : ▼b 천년의시작, ▼c 2010 | |
300 | ▼a 119 p. : ▼b ; ▼c 21 cm | |
440 | 0 0 | ▼a 천년의 時 ; ▼v 036 |
536 | ▼a 이 책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2010년도 문예진흥기금을 받았음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897.17 이석구 커 | Accession No. 15128924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2005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시조가 당선되면서 작품활동을 시작한 이석구 시인의 시집. 시인의 시편들에는 '꽃'에 대한 이미지가 지배적이다. 차분하게 응시하면서, 생명현상의 경이로움을 아름답게 표현하는 생태학적인 시들이 많다. '정형 양식의 완미함과 현대적 정서의 역동성'으로 현대시조의 미학을 이루어낸 시인의 첫 번째 시집.
‘정형 양식의 완미함과 현대적 정서의 역동성’으로 현대시조의 미학을 이루어낸 이석구의 첫 번째 시집
이석구 시인의 시편들에는 ‘꽃’에 대한 이미지가 지배적이다. 차분하게 응시하면서, 생명현상의 경이로움을 아름답게 표현하는 생태학적인 시들이 많다. 이는 ‘시간’이란 관념과 뗄 수 없는 관계를 지니는 것처럼, 마찬가지로 ‘시간’에 대한 깊은 사유 또한 이루어내고 있다. 나아가 ‘생명’과 ‘시간’에 대한 성찰은 존재론적인 범주까지 사유의 깊이를 더해가는데,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이를 통해 타자에 대한 따듯한 포용까지 사유를 진전시키는 결실을 맺고 있다. 시조의 안정적인 형식과 현대적인 감각의 훌륭한 조화로써 좋은 현대시조에 대한 긍정적 전망을 보여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Ⅰ 마량리 동백 = 13 가을, 그 집 수졸당(守拙堂) = 14 겨울 폭포 = 15 5년생 동백 = 16 물오리 = 17 토계리 이가(李家)네 집 = 18 여름, 그 집 수졸당 = 20 수련연못 = 22 그 숲에 까막딱따구리 = 23 오색딱따구리 = 24 둠벙에서 = 26 동백, 그 여자 = 27 마당에 동백 = 28 매화(梅花), 그 집 수졸당 = 30 겨울 폭포 2 = 31 토란 밭에서 = 32 Ⅱ 꽃을 먹으며 = 35 나의 물푸레나무 = 36 꽃집에 들다 = 37 꽃집 앞에서 꽃을 심다 = 38 넝쿨 장미가 스치다 = 40 모란병풍도 = 41 칠월, 그 집 수졸당 = 42 아내의 말 = 43 그리움은 파랗다 = 44 산 위에서 = 45 시월 = 46 빨래를 하며 = 48 겨울 폭포 3 = 49 사계(四季) = 50 지나간 사진 = 52 TV첼로 = 54 이월(二月) = 55 Ⅲ 흉터 = 59 그 여자, #4708 = 60 나 = 62 나란한 꽃 = 63 TV 촛불 = 64 박꽃 = 65 베트남 신부(新婦) = 66 나의 동백 = 68 제45번 푸조나무 = 69 샛강 = 70 색칠한 아이 = 71 실론티를 마시다 = 72 홍시 = 73 상감(象嵌)유리목걸이 속의 여자 = 74 연애(戀愛) = 76 필리핀 댁 = 77 무하마드 = 78 꿈 = 79 검은 숲 = 80 제주 동백 = 82 Ⅳ 벌판에 서다 = 85 수졸당(守拙堂) 문 바르는 날 = 86 즐거운 길 = 87 돌아오는 집 = 88 규학이 형 = 89 토계리 버드나무 = 90 눈 내리는 숲에서 = 91 가시연꽃 = 92 겨울, 그 집 수졸당 = 93 반가사유상 일어서다 = 94 호랑가시나무 = 95 아픈 주먹 = 96 외산(外山) 가는 길 = 97 꿀벌 = 98 산상화원(山上花園) = 99 커다란 잎 = 100 신왕리 정자나무 = 101 사월(四月) = 102 해제(解制) = 104 해설 : 시간과 시원과 타자를 사유하다 / 유성호 =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