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814camcc2200265 c 4500 | |
001 | 000045605695 | |
005 | 20100824101659 | |
007 | ta | |
008 | 100713s2010 ggkcj b 000c kor | |
020 | ▼a 9788935661619 ▼g 04100 | |
020 | 1 | ▼a 9788935661633(세트) |
035 | ▼a (KERIS)BIB000012088257 | |
040 | ▼d 242001 ▼d 244002 ▼d 211009 | |
082 | 0 4 | ▼a 150.0952 ▼2 22 |
085 | ▼a 150.1952 ▼2 DDCK | |
090 | ▼a 150.1952 ▼b 2010 | |
100 | 1 | ▼a 강응섭 ▼0 AUTH(211009)55169 |
245 | 1 0 | ▼a 프로이트 : ▼b 무의식을 통해 마음을 분석하다 / ▼d 강응섭 지음 |
246 | 1 1 | ▼a Sigmund Freud : ▼b analysing the unconscious mind |
260 | ▼a 파주 : ▼b 한길사, ▼c 2010 | |
300 | ▼a 332 p. : ▼b 초상화, 연보 ; ▼c 20 cm | |
440 | 0 0 | ▼a 인문고전 깊이읽기 ; ▼v 2 |
504 | ▼a 권말에 서지적 주 수록 | |
600 | 1 0 | ▼a Freud, Sigmund, ▼d 1856-1939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0.1952 2010 | 등록번호 11159032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0.1952 2010 | 등록번호 11159032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150.1952 2010 | 등록번호 15128926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0.1952 2010 | 등록번호 11159032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0.1952 2010 | 등록번호 11159032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150.1952 2010 | 등록번호 15128926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인문고전 깊이읽기’ 제2권 <프로이트>편. 현대 서양철학에 크나큰 영향을 미친 프로이트의 생애와 그의 사상을 다루고 있다. 헤겔, 데카르트 등 사실주의에 입각한 철학자들에 의해 의식의 독립된 개념으로만 여기던 ‘무의식’을 정신구조로 설명한 프로이트는 사실 철학자도 인문학자도 아닌 신경계 전공 의사였다. 그는 히스테리, 성욕동,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신경증 등을 실험하고 연구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개념을 탄생시켰다.
“정신분석적 발견의 결과로 오늘날 우리는 ‘시간과 공간이 사고의 필요불가결한 형식들’이라는 칸트의 법칙을 논해야 한다. 우리는 무의식적 정신 과정이 그 자체로 무시간적이라는 것을 알았다. 이 말은 우선 그 정신 과정에서는 시간적으로 질서가 만들어지지 않았고, 시간이 어떤 방식으로도 그 과정을 변화시키지 않으며 시간의 개념이 그것에 적용될 수 없다는 의미다.”(본문 113쪽)
이성의 장으로 이어오던 문명의 흐름에 무의식의 장을 추가하려는 그의 노력은 ‘무의식만을 위한 장으로서의 정신분석’을 주창하기에 이른다. 특히 19세기 리얼리즘을 전복시킨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등 현대 사조의 흐름을 알기 위해 꼭 짚고 넘어가야 하는 이론들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프로이트를 따로 떼어놓고 설명하기는 어렵다. 나약하고 어두운 자신을 이해하고 감싸 안기 위해 출발한 정신분석은 이제 정체성을 잃고 흔들리는 사회 갈등을 바로잡고, 치유와 회복의 역할을 담당하는 중요 학문이 되었다.
세상 모든 지혜와 진리의 원천, 고전을 다시 읽는다
고대부터 지금까지 시대별로 존재한 숱한 사상가들이 남겨놓은 저작들이 영원히 유효한 까닭은 시대가 변해도 바뀌지 않는 지혜와 진리가 그 속에 담겨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런 저작을 읽으며 인간 존재의 근원을 찾아낼 수 있고, 현재 일어나고 있는 현상을 좀더 깊이 있게 살펴보고 분석하는 데 필요한 각종 지표를 그 속에서 만날 수 있다. 사회현상을 읽어낼 수 있는 개념들이 만일 저작이라는 형태로 남아 있지 않았다면, 우리는 무엇을 통해 새 시대의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었을까. 이런 이유로 장르를 불문하고 ‘고전’을 읽어야 하는 일은 인간답게 살아가기 위한 필수요소가 아닐 수 없다.
산업과 문명의 발달은 인간의 삶을 물질적으로 풍요롭게 만들었지만, 반대로 정신적인 삶은 점점 피폐해지고 획일화되었다. 양쪽의 균형을 바로잡기 위한 인간의 노력은 다양한 형태로 변화했고, 이를 지켜본 이들의 생각은 한 편의 ‘글’을 통해 퍼져 나왔다. 이렇게 한 편씩 축적된 방대한 양의 저작들은 지역에 상관없이 사람들 사이에 소통의 끈을 이어주었다. 또한 이상을 끊임없이 추구하는 인간 본성을 자극하며 예측하기 힘든 미지의 길을 점차 밝혀주고 있는 등불이 되었다.
10가지 핵심 주제가 담긴 원전을 통해 시대의 흐름을 이끈 사상가들을 만나다
진짜 ‘고전’을 만나는 최고의 방법은 사실 그 나라 언어로 된 원전을 직접 읽어보는 것이다. 하지만 방대한 양의 수많은 고전을 원전으로 읽는다는 건 일반 독자라면 큰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는 일이다. 이를 대신해 대부분의 독자는 국내 번역서를 통해 고전을 읽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아무리 번역서가 있더라도 한 사상가가 쓴 전체 저작을 읽는 일은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하므로 고전을 쉽게 접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인문고전 깊이읽기’는 이처럼 시간이 부족해 고전 읽기에 갈증을 느끼는 일반 독자들을 위해 마련한 기획이다. 물론 이와 같은 시도가 몇몇 번역서로 나온 적도 있었지만 국내 필진이 써내려간, 국내 정서에 맞는 내용이 담긴 책을 펴내는 작업은 이제껏 나오지 않았다. 이번에 펴낸 4종을 비롯해 앞으로 펴낼 ‘인문고전 깊이읽기’의 전체 구성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한 사상가의 생애는 물론 그의 핵심사상 10가지를 키워드와 주제로 정하고, 이에 해당하는 원문을 발췌하고 번역했으며, 최대한 생생하게 사상가의 목소리를 담아냈다. 원문에 대한 저자의 친절한 해설도 함께 덧붙여 씨줄과 날줄처럼 전체 저작을 넘나들며 사상가의 핵심사상을 한번에 훑어볼 수 있다.
▲좀더 깊은 논의가 필요한 독자는 원전을 직접 찾아서 읽어볼 수 있도록 각 인용문에는 해당 저작명과 쪽수를 밝혀놓았다. 또한 인용문은 별색으로 처리해 독자들이 찾아 읽기 쉽도록 장치했다.
▲사상가와 관련된 사진이나 그림을 본문에 삽입해 자칫 지루할 수 있는 내용을 좀더 효과적으로 읽을 수 있도록 중간마다 배치했다. 이런 자료들을 통해 사상가가 살아간 시대적 배경도 함께 살펴볼 수 있다.
▲부록에는 사상가를 알기 위해 더 읽어야 할 책, 중심 사상을 관통하는 용어 해설, 본문에서 다루지 못한 의문점을 해결하기 위한 묻고 답하기, 다른 학자들이 말하는 사상가에 대한 증언록, 연보 등을 실어 본문에서 못 다 쓴 정보들을 총체적으로 정리해두었다.
▲언제 어디서든 휴대하기 편하고, 쉽게 읽을 수 있도록 4×6판형의 작은 크기로 펴냈다.
▲현재 각 분야별로 활발하게 연구 활동을 하고 있는 젊은 전공자들을 주요 집필자로 선정해 가급적 새로운 시대에 필요한 담론을 책에 담을 수 있도록 유도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강응섭(지은이)
총신대학교 신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몽펠리에3대학교 정신분석학과거쳐, 몽펠리에개신교대학교에서 프로이트와 라캉의 정체화(Identification) 개념으로 루터와 에라스무스의 의지 논쟁을 분석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9년부터 예명대학원대학교의 조직신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고, 정신분석학 전공을 개설하여 프로이트와 라캉을 잇는 흐름의 석사 및 박사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프로이트-라캉주의 분석가로부터 분석을 받으면서 정신분석 이론과 임상을 연결하고 있다. 또한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부회장, 편집위원장, 재무이사, 한국조직신학회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동일시와 노예의지』, 『프로이트 읽기』, 『첫사랑은 다시 돌아온다』, 『자크 라캉의 「세미나」 읽기』, 『자크 라캉과 성서해석』, 『라깡과 기독교의 대화』, 『한국에 온 라캉과 4차 산업혁명』 등이 있다. 역서로는 『정신분석대사전』, 『라깡 세미나·에크리 독해 1』, 『프로이트, 페렌치, 그로데크, 클라인, 위니코트, 돌토, 라깡 정신분석 작품과 사상』(공역) 등이 있고, 그 외에 신학 정신분석학 리더십학을 잇는 다수의 논문과 다수의 공저를 발표하였다.

목차
목차 프로이트, 무의식의 장을 열다 - 들어가는 말 = 15 프로이트는 어떤 사상가인가 = 23 1 정신분석의 기술을 구상하다 : 히스테리 = 32 2 신경학을 빌리다 : 뉴런시스템과 심적 장치 = 68 3 꿈을 해석하다 : 무의식ㆍ전의식ㆍ의식(제1차 위상) = 82 4 사랑을 말하다 : 성욕동과 나르시시즘 = 114 5 어머니를 아내로 삼다 :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 142 6 무의식을 리모델링하다 : 자아ㆍ초자아ㆍ이드(제2차 위상), 죽음욕동ㆍ생명욕동 = 166 7 정체화의 세 구조를 수직축과 수평축으로 나누다 : 됨ㆍ가짐ㆍ상호적 정체화 = 196 8 정신을 치료하다 : 신경증ㆍ정신증ㆍ도착증 = 220 9 종교의 기원을 신경증과 비교하다 : 모세와 프로이트 = 252 10 여행을 분석하다 : 기차를 타고 발견한 무의식 = 274 주(註) = 299 프로이트를 알기 위해 더 읽어야 할 책 = 305 프로이트와 관련된 유파 설명 = 311 정신분석에 관련된 용어 해설 = 315 프로이트와 정신분석에 대해 묻고 답하기 = 321 프로이트에 대한 증언록 = 327 프로이트 연보 = 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