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 3
제2장 연구개발사업가의 개념과 분석모형 = 6
제1절 연구개발사업평가의 개념과 구성요소 = 6
1. 정부연구개발사업 평가의 특성 = 6
2. 연구개발사업 평가의 유형과 종류 = 9
3. 연구개발사업 평가시스템 구조 = 13
4. 연구개발사업 평가의 기준 및 방법 = 18
제2절 수도권대학특성화 지원사업 평가를 위한 연구모형 = 24
1. 연구모형의 기준 설정 = 24
2. 수도권대학특성화지원 사업의 평가 및 분석 모형 = 28
제3장 수도권대학 특정화사업의 제도 및 내용분석과 적절성 분석 = 33
제1절 사업의 배경 및 내용 = 33
1. 사업 배경 = 33
2. 사업 내용 = 34
3. 세부지원 분야와 내용 = 36
제2절 사업관리 현황 = 40
1. 사업 신청 과정 = 40
2. 평가 및 선정과정 = 42
제3절 사업의 계획과 성과의 내용분석 = 49
1. 분석모형 및 방법 = 49
2. 사업의 목적 및 필요성(사업신청서 기준) = 51
3. 사업추진 체계 및 방법 = 54
4. 주요 세부사업내용 = 56
5. 자체평가 및 향후계획 = 69
제4절 수도권 대학특성화사업의 필요성 및 적절성 분석 = 73
1. 대학특성화의 필요성과 정부 역할 = 73
2. 사업목적에 따른 지원 및 내용의 타당성 = 75
제4장 수도권 대학 특정화사업의 성과 및 효과성 분석 = 81
제1절 기초자료 분석 개요 = 81
1. 기초자료 분석 개요 = 81
2. 응답 사업단 특성화분야 현황 = 82
3. 사업참여 대학 및 사업과제 = 83
제2절 대학역량강화 성과 분석 = 84
1. 대학교육 여건 = 85
2. 대학 학생 충원률 = 102
3. 연구비 투자 = 111
제3절 구조개혁 성과분석 = 117
1. 특성화분야로의 구조개혁 = 117
2. 특성화분야로의 자원배분 = 122
제4절 특성화 사럽 성과분석 = 128
1. 교육여건 개선 = 128
2. 학생지원 = 150
3. 연구역량 제고 = 161
4. 국제협력 = 173
5. 산학협력 = 193
6. 사업홍보 = 204
7. 취업률 및 진학률 = 210
제5장 수도권 대학특성화 사업의 참여자 인식분석 = 217
제1절 사업참여자 인식분석 개요 = 217
1. 조사 개요 = 217
2. 설문 내용 = 217
3. 설문조사 결과 분석방법 및 응답자 특성 = 219
제2절 참여자 인식조사 분석 결과 = 221
1. 사업과 대학 특성화 전략과의 연관성 = 221
2. 대학교육과 특성화에 대한 전반적 인식 = 223
3. 특성화 사업 목적과의 부합성 정도 인식 = 225
4. 특성화 사업 결과물 유무 및 활용 = 227
5. 대학 특성화 사업 효과성 = 230
6. 대학별 특성화 사업 개선사항 = 235
제3절 사업 인식에 대한 집단간 차이분석 = 236
1. 대학교육과 특성화에 대한 전반적 인식 차이분석 = 236
2. 대학별 특성화 사업의 현실적 가치와 타당성 인식 차이 분석 = 239
3. 특성화 사업 목적 부합성 인식차이 분석 = 240
4. 대학 특성화 사업 부분별 효과성 인식차이분석 = 241
5. 분석결과 종합 및 시사점 = 243
제6장 수도권대학 특정화사업 평가 종합 및 정책적 시사점 = 244
제1절 사업의 내용 및 타당성 분석과 정책적 합의 = 244
1. 대학 특성화에 대한 필요성과 타당성 분석 = 244
2. 대학특성화를 위한 정책적 합의 = 245
3. 사업 내용분석을 통한 시사점과 함의 = 247
제2절 사업의 성과 분석과 정책적 합의 = 249
1. 간접성과 - 정책유도 영역 = 249
2. 직접성과 - 7개 사업영역 = 252
3. 특성화 사업의 성과 분석에 나타난 정책적 합의 = 256
제3절 본 사업 참여 및 미참여 대학의 주요 성과지표 비교 = 257
1. 재학생 충원율 = 258
2. 교육연구성과 = 258
3. 대학재정교육비 = 261
4. 교육여건 = 262
5. 참여 및 미참여 대학성과비교 분석결과 종합 및 시사점 = 263
제4절 본 사업 선행평가결과 종합 및 비교 = 264
1. 선행연구 개요 = 264
2. 연구방법 및 범위, 평가기준 비교분석 = 265
3. 연구결과 및 시사점 비교분석 = 267
4. 선행연구와의 비교분석 결과 및 시사점 = 272
제5절 주요국 대학특성화 경향 및 누리사업과의 비교 = 273
1. 주요국의 고등교육개혁 및 대학 특성화 경향 = 273
2. 누리사업과의 비교 = 277
제6절 후속사업을 위한 사업의 제도적 개선 및 제안사항 = 279
1. 외부 환경에 대한 인식 = 280
2. 사업관리제도 = 280
3. 네트워크 구축 = 281
4. 홍보 = 282
5. 다양한 체계적인 평가 = 283
6. 선택과 집중 = 283
7. 사다리 놓기(연계 프로그램) = 283
8. 장기(지속적) 지원 = 284
제7장 결론 = 285
참고문헌 = 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