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문제의 제기 = 3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
1. 연구의 필요성 = 3
2. 연구의 목적 = 4
제2절 선행연구 검토(이론적 배경) = 4
1. 누리사업 성과분석모형과 관련한 선행연구 = 4
2. 누리사업 실시 과정에서의 구체적 실태와 관련한 선행연구 = 7
제3절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 7
1. 연구내용 = 7
2. 연구방법 = 8
제2장 누리사업의 특성과 선진국의 유사사업 분석 = 13
제1절 누리사업의 추진배경, 비전, 목표 = 13
1. 추진배경 = 13
2. 비전과 목표 = 14
1) 비전 = 14
2) 방향과 목표 = 14
제2절 누리사업의 실시단계별 주요 특성 = 18
1. 정책수립단계 = 18
1) 법적 근거 및 추진경과 = 18
2) 추진전략 및 사업유형 = 19
2. 선정단계 = 22
3. 사후평가단계 = 26
제3절 선진국의 유사 사업 분석 = 27
1. 선진국의 유사 사업 사례 = 28
1) 영국의 고등교육재정지원위원회와 지역개발청간의 전략적 협력 지원 방식 = 28
2) 일본의 지방대학 육성 정책 = 29
3) 프랑스 University for the third Millenium 프로젝트 = 31
4) 스웨덴의 VINNVÄXT 프로그램 = 33
5) 핀란드 지역혁신체계 운영 = 34
2. 누리사업과의 유사점 및 차이점 = 36
1) 유사점 = 36
2) 차이점 = 37
제4절 수도권대학 특성화 사업과의 비교 분석 = 37
1. 비교 분석의 목적 및 분석 항목 = 37
2. 수도권 특성화 사업 개요 = 38
1) 추진 배경, 목적 및 기본방향 = 38
2) 사업대상, 규모, 분야 및 기간 = 38
3) 사업추진체계 = 43
4) 모니터링 및 평가 = 43
5) 성과 = 44
6) 사업 후속 조치 = 44
3. 누리사업과 비교 = 45
1) 추진배경, 목적 및 기본방향 = 45
2) 사업대상, 규모, 분야 및 기간 = 45
3) 사업추진체계 = 46
4) 모니터링 및 평가 = 47
5) 성과 = 47
6) 사업 후속 조치 = 48
4. 향후 정부 재정지원 사업에의 시사 = 48
1) 사업 기획 = 48
2) 추진 방식 = 49
3) 모니터링 및 평가 = 50
4) 후속 조치 = 51
제5절 소결 = 52
제3장 누리사업의 투입물 및 성과 실태 분석 = 57
제1절 투입물 실태 = 57
1. 재정적 자원 투입 = 57
1) 국고 지원 예산 = 57
2) 대응 부담금 투입 = 65
2. 인적자원 투입 = 69
1) 참여교원수 = 69
2) 참여학생수 = 72
제2절 성과 실태 분석 = 75
1. 필수성과지표 = 75
1) 교원확보율 = 75
2) 신입생충원율 = 81
3) 학생취업률 = 86
2. 선택성과지표 = 92
1) 인력양성 관련 지표 = 92
2) 참여대학간 교류 지표 = 93
3) 산학협력 지표 = 94
4) 취업촉진 프로그램 운영 지표 = 96
5) 장학금 지원 지표 = 98
6) 취업자 지표 = 98
7) 자체성과지표 = 98
제3절 소결 = 99
제4장 누리사업의 취업률 성과 분석 = 105
제l절 성과분석모형 = 105
제2절 취업률 성과분석모형(이중차감법) 및 분석결과 = 108
1. 분석모형 = 108
2. 자료 = 110
1) 분석에 사용된 자료 = 110
2) 비교집단 대비 취업률 추이 분석 = 112
3. 결과분석 = 120
1) 비교집단 : 미선정 사업단 = 121
2) 비교집단 : 동일단대 기타학과 = 126
제3절 취업률 성과분석 확장모형 및 분석결과 = 129
1. 분석모형 = 129
2. 패널수준 효과 분석결과 = 131
1) 비교집단 : 미선정 사업단 = 131
2) 비교집단 : 동일단대 기타학과 = 133
제4절 취업의 질 분석 모형 및 분석 결과 = 134
1. 분석모형 = 134
2. 자료 = 136
3. 희귀모형 분석 결과 = 140
제5절 의사결정나무 분석모형 및 분석 결과 = 144
1. 분석모형 = 144
2. 취업률 및 취업의 질 분석결과 = 146
제6절 해자드 모형 및 분석 결과 = 154
1. 분석 모형 = 154
2. 해자드 모형 분석 결과 = 156
제7절 소결 = 160
1. 취업률 분석결과 = 160
2. 취업의 질 분석결과 = 164
3. 취업률 및 취업의 질에 대한 주요 분석결과 요약 몇 정책적 시사점 = 165
제5장 누리사업의 적합성과 효율성 평가 = 169
제1절 적합성 평가: 사업목표와 추진체계의 타당성 분석 = 172
1. 혁신역량강화 및 대학특성화 목표의 적합성 = 172
2. 인력양성 목표의 적합성 = 184
3. 누리사업 추진체계의 적합 = 188
제2절 사업추진체계의 효율성 평가 = 188
1. 사업내용 및 수단의 효율성 평가 = 189
2. 사업관리의 효율성 평가 = 203
3. 사업비 규모 및 배정의 효율성 = 210
제3절 소결 = 216
제6장 지역혁신체계 구축과 지역발전에 미친 영향 = 221
제1절 기존논의 검토 및 분석방법 = 221
제2절 ''2009년 누리사업 인지도 및 만족도'' 결과 분석 = 223
1. 참여 교수 = 224
2. 참여기업체 = 227
제3절 ''2009년 누리사업 연차 및 종합평가'' 자료 분석 = 229
1. 평가좌장 및 평가위원 의견의 유형화 = 229
2. 평가좌장 의견 유형화 분석결과 = 230
3. 평가위원 의견 유형화 분석결과 = 231
4. 평가좌장 및 평가위원 의견 평균값 분석 = 232
제4절 ''다요인-다지표(MIMIC)'' 분석을 통한 비교 = 233
1. 분석자료 = 233
1) 요인변수 = 234
2) 지표변수 = 235
2. 변수들의 통계적 특성 = 235
3. 추정결과 = 238
제5절 누리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242
1.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방법론 = 242
2. 분석데이터 및 사업비 지출 분류 = 244
1) 분석데이터 = 244
2) 누리사업 사업비 분류 = 245
3. 누리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결과 = 246
1) 권역별 파급효과 = 246
2) 산업별 파급효과 = 247
제6절 소 결 = 248
제7장 맺음말 -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 253
제1절 요약 = 253
제2절 정책적시사점 = 259
1. 정책사업 기획, 추진, 평가의 체계화 = 259
2. 정책목표와 정책환경 간의 정합성 제고 = 260
3. 효과 극대화에 적합한 재정지원 대상의 선정 = 260
4. 성과 평가 DB 구축을 위한 투자 확대 = 261
참고문헌 = 263
부록 1. 지방대학혁신역량강화(NURI)사업 취업률 조사 현황 = 267
부록 2. 누리사업 인지도 및 만족도 조사 결과분석 = 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