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인권법 : 사회적 이슈와 인권 제3판

인권법 : 사회적 이슈와 인권 제3판 (Loan 134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이준일 李準一, 1966-
Title Statement
인권법 : 사회적 이슈와 인권 / 이준일
판사항
제3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弘文社,   2010  
Physical Medium
xix, 587 p. ; 25 cm
ISBN
9788977702530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835camcc2200277 c 4500
001 000045604932
005 20100812095345
007 ta
008 100811s2010 ulk b 001c kor
020 ▼a 9788977702530 ▼g 93360
035 ▼a (KERIS)BIB000012110292
040 ▼a 211048 ▼c 211048 ▼d 211048 ▼d 211009
082 0 4 ▼a 342.519085 ▼2 22
085 ▼a 342.53085 ▼2 DDCK
090 ▼a 342.53085 ▼b 2010z2
100 1 ▼a 이준일 ▼g 李準一, ▼d 1966- ▼0 AUTH(211009)95000
245 1 0 ▼a 인권법 : ▼b 사회적 이슈와 인권 / ▼d 이준일
246 1 1 ▼a Human rights law : ▼b social issues and human rights
246 3 ▼a Human rights law : ▼b social issues & human rights
250 ▼a 제3판
260 ▼a 서울 : ▼b 弘文社, ▼c 2010
300 ▼a xix, 587 p. ; ▼c 25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900 1 0 ▼a Yi, Zoonil, ▼e
945 ▼a KLPA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Books/B1)/ Call Number 342.53085 2010z2 Accession No. 11158891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Books/B1)/ Call Number 342.53085 2010z2 Accession No. 11158891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Books/B1)/ Call Number 342.53085 2010z2 Accession No. 11163151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42.53085 2010z2 Accession No. 12119967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Books/B1)/ Call Number 342.53085 2010z2 Accession No. 11158891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Books/B1)/ Call Number 342.53085 2010z2 Accession No. 11158891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Books/B1)/ Call Number 342.53085 2010z2 Accession No. 11163151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42.53085 2010z2 Accession No. 12119967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이준일(지은이)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독일 킬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동대학교와 광운대학교를 거쳐 2003년 부터 지금까지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하 면서 헌법과 인권법을 연구하고 있다. 학교 밖에서는 헌법 재판소 헌법연구위원, 국회 입법지원위원, 국가인권위원회 전문위원 겸 조정위원으로 활동했다. 주요 저서로 『13가지 죽음』, 『감시와 법』, 『헌법학강의』, 『인권법』, 『차별금지법』, 『헌법과 사회복지법제』, 『섹슈얼리티와 법』, 『가족의 탄생』 등이 있고, 역서로 『법의 개념과 효력』, 『기본권이론』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론 사회적 이슈에 대한 인권적 접근과 해결을 위한 하나의 모델
 Ⅰ. 합리적 논증이 가능한 권리로서 인권 = 1
 Ⅱ. 인권의 본질로서 인간존엄 및 자유와 평등 = 2
  1. 자유 = 3
  2. 평등 = 4
 Ⅲ. 인권의 특성 = 6
  1. 보편성 = 7
  2. 도덕성 = 7
  3. 근본성 = 7
  4. 추상성 = 8
  5. 우월성 = 8
 Ⅳ. 인권과 기본권 = 8
  1. 인권의 헌법화 = 8
  2. 기본권을 통한 인권의 논의 = 9
 Ⅴ. 사회적 이슈에 대한 인권적 접근의 의미와 방법 = 9
  1. 국가공동체의 헌법화와 헌법국가 = 9
  2. 논증과 토론을 통한 기본적 인권의 균형과 조화 = 9
제1장 사형제도와 생명권
 Ⅰ. 사형제도에 찬성하는 논거와 반대하는 논거 = 12
  1. 찬성론(사형존치론) = 12
  2. 반대론(사형폐지론) = 13
 Ⅱ. 사형제도에서 문제가 되는 인권 = 16
  1. 생명권의 헌법적 근거 = 16
  2. 생명권의 제한가능성 = 17
 Ⅲ. 생명권에 대한 제한의 정당화 = 19
  1. 비례성원칙 = 19
  2. 본질내용침해금지원칙 = 23
 Ⅳ. 대체형벌에 관한 논의 = 25
 참고문헌 = 25
제2장 안락사와 존엄하게 죽을 권리
 Ⅰ. 안락사의 개념과 유형 = 30
  1. 개념 = 30
  2. 유형 = 31
 Ⅱ. 안락사에서 문제가 되는 인권 = 33
  1. 생명권 = 33
  2. 존엄하게 죽을 권리 = 34
 Ⅲ. 안락사에 찬성하는 논거와 반대하는 논거 = 35
  1. 찬성하는 논거 = 35
  2. 반대하는 논거 = 37
  3. 평가 = 40
 Ⅳ. 안락사와 자살의 문제 = 42
 참고문헌 = 43
제3장 장기이식과 건강하게 살 권리
 Ⅰ. 개관 = 48
  1. 개념 = 48
  2. 문제제기 = 48
 Ⅱ. 장기이식에서 문제가 되는 인권 = 50
  1. 신체를 훼손당하지 않을 권리와 신체에 관한 자기결정권 = 50
  2. 건강하게 살 권리 = 50
  3. 해결방안 = 51
 Ⅲ. 장기이식과 뇌사 = 55
  1. 뇌사의 개념과 판정절차 = 55
  2. 현행 장기이식법의 문제점 = 58
 참고문헌 = 61
제4장 간통죄와 성적 자기결정권
 Ⅰ. 간통죄에 찬성하는 논거와 반대하는 논거 = 64
  1. 간통죄의 개념과 입법례 = 64
  2. 간통죄에 찬성하는 논거 = 66
  3. 간통죄에 반대하는 논거 = 66
 Ⅱ. 간통죄에서 문제가 되는 인권 = 67
  1. 성적 자기결정권의 헌법적 근거 = 67
  2. 성적 자기결정권의 제한가능성 = 70
 Ⅲ. 성적 자기결정권에 대한 제한의 정당화 = 70
  1. 논증부담의 문제 = 70
  2. 간통죄의 일반예방효과 = 70
  3. 다양한 제도적 문제점 = 71
  4. 헌법재판소의 입장변화 = 73
  5. 간통죄에 관한 논쟁의 올바른 이해를 위하여 = 73
 참고문헌 = 74
제5장 로또와 도박할 권리
 Ⅰ. 개념 = 78
  1. 도박 = 78
  2. 복권 = 81
  3. 사행행위 = 82
 Ⅱ. 도박할 권리와 합법적 도박 = 85
  1. 합법적 도박으로서 복권 = 85
  2. 합법적 도박으로서 카지노 = 87
  3. 도박할 권리 = 89
 Ⅲ. 합법적 도박의 허용가능성 = 90
 참고문헌 = 92
제6장 대마흡연과 행복추구권
 Ⅰ. 대마흡연에 관한 찬반논거 = 94
  1. 대마흡연에 반대하는 논거 = 96
  2. 대마흡연에 찬성하는 논거 = 96
 Ⅱ. 대마흡연과 관련된 기본적 인권 = 97
  1. 대마흡연의 자유 = 97
  2. 평등권 = 98
 Ⅲ. 대마흡연에 관한 기본권의 제한가능성 = 98
  1. 자유권의 경우 = 98
  2. 평등권의 경우 = 98
 Ⅳ. 대마흡연에 관한 기본권에 대한 제한의 한계 = 99
  1. 대마의 해악과 적합성원칙 = 99
  2. 대마의 효용과 필요성원칙 = 100
  3. 좁은 의미의 비례성원칙 = 100
 Ⅴ. 금지된 행위의 정당성 = 101
 참고문헌 = 102
제7장 신상공개제도와 사생활의 비밀
 Ⅰ. 신상공개제도에 찬성하는 근거와 반대하는 근거 = 104
  1. 신상공개제도의 개념 = 104
  2. 신상공개제도에 찬성하는 논거 = 106
  3. 신상공개제도에 반대하는 논거 = 107
 Ⅱ. 신상공개제도에서 문제가 되는 인권 = 108
  1. 명예권과 사생활의 비밀에 관한 권리의 헌법적 근거 = 108
  2. 명예권과 사생활에 관한 권리의 제한가능성 = 109
 Ⅲ. 명예권 및 사생활의 비밀의 권리에 대한 제한의 정당성 = 109
  1. 공익이 기본권보다 우월한 경우 = 109
  2. 찬반논거에 대한 검토 = 110
  3. 신상등록ㆍ열람제도 = 114
  4. 전자발찌의 문제 = 117
 참고문헌 = 119
제8장 지문날인과 개인정보자기결정권
 Ⅰ. 문제제기 = 122
 Ⅱ. 문제가 되는 인권 = 124
  1. 개인의 비밀영역과 관련된 기본적 인권 = 125
  2. 개인정보에 관한 비밀영역과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 126
 Ⅲ. 범죄수사의 목적을 위한 지문정보의 이용 = 127
  1. 근거법률의 존재 여부 = 127
  2. 범죄수사를 위한 지문날인강제의 정당성 = 129
  3. 소결 = 130
 Ⅳ.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법제의 필요성 = 130
 참고문헌 = 131
제9장 양심적 병역거부와 양심의 자유
 Ⅰ. 양심적 병역거부에서 문제가 되는 인권 = 134
  1. 개관 = 134
  2. 양심의 자유의 헌법적 근거 = 136
 Ⅱ. 양심의 자유의 제한가능성 = 140
  1. 양심의 자유의 내용에 따른 구분 = 140
  2. 양심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는 실정헌법적 근거 = 140
 Ⅲ. 양심의 자유에 대한 제한의 정당화 = 141
  1. 병역거부의 금지 및 제재와 적합성원칙 = 141
  2. 병역거부자의 인권과 필요성원칙 = 142
  3. 병역거부에서 충돌하는 이익과 좁은 의미의 비례성원칙 = 143
  4. 결론과 대안 = 145
 참고문헌 = 148
제10장 국가보안법과 사상의 자유
 Ⅰ. 문제제기 = 152
 Ⅱ. 문제조항 = 153
  1. 개정 전의 찬양ㆍ고무 = 153
  2. 개정 후의 찬양ㆍ고무 = 155
  3. 잠입ㆍ탈출 = 157
  4. 회합ㆍ통신 = 158
  5. 목적수행 = 159
  6. 불고지죄 = 160
  7. 최근판례 = 161
 Ⅲ. 국가보안법의 법적 문제 = 162
  1. 영토조항과 통일조항의 관계 = 162
  2. 국가보안법과 남북교류협력법의 관계 = 164
  3. 법률명확성의 문제 = 166
 Ⅳ. 합리적 대안 = 166
 참고문헌 = 168
제11장 채플과 종교의 자유
 Ⅰ. 문제제기 = 172
 Ⅱ. 종교교육과 관련된 인권 = 173
  1. 종교의 자유 = 173
  2. 종교의 자유에 대한 제한가능성 = 175
  3. 종교의 자유에 대한 제한의 정당화 = 177
  4. 종교의 자유의 대사인적 효력 = 181
 참고문헌 = 183
제12장 생명복제와 학문의 자유
 Ⅰ. 생명복제와 관련된 인권 = 186
  1. 개념 = 186
  2. 관련된 인권 = 188
 Ⅱ. 논의의 전제조건 = 189
  1. 인권으로서 연구의 자유 = 189
  2. 생명에 관한 논의에서 형이상학의 배제 = 189
 Ⅲ. 합리적 대안 = 190
  1. 개체복제의 경우 = 190
  2. 배아복제의 경우 = 193
  3. 난자제공자의 인권에 대한 보호 = 196
  4. 현행법의 태도와 문제점 = 196
 참고문헌 = 199
제13장 포르노와 예술의 자유
 Ⅰ. 외설적 표현과 관련된 인권 = 204
  1. 예술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 = 205
  2. 표현의 자유의 의의 = 206
 Ⅱ. 예술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에 대한 제한 = 206
  1. 원칙 = 206
  2. 전제조건 = 210
 Ⅲ. 예술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에 대한 제한의 일반적 위험성 = 219
  1. 후견주의 = 219
  2. 상업주의를 빙자한 통제 = 221
 참고문헌 = 224
제14장 사전검열과 표현의 자유
 Ⅰ. 문제제기 = 228
 Ⅱ. 문제가 되는 기본권 = 229
  1. 표현의 자유 = 229
  2. 사전검열 = 231
 Ⅲ. 사전검열에 관한 헌법재판소 판례와 심의제도에 관한 입법 = 232
  1. 영화에 대한 사전심의 = 232
  2. 음반에 대한 사전심의 = 235
  3. 비디오에 대한 사전심의 = 236
  4. 게임물에 대한 사전심의 = 238
  5. 정기간행물에 대한 심의 = 240
  6. 방송에 대한 심의 = 242
  7. 공연에 대한 심의 = 243
  8. 청소년유해매체물에 대한 심의 = 245
 Ⅳ. 사이버시대와 표현의 자유 = 247
  1. 악성 리플(악플)과 인터넷실명제 = 247
  2. 공인의 정보와 사생활 = 248
 Ⅴ. 검열없는 사회를 위하여 = 248
  1. 검열하지 않는 문화의 형성 = 248
  2. 자유로운 소통을 통한 해악성 있는 표현의 제거 = 249
 참고문헌 = 250
제15장 촛불시위와 집회의 자유
 Ⅰ. 무엇이 문제인가? = 254
 Ⅱ. 문제가 되는 인권 = 255
  1. 집회의 자유 = 255
  2. 시위의 자유 = 259
 Ⅲ. 집회의 자유와 관련된 현안 = 260
  1. 중요시설근처집회의 금지 = 260
  2. 복면착용집회의 금지 = 263
  3. 우발적 집회와 긴급집회 = 264
  4. 1인 시위 = 265
  5. 불법시위에 대한 집단소송제 = 266
 Ⅳ. 평화로운 집회문화의 정착을 바라며 = 266
 참고문헌 = 267
제16장 스크린쿼터와 직업의 자유
 Ⅰ. 서론 = 270
  1. 개념 = 270
  2. 문제제기 = 270
 Ⅱ. 문제가 되는 인권과 그에 대한 제한 = 271
  1. 직업의 자유 = 272
  2. 평등권 = 277
 Ⅲ. 스크린쿼터제의 전망과 과제 = 278
 참고문헌 = 280
제17장 선거권연령과 정치적 자유
 Ⅰ. 문제제기 = 282
 Ⅱ. 정치적 기본권 = 285
  1. 개념 = 285
  2. 공적 자율성의 보장수단으로서 정치적 자유 = 286
 Ⅲ. 정치적 기본권과 관련된 문제들 = 287
  1. 연령에 따른 선거권 및 피선거권의 제한 = 287
  2. 기탁금제도에 의한 피선거권 제한 = 288
  3. 수형자의 선거권 제한 = 289
  4. 해외거주자에 대한 부재자투표 = 291
  5. 초ㆍ중등교원의 정치활동 금지 = 292
  6. 지방자치단체장의 선거전 사퇴강제 = 294
 Ⅳ. 정치적 기본권에 대한 관점의 전환 = 295
 참고문헌 = 295
제18장 재개발과 철거민의 인권
 Ⅰ. 개념 및 문제제기 = 298
 Ⅱ. 문제가 되는 인권 = 300
  1. 재산권 = 300
  2. 주거권 = 304
 Ⅲ. 누구를 위한 재개발인지를 성찰하는 재개발을 바라며 = 307
 참고문헌 = 308
제19장 양극화와 가난한 자의 권리
 Ⅰ. 문제제기 = 310
  1. 돈이 필요한 자유 = 310
  2. 한국사회의 양극화 = 310
 Ⅱ. 사실적 자유와 사회보장(사회복지) = 316
  1. 사실적 자유로서 사회적 기본권 = 316
  2. 국가의 사회보장의무 = 317
 Ⅲ. 최소한의 사회권으로서 최저생계비 = 318
  1. 최저생계비의 의의 = 318
  2.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권자 = 319
  3. 급여의 유형 = 321
 Ⅳ. 사회적 기본권으로서 근로의 권리 = 322
  1. 근로의 권리의 개념 = 322
  2. 최저임금법의 주요내용 = 323
 Ⅴ. 사회적 기본권과 사회보험제도 = 324
  1. 국민연금 = 325
  2. 건강보험 = 328
  3. 고용보험 = 329
  4. 산재보험 = 332
 Ⅵ. 사회권과 사회보장을 통한 양극화해결의 한계와 대안 = 334
 참고문헌 = 335
제20장 체벌과 아동의 인권
 Ⅰ. 문제제기 = 338
 Ⅱ. 체벌에서 문제되는 인권 = 340
  1. 인권의 주체로서 아동 = 341
  2. 논증부담과 관련된 권리 = 341
  3. 가혹한 인권침해의 금지 = 342
 Ⅲ. 체벌에 대한 찬반논거 = 342
  1. 체벌에 찬성하는 논거 = 342
  2. 체벌에 반대하는 논거 = 343
  3. 체벌이 정당화되는 법적 근거 = 345
  4. 비판과 대안 = 347
 Ⅳ. 아동의 권리와 관련된 그 밖의 문제들 = 348
  1. 아동학대 = 348
  2. 청소년대상유해행위 = 351
  3. 학생의 권리 = 354
 참고문헌 = 355
제21장 낙태와 여성의 인권
 Ⅰ. 개념과 문제제기 = 358
 Ⅱ. 낙태에서 문제가 되는 인권 = 360
  1. 태아의 생명권 = 360
  2. 산모의 출산권 = 361
  3. 해결방안 = 362
 Ⅲ. 낙태의 정당화 = 363
  1. 기간규정방식과 정당화사유규정방식 = 363
  2. 모자보건법에서 낙태가 허용되는 경우 = 364
  3. 산모의 출산권을 고려한 대안 = 367
 보론: 폭력에 대한 여성의 권리 = 367
  1. 가정폭력과 아내의 권리 = 367
  2. 부부강간죄의 성립과 아내의 성적 자기결정권 = 371
 참고문헌 = 372
제22장 감옥과 재소자의 인권
 Ⅰ. 재소자의 기본권에 대한 제한의 필요성과 한계 = 376
 Ⅱ. 미결수용자의 권리 = 380
  1. 수의착용금지 = 380
  2.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 = 381
  3. 서신검열 = 382
  4. 수용자로서의 권리 = 384
 Ⅲ. 기결수용자(수형자)의 권리 = 384
  1.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 = 384
  2. 보호장비사용의 제한 = 385
  3. 접견권 = 387
  4. 서신교환에 관한 권리 = 389
  5. 전화통화에 관한 권리 = 391
  6. 목욕ㆍ운동할 수 있는 권리 = 392
  7. 집필할 수 있는 권리 = 392
  8. 신문ㆍ도서를 구독할 수 있는 권리 = 394
  9. 건강보험 = 396
  10. 징벌 = 396
 Ⅳ. 행형과 형벌의 목적을 고려한 재소자의 대우 = 398
 참고문헌 = 402
제23장 성(性)의 상품화와 성매매여성의 인권
 Ⅰ. 개념과 문제제기 = 406
 Ⅱ. 강제적 성매매와 피해여성의 권리 = 409
  1. 강제적 성매매의 절대적 금지 = 409
  2. 성매매 피해여성의 권리 = 409
 Ⅲ. 자발적 성매매와 성매매여성의 권리 = 410
  1. 자발적 성매매의 허용가능성 = 410
  2. 자발적 성매매여성의 권리 = 413
 Ⅳ. 성매매에 관한 이성적 논의의 필요성 = 414
 참고문헌 = 415
제24장 성(性)의 개방화와 미혼모의 인권
 Ⅰ. 개관 = 418
  1. 개념 = 418
  2. 문제제기 = 420
 Ⅱ. 미혼모의 인권 = 422
  1. 혼전 성관계와 성적 자기결정권 = 422
  2. 혼전 임신과 임신ㆍ출산에 관한 자기결정권 = 423
  3. 배우자 없는 출산과 자녀양육권 = 424
  4. 청소년 미혼모의 특수성 = 426
 Ⅲ. 임신과 출산에 관한 새로운 평가와 미혼모 = 427
 참고문헌 = 429
제25장 한반도의 분단과 탈북자의 인권
 Ⅰ. 문제제기 = 432
 Ⅱ. 탈북자에 대한 법적 규율 = 434
 Ⅲ. 구체적 문제들 = 434
  1. 탈북자의 국적 = 435
  2. 탈북자의 난민으로서의 지위 = 438
  3. 탈북자의 이혼과 재혼 = 439
  4. 탈북아동의 문제 = 440
  5. 탈북여성의 문제 = 441
  6. 탈북자의 사회적응 = 441
 참고문헌 = 442
제26장 세계화와 외국인노동자의 인권
 Ⅰ. 개념과 문제제기 = 446
  1. 국민과 외국인 = 446
  2. 문제제기 = 446
 Ⅱ. 한국내 외국인노동자의 현실 = 456
  1. 전체숫자 = 456
  2. 출신국가 = 457
  3. 진출업종 = 458
  4. 임금수준 = 458
  5. 권리보장수준 = 458
 Ⅲ. 외국인노동자에게 보장되어야 할 권리 = 459
  1. 임금 = 460
  2. 사회보장 = 461
  3. 폭행금지 = 462
  4. 노동3권 = 463
 Ⅳ. 다문화사회를 위한 전제조건 = 464
 참고문헌 = 465
제27장 다문화시대와 혼혈인의 인권
 Ⅰ. 끝나지 않은 혼혈인의 문제 = 468
 Ⅱ. 혼혈인에 대한 인권침해의 현실 = 471
  1. 전생애적 인권침해 = 471
  2. 인종차별 = 472
  3. 병역면제의 차별적 성격 = 473
  4. 혼혈인의 어머니로서 결혼이주여성의 문제 = 476
 Ⅲ.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가정 = 476
 참고문헌 = 477
제28장 국경을 넘은 결혼의 증가와 결혼이주여성의 인권
 Ⅰ. '국경 없는 결혼'의 증가 = 480
 Ⅱ. 결혼할 권리 = 481
  1. 내용 = 481
  2. 제한 = 482
  3. 결혼의 성매매적 성격 = 484
 Ⅲ. 결혼이주여성의 인권 = 485
  1. 결혼성사 단계에서 배우자선택권 = 485
  2. 결혼생활 단계에서 배우자로서 존중받을 권리 = 487
  3. 자녀양육 단계에서 사회적 기본권 = 487
  4. 결혼이주여성의 국적취득에 관한 권리 = 488
  5. 결혼이주여성의 이혼과 귀화 = 489
 Ⅳ.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인정과 존중 = 490
 참고문헌 = 491
제29장 끝나지 않은 박해와 난민의 인권
 Ⅰ. 개관 = 494
  1. 현황과 문제제기 = 494
  2. 난민의 개념 = 497
  3. 난민인정의 절차 = 499
 Ⅱ. 난민의 인권 = 301
  1. 비호권 = 501
  2. 추방당하지 않을 권리 = 502
  3. 불법입국ㆍ체류에 대한 형벌을 면제받을 권리 = 503
  4. 자유권 = 503
  5. 사회권 = 504
  6. 평등권 = 504
  7. 한국에서 난민에 대한 처우 = 505
 Ⅲ. 돌아갈 조국이 없는 자들에 대한 따뜻한 시선 = 506
 참고문헌 = 507
제30장 실업의 시대와 비정규직 노동자의 인권
 Ⅰ. 개념과 유형 = 510
  1. 근로자 = 510
  2. 정규직 근로자와 비정규직 근로자 = 510
  3. 비정규직 근로자의 유형 = 511
  4. 비정규직 근로자의 규모 = 512
 Ⅱ. 비정규직 근로자의 현실 = 513
  1. 임금 = 514
  2. 근로복지 = 514
  3. 사회보험 = 515
  4. 노동3권 = 516
 Ⅲ. 비정규직 근로자의 권리 = 517
  1. 기간제한과 정규직전환 = 517
  2. 초과근로제한 = 519
  3. 차별의 금지 = 520
  4. 근로조건명시의무 = 522
  5. 남은 권리들 = 524
 참고문헌 = 525
제31장 사이버세상에서 네티즌의 인권 - 인터넷실명제ㆍ허위사실유포죄ㆍ사이버모욕죄를 중심으로
 Ⅰ. 인터넷실명제 = 528
  1. 개념 = 528
  2. 문제가 되는 인권 = 530
  3. 비판과 대안 = 532
 Ⅱ. 허위사실유포죄 = 534
  1. 개념 = 534
  2. 문제가 되는 인권 = 537
  3. 비판과 대안 = 538
 Ⅲ. 사이버모욕죄 = 540
  1. 개념 = 540
  2. 문제가 되는 인권 = 543
  3. 비판과 대안 = 543
 참고문헌 = 544
제32장 섹슈얼리티와 성적 소수자의 인권
 Ⅰ. 성별과 결혼의 문제 = 548
 Ⅱ. 트렌스젠더의 인권 = 548
  1. 이름과 성별을 변경할 권리 = 549
  2. 혼인할 권리 = 552
  3. 차별받지 않을 권리 = 552
  4. 사생활의 비밀에 관한 권리 = 553
  5. 성전환치료에 관한 권리 = 553
  6. 트랜스젠더에 대한 강간죄의 문제 = 554
 Ⅲ. 동성애자의 인권 = 555
  1. 혼인할 권리(right to marry) = 555
  2. 차별받지 않을 권리 = 556
  3. 동성애의 비범죄화 = 557
 Ⅳ. 성적 소수자에 대한 인정과 존중 = 558
 참고문헌 = 559
제33장 소수자의 차별과 평등권
 Ⅰ. 소수자의 개념 = 562
  1. 양적 소수자와 질적 소수자 = 562
  2. 상대적 소수자와 절대적 소수자 = 562
  3. 발굴된 소수자와 발굴되지 않은 소수자 = 563
 Ⅱ. 차별의 개념과 유형 = 563
  1. 차별의 개념 = 563
  2. 차별의 유형 = 564
 Ⅲ. 소수자의 평등권 = 567
  1. 차별의 이유를 제시하도록 요구할 수 있는 권리 = 567
  2. 차별의 합리적 근거를 요구할 수 있는 권리 = 568
  3. 가혹한 차별을 받지 않을 권리 = 568
  4. 사실적 차별의 시정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 = 568
 참고문헌 = 569
결론: 인권의 조화롭고 균형있는 실현을 위하여
 Ⅰ. 생명에 대하여 = 572
 Ⅱ. 형벌에 대하여 = 572
 Ⅲ. 법제도의 악용에 대하여 = 573
 Ⅳ. 통계에 대하여 = 574
 Ⅴ. 성에 대하여 = 575
 Ⅵ. 도덕에 대하여 = 575
 Ⅶ. 매매에 대하여 = 576
 Ⅷ. 소수자(사회적 약자)에 대하여 = 577
 Ⅸ. 권리나 이익의 조화와 균형에 대하여 = 577
사항색인 = 57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김하열 (2023)
이철호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