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지방자치의 이해

지방자치의 이해 (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정일섭 鄭一燮
서명 / 저자사항
지방자치의 이해 / 정일섭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대영문화사,   2010.  
형태사항
267 p. : 삽화, 도표 ; 23 cm.
ISBN
9788976443373
서지주기
참고문헌(p. 260-262) 과 색인(p.263-267) 수록
비통제주제어
지방자치 , 한국지방행정 , 한국지방정책 , 한국지방자치 ,,
000 00681camcc2200217 c 4500
001 000045604541
005 20100809144532
007 ta
008 100421s2010 ulkad b 001c kor
020 ▼a 9788976443373 ▼g 93350 : ▼c \13,000
035 ▼a (KERIS)BIB000012021645
040 ▼a 211023 ▼c 211023 ▼d 244002
082 0 4 ▼a 352.14 ▼2 22
090 ▼a 352.14 ▼b 2010z3
100 1 ▼a 정일섭 ▼g 鄭一燮
245 1 0 ▼a 지방자치의 이해 / ▼d 정일섭 지음.
260 ▼a 서울 : ▼b 대영문화사, ▼c 2010.
300 ▼a 267 p. : ▼b 삽화, 도표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260-262) 과 색인(p.263-267) 수록
653 ▼a 지방자치 ▼a 한국지방행정 ▼a 한국지방정책 ▼a 한국지방자치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2.14 2010z3 등록번호 15128946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정일섭(지은이)

■ 약력 ·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졸업 · 행정학박사 · 인천광역시 인사위원회 위원(1999-2003, 2012-2015) · 인천광역시 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2005-2007) · 인천광역시 영흥화전 민관공동조사단위원(1999-2018현재) 및 단장(2005-2011) · 요꼬하마시립대학 객원교수(2003) · 지방자치발전위원회 자문위원(2013~2015) · 인천광역시 주민투표 청구 심의회 위원(2004~2017) · 행정자치부 지방행정혁신평가위원(2005, 2006) · 인천참여자치연대 공동대표(2004~2006) · 인천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2011~2015) · 인하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2015~2017) · 현재 인하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지방자치론, 인사행정론) ■ 저서 · 『인천지역의 이해』(1999), 인하대학교 출판부 · 『지방의회의 이해』(2008), 박영사(공저) · 『지방자치의 이해』(2010), 대영문화사 · 『지방자치사례연구』(2012), 대영문화사 · 『한국지방자치론』(2015), 대영문화사 · 『한국인사행정론』(2018), 윤성사 ■ 주요 논문 · “지방자치와 시민운동”,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999.09. 제11권 제3호. · “지방자치단체의 환경협정”, 『한국행정학보』, 2001.11. 제34권 제3호. · “주민자치센터에 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001.12. 제13권 제4호. · “인사청문회제도에 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003.09. 제15권 제3호. · “주민투표제도에 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006.12. 제18권 제4호. · “주민소환제도에 대한 평가”,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009.03. 제21권 제1호. · “지방자치와 관련된 용어에 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009.09. 제4권 제2호. · “지방의회 사무직원의 인사권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연구』, 2011.12. 제11권 제3호. ·“주민투표에 곤한 사례연구”, 『정책개발연구』, 2015.12. 제15권 제2호.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3
제1장 지방자치의 의의 = 15
 제1절 지방자치의 의의 = 15
 제2절 지방자치의 필요성 = 17
 제3절 지방자치의 3요소 = 18
제2장 한국 지방자치의 역사 = 20
 제1절 초창기(1948∼1961) = 21
 제2절 정지기(1961∼1991) = 25
 제3절 부활기(1991∼ ) = 27
제3장 자치권 = 34
 제1절 자치권의 의의 = 35
 제2절 자치권의 근거 = 35
 제3절 자치권의 특성 = 38
 제4절 자치권의 내용 = 39
제4장 지방자치와 주민 = 43
 제1절 주민과 국민 = 44
 제2절 지방자치와 간접민주제 = 45
 제3절 지방자치와 직접민주제 = 46
제5장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 형태 = 59
 제1절 지방자치단체의 의의 = 60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종류 = 60
 제3절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 형태 = 61
제6장 지방자치단체의 기관 = 73
 제1절 의결기관 = 74
 제2절 집행기관 = 81
 제3절 지방의회와 집행기관의 관계 = 88
제7장 계층과 구역 = 92
 제1절 계층 = 92
 제2절 구역 = 102
제8장 지방자치단체의 사무배분 = 115
 제1절 의의 = 116
 제2절 사무배분의 결정 요인 = 117
 제3절 사무배분의 원칙 = 118
 제4절 우리나라의 사무배분 원칙 = 120
 제5절 사무배분의 방식 = 123
 제6절 우리나라의 사무배분 방식 = 124
 제7절 사무배분의 제약과 사무의 유형 = 130
 제8절 사무배분의 문제점 = 133
제9장 지방자치단체 상호간의 관계 = 137
 제1절 지방자치단체 간의 협력 = 138
 제2절 지방자치단체 간의 분쟁 = 148
제10장 지방자치단체와 중앙정부 = 160
 제1절 정부간 관계의 유형 = 162
 제2절 중앙통제 = 164
제11장 지방재정 = 176
 제1절 지방재정의 의의 = 178
 제2절 지방재정과 국가관여 = 183
 제3절 국가재정과 지방재정 = 185
 제4절 지방재정력 = 189
 제5절 지방재정조정제도 = 200
 제6절 지방재정력의 강화 = 203
제12장 지방자치단체의 수입 = 205
 제1절 지방재원의 의의 = 206
 제2절 지방재원의 종류 = 207
 제3절 자체수입 = 207
 제4절 의존재원 = 221
제13장 지방자치와 정당 = 237
 제1절 서론 = 238
 제2절 지방자치와 정당정치 = 239
 제3절 지방자치와 정당 참여 = 242
 제4절 지방자치와 중앙정치의 관계 유형 = 245
 제5절 한국의 지방자치와 정당정치의 방향 = 246
제14장 지방자치의 발전 과제 = 248
 제1절 서론 = 249
 제2절 지방자치의 환경 변화 = 250
 제3절 지방자치의 발전 방향 = 254
 제4절 결론 = 259
참고 문헌 = 260
찾아보기 = 263

관련분야 신착자료

정창수 (2022)
김대현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