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펠릭스 멘델스존 : 전통과 진보의 경계

펠릭스 멘델스존 : 전통과 진보의 경계 (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민은기, 저 심은섭, 저 오지희, 저 이미배, 저 이보경, 저 이서현, 저 이재용, 저 홍청의, 저
서명 / 저자사항
펠릭스 멘델스존 : 전통과 진보의 경계 / 민은기 [외]지음
발행사항
파주 :   音樂世界,   2009  
형태사항
333 p. : 삽화, 연표 ; 23 cm
ISBN
9788981058593
일반주기
저자: 심은섭, 오지희, 이미배, 이보경, 이서현, 이재용, 홍청의  
부록: 호수 위에서(Auf dem See). 첫 번째 발푸르기스의 밤(Die Erste Walpurgisnacht). 줄라이카와 하템(Suleika und Hatem) 등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주제명(개인명)
Mendelssohn-Bartholdy, Felix,   1809-1847  
000 01107camcc2200349 c 4500
001 000045604448
005 20100805171821
007 ta
008 100805s2009 ggkaj b 000c dkor
020 ▼a 9788981058593 ▼g 93670
035 ▼a (KERIS)BIB000011758672
040 ▼a 211006 ▼c 211006 ▼d 211009
082 0 4 ▼a 780.92 ▼2 22
085 ▼a 780.92 ▼2 DDCK
090 ▼a 780.92 ▼b 2009z3
245 0 0 ▼a 펠릭스 멘델스존 : ▼b 전통과 진보의 경계 / ▼d 민은기 [외]지음
260 ▼a 파주 : ▼b 音樂世界, ▼c 2009
300 ▼a 333 p. : ▼b 삽화, 연표 ; ▼c 23 cm
500 ▼a 저자: 심은섭, 오지희, 이미배, 이보경, 이서현, 이재용, 홍청의
500 ▼a 부록: 호수 위에서(Auf dem See). 첫 번째 발푸르기스의 밤(Die Erste Walpurgisnacht). 줄라이카와 하템(Suleika und Hatem) 등
504 ▼a 참고문헌 수록
600 1 0 ▼a Mendelssohn-Bartholdy, Felix, ▼d 1809-1847
700 1 ▼a 민은기, ▼e▼0 AUTH(211009)108154
700 1 ▼a 심은섭, ▼e▼0 AUTH(211009)70302
700 1 ▼a 오지희, ▼e▼0 AUTH(211009)89782
700 1 ▼a 이미배, ▼e▼0 AUTH(211009)67109
700 1 ▼a 이보경, ▼e▼0 AUTH(211009)53653
700 1 ▼a 이서현, ▼e▼0 AUTH(211009)142447
700 1 ▼a 이재용, ▼e▼0 AUTH(211009)132918
700 1 ▼a 홍청의, ▼e▼0 AUTH(211009)127512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0.92 2009z3 등록번호 11158846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0.92 2009z3 등록번호 11158846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민은기(지은이)

서울대학교 작곡과 교수 서울대학교 작곡과에서 음악 이론을 전공하고 파리 소르본 대학에서 프랑스 음악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1995년부터 지금까지 서울대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이론 연구와 후학 양성에 집중해왔다. 프랑스혁명, 바로크 오페라 등의 주제로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저술과 번역에도 힘써 한국에서 클래식음악과 관련된 책을 가장 많이 낸 음악학자 중 한 사람으로 꼽힌다. 중앙일보와 경향신문 등 여러 매체에 음악과 관련된 글을 정기적으로 연재하고 있기도 하다. 피아니스트였던 어머니에게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한 다섯 살부터 내내 숨 쉬듯 곁에 음악을 두고 살아왔다. 음악을 사랑하는 한 사람이자 한국의 1세대 음악학자로서, 음악의 아름다움을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는 데 힘을 보태고 싶어 『난생 처음 한번 들어보는 클래식 수업』의 작업에 매진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난생 처음 한번 들어보는 클래식 수업』 1~7, 『음악과 페미니즘』, 『대중음악 강의』, 『Classics A to Z: 서양음악의 이해』, 『서양음악사: 피타고라스부터 재즈까지』, 『독재자의 노래: 그들은 어떻게 대중의 눈과 귀를 막았는가』, 『서양음악사』 1~2, 『대중음악의 이해』 외에 다수가 있다. * 외부 활동 ● 경향신문 ‘문화비평’ 연재 (2012~2013년) ● 중앙일보 ‘삶의 향기’ 연재 (2017~2018년) ● ㈔음악사연구회와 네이버 악기백과, 다음 클래식백과 책임집필 ● JTBC ‘차이나는 클라스’ 출연 (2019년 11월 20일) ●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 음악 레슨’ 시리즈 기획 (2020년)

오지희(지은이)

서울예고에서 피아노를 수학한 후 서울대학교 작곡과에서 음악이론을 전공했다.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원에서 음악미학과 음악사로 석,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백석문화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클래식 음악 전문해설가와 음악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그라우트의 서양음악사』(제7판) 공동번역과 저서 『음악에 글을 새기다』, 『이 한 권의 베토벤』 등 다양한 매체에 글을 쓰며 클래식 음악의 가치를 알리는 데 힘쓰고 있다.

이미배(지은이)

서울대 작곡과를 졸업하고 대학원 석사 과정에서 음악학을 공부했다. 라디오 클래식 채널의 작가로 일했으며, 현재 뉴욕에서 박사 과정을 밟고 있다.

심은섭(지은이)

심은섭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이론전공 , 동대학원에서 음악학 석사과정을 졸업하였다. 서울대학교 서양음악학 박사과정을 수료하였으며, 서울대 서양음악연구소 연구원을 역임하였다. 현재 강릉대, 순천대에서 후학을 지도하고 있다. 저서로는 <바로크 음악의 역사적 해석>(공저), <모차르트와 음악적 상상력>(공저)이 있다.

이보경(지은이)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음악학 석사 성루대학교 서양음악학 박사과정 수료 서울대학교 작곡과 이론전공 조교 역임 현재 경상대, 침신대 출강

이서현(지은이)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동양사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음악학 석사 서울대학교 서양음악학 박사과정 수료 현재 서경대 충남대 출강

이재용(지은이)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이론전공 졸업 미국 터프츠 대학 음악학 석사 영국 옥스퍼드 대학 박사과정 수학 미국 콜롬비아 대학 음악학 박사과정 현재 숙명여대, 경원대, 경희대 출강

홍청의(지은이)

음악이론 강의와 연구, 연주활동을 동시에 함으로써 대한민국에서 흔치 않는 융복합형 음악가로 평가받는 홍청의는 예원학교와 서울예술고등학교에서 피아노를,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에서 작곡이론을 전공하였다. 대학 시절부터 화성법, 대위법, 시창청음, 건반화성 등과 같은 기초음악이론에 큰 관심을 가졌으며, 대학 졸업 후 도불하여 파리 국립 고등음악원(CNSMDP)에서 작곡이론을, 에꼴 노르말 음악원에서 피아노 반주를 전공하였다. 2006년 귀국하여 서울대학교를 시작으로 여러 대학에서 화성법, 대위법, 음악분석, 건반화성, 시창청음 등의 이론 과목들과 반주법에 관련된 과목들을 강의하고 있다. 교육자, 음악이론가로서뿐만 아니라 연주자로도 활발히 활동 중이며 예술의 전당, 세종체임버홀, 금호아트홀 등 다수의 홀에서 연주하였다. 2018년 2월에는 한양대학교 음악대학에서 “릴리 불랑제의 연가곡 '하늘의 빈터'에서 나타나는 인상주의 화성어법 연구”라는 제목으로 반주전공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국민대학교, 명지대학교, 서울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중앙대학교, 한세대학교에 출강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문 / 민은기 = 4
독일 유대인 펠릭스 멘델스존의 정체성 논의 / 오지희 = 9
음악교육자로서의 멘델스존의 업적 / 이보경 = 43
펠릭스 멘델스존의 지휘활동과 그 역사적 의의 / 이재용 = 75
파니 멘델스존의 생애: 계급적 실존과 젠더 이데올로기 / 민은기 = 115
19세기 교회음악의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멘델스존의 종교적 합창음악 / 이서현 = 151
괴테의 문학에 기초한 멘델스존의 성악음악 연구 / 심은섭 = 193
멘델스존 화성의 진보성 - 현악8중주 op.20을 중심으로 / 홍청의 = 237
"19세기의 모차르트, 멘델스존": 슈만의 멘델스존 작품 비평을 중심으로 / 이미배 = 267
멘델스존 가계도 = 307
멘델스존 연표 = 309
멘델스존 작품 목록 = 31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