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46c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45603613 | |
005 | 20100805073949 | |
007 | ta | |
008 | 100728s2010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63303628 | |
035 | ▼a (KERIS)BIB000012064768 | |
040 | ▼a 211032 ▼d 211009 | |
082 | 0 4 | ▼a 370.154 ▼2 22 |
090 | ▼a 370.154 ▼b 2010 | |
100 | 1 | ▼a 김아영 , ▼d 1950- ▼0 AUTH(211009)22764 |
245 | 1 0 | ▼a 학업동기 : ▼b 이론, 연구와 적용 = ▼x Academic motivation :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 ▼d 김아영 저. |
260 | ▼a 서울 : ▼b 학지사 , ▼c 2010. | |
300 | ▼a 454 p. : ▼b 삽도 ; ▼c 25 cm. | |
504 | ▼a 참고문헌(p. 397-446) 및 색인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154 2010 | 등록번호 111587919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2-06-16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154 2010 | 등록번호 11158792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김아영(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 학사 미국 University of Iowa 교육측정 및 통계 MA 교육심리 Ph.D. 미국 University of Iowa, 객원 조교수 이화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심리학과, 조교수/교수 이화여자대학교 발달장애아동센터 소장 한국교육심리학회 회장 학습컨설팅 전문가 저서 및 역서: 학업동기: 이론, 연구와 적용. 서울: 학지사. 2010 교육심리학(공역). 서울: 박학사. 2013. (Woolfolk, 2013) 혼자 쓰는 연구 논문: 연구방법론(공저). 서울: 학지사. 2016 동기와 정서의 이해(공역). 서울: 박학사. 2018. (Reeve, 2015) 외 15편 연구논문: 학업동기 관련 주제 연구 100여 편 심리 검사 및 척도개발 관련 연구 40여 편

목차
목차 머리말 = 3 chapter 1 동기이론 개관 제1절 동기의 속성 = 20 1. 개념 및 용어 정의 = 20 2. 동기를 정의할 때의 접근 틀 = 21 3. 인간동기의 구성요소 = 24 4. 관련 개념 = 27 제2절 동기연구 방법 = 32 1. 동기변인 = 32 2. 동기연구에 대한 접근방법 = 33 3. 과학적 이론의 특징 = 37 4. 동기의 측정 = 39 chapter 2 동기이론에 대한 역사적 고찰 제1절 초기 접근 = 44 제2절 현대 동기이론의 배경 = 47 1. Freud 추동이론 = 47 2. Hull의 추동감소이론 = 48 3. 최적 각성이론 = 49 4. 조건화이론 = 50 5. 인본주의 접근 = 52 6. 인지주의이론 = 55 제3절 학업동기이론 = 58 chapter 3 성취동기이론 제1절 이론발달 배경 = 62 제2절 Atkinson의 기대-가치이론 = 65 1. 성취동기와 관련된 개념과 모형 = 65 2. Atkinson 이론의 문제점 = 72 3. 재개념화와 정교화 시도 = 73 4. 성취동기의 측정 = 78 5. 성공공포 = 78 제3절 Atkinson 이론에 대한 대안적 접근 = 82 1. 다차원 구조로서의 성취동기 = 82 2. 성취상황에서 개인적 지향성의 차이 = 83 제4절 성취동기이론의 현 상태 = 84 제5절 교육현장에 대한 적용과 시사점 = 87 제6절 한국교육현장의 성취동기 연구 = 88 chapter 4 귀인이론 제1절 이론발달 배경 = 92 제2절 인과귀인 = 95 1. Heider의 행동에 대한 '소박한 분석' = 95 2. Weiner의 귀인 차원 = 97 3. 인과귀인의 효과 = 101 4. 새로운 귀인 유형의 첨가 = 103 5. 동기에 대한 귀인이론 = 104 6. 타 동기이론에의 적용 = 106 제3절 귀인이론 연구에서의 방법론 및 측정 = 107 1. 귀인 관련 연구방법 = 107 2. 실험연구 = 108 3. 상관연구 = 109 4. 초기 연구방법의 문제점 = 110 5. 귀인 측정 = 111 제4절 교육상황에서의 귀인연구 = 114 1. 교육장면에서 귀인성향 발달 경향 = 114 2. 학업성취와의 관계 = 116 제5절 교육현장에의 시사점 = 118 1. 전반적 적용 = 118 2. 귀인 변경 = 120 제6절 귀인이론의 현 상태 = 122 제7절 한국 교육현장의 귀인연구 = 123 1. 전반적인 연구경향과 결과 = 123 2. 측정도구 = 127 chapter 5 학습된 무기력이론 제1절 학습된 무기력 현상 = 131 1. 동물연구 = 132 2. 인간연구 = 136 3. 학습된 무기력과 우울증 = 140 제2절 재구성과 수정 모형 = 141 1. 심리적 반동이론과의 통합 = 142 2. 인지적 접근 = 143 3. 학습원 무기력이론에 대한 대안적 설명 = 148 4. 건설적 실패이론 = 150 제3절 학습된 무기력의 예방과 증상 완화 = 152 제4절 교육현장에 대한 시사점과 적용 = 154 제5절 한국교육현장의 학습된 무기력 연구 = 156 제5절 결론 = 159 chapter 6 내재동기이론 제1절 내재동기의 정의 = 165 1. 개념적 정의 = 165 2. 조작적 정의 = 166 3. 내재동기와 흥미 = 168 4. 내재동기이론 = 169 제2절 효율동기이론과 숙달동기이론 = 170 제3절 개인적 인과성이론 = 173 1. '주인' 의식과 노예' 의식 = 173 2. 경험적 연구 증거 = 174 제4절 인지평가이론 = 175 1. 이론의 기본 방향 = 176 2. 보상의 기능 = 177 제5절 내재동기에 대한 귀인이론적 접근 = 179 1. 과정당화이론 = 180 2. 내인성 귀인이론 = 181 3. 다른 외적 제약의 효과 = 183 4. 귀인이론적 접근에서의 결론 = 184 제6절 보상이 내재동기에 미치는 영향 = 185 제7절 출현동기이론과 플로우 경험 = 191 1. 출현동기의 속성 = 192 2. 플로우의 속성 = 193 3. 풀로우 경험의 특징 = 195 4. 마이크로 플로우 경험 = 197 5. 플로우 활동이 제공하는 보상과 효과 = 198 6. 플로우 상태의 측정 = 199 7. 플로우 모델의 교육현장 적용 연구 = 201 제8절 내재동기의 발달 = 203 제9절 교육현장에 대한 시사점 = 206 제10절 내재동기이론에 대한 평가 및 현 상태 = 209 1. 평가 = 209 2. 이론의 현 상태 = 210 제11절 한국의 내재동기 연구 = 212 1. 내재동기이론 전반 = 212 2. 한국의 플로우 모형 연구 = 213 3. 이론발전 전망 = 215 chapter 7 자기결정성이론 제1절 자기결정성이론의 기본 가정 및 구성요소 = 219 1. 기본 가정 = 219 2. 미니 이론 = 221 제2절 인지평가이론 = 222 제3절 유기적 통합이론 = 224 1. 조절의 내재화 = 224 2. 동기유형 = 225 3. 동기유형들 간의 관계 = 230 4. 동기 합성체와 자율성 지수 = 232 5. 동기유형들과 학업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 233 제4절 인과지향성이론 = 234 1. 일반적 인과지향성과 측정 = 235 2. 인과지향성의 관련 변인 = 236 3. 학업상찰 적용 연구의 활성화 방안 = 237 제5절 기본심리욕구이론 = 237 1. 유능성 욕구 = 238 2. 자율성 욕구 = 239 3. 관계성 욕구 = 241 4. 기본심리욕구화 심리적 안정과의 관계 = 243 5. 자율성지지의 영향 = 247 6. 조건부 관심 = 251 제6절 외재동기의 내재화와 자기결정동기의 발달 경향 = 253 제7절 교육현장에의 적용 및 시사점 = 255 1. 유능성 욕구 충족 = 256 2. 자율성 욕구 충족 = 257 3. 관계성 욕구 충족 = 257 제8절 이론의 현 상태 = 259 제9절 한국의 자기결정성이론 연구 = 260 1. 이론 도입 및 연구 도구 = 260 2. 연구 분야 및 경험적 연구주제 = 261 3. 한국 학생들의 동기특성 = 264 4. 학업성취와 심리적 안녕의 관련 변인 = 266 5. 자율성지지 연구 = 268 chapter 8 자기효능감이론 제1절 이론발달 배경 = 273 1. 자기도식이론 = 273 2. 사회인지적 기초 = 274 3. 이론적 틀 = 274 제2절 자기효능감의 본질 = 276 1. 정의 = 276 2. 특성과 관련 개념 = 277 3. 자기효능감의 발현과정 = 280 4. 자기효능감의 정보원과 발달 = 282 5. 자기효능감 개념에 대한 위계적 접근 = 285 제3절 자기효능감의 측정 = 287 제4절 학업적 자기효능감 = 291 1. 본질 및 기능 = 291 2. 맥락-특수 학업적 자기효능감 = 293 3. 발달적 특징 = 295 4. 성별차이 = 296 제5절 교사효능감 = 298 1. 본질 및 기능 = 298 2. 교사효능감의 정보원 = 302 3. 교사효능감의 측정 = 302 4. 교사들의 집단효능감 = 303 제6절 자기효능감의 증진 = 307 1. 학생의 자기효능감 증진 방안 = 307 2. 증진 훈련 연구결과 = 309 3. 교사효능감 증진 = 311 제7절 자기효능감이론의 발전방향과 전망 = 313 1. 자기조절학습이론과의 통합 = 313 2. 목표설정이론과의 통합 = 315 3. 이론의 현 상태 = 315 제8절 한국교육현장의 자기효능감 연구 = 316 1.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학문적 수행 = 318 2. 증진 프로그램 = 319 3. 교사효능감 연구 = 321 chapter 9 목표설정이론 제1절 이론발달 배경 = 327 제2절 목표와 목표설정 개념 및 기제 = 328 제3절 목표설정 연구결과 = 330 1. 목표의 내용 차원 = 331 2. 목표에 대한 전념 = 334 3. 목표설정 시의 참여 = 336 4. 목표설정과 기대가치 = 338 5. 수행결과에 대한 피드백 = 340 6. 관련 개인차변인 = 341 7. 요약 = 343 제4절 목표설정이론의 현 상태 = 343 1. '높은 수행 순환성' 모험 = 344 2. 자기조절 체계와의 통합 = 346 3. 발전방향 = 349 제5절 교육현장 적용 연구 및 시사점 = 351 1. 자기조절 학습을 통한 목표설정 훈련 = 351 2. 목표설정이론의 교실 적용 = 352 제6절 한국의 목표설정이론 = 354 chapter 10 성취목표이론 제1절 이론발달 배경 = 359 제2절 목표구조의 개념 및 기본 유형 = 361 제3절 성취목표이론의 변천과 연구결과 = 363 1. 새로운 목표구조 = 363 2. 성취목표의 발달경향 = 371 3. 교실목표구조 = 374 제4절 이론의 현 상태 = 377 1. 성취목표의 구조 = 377 2. 상황적 접근 대 특질적 접근 = 378 3. 목표의 본질 = 381 4. 요약 = 382 제5절 교육현장에 대한 시사점 = 383 제6절 한국의 성취목표이론 연구 = 386 1. 이론도입 및 연구동향 = 386 2. 연구주제 = 387 3. 한국 학생들의 성취목표의 유형별 수준 = 389 4. 성취목표 하위 유형들 간의 관계 = 391 5. 교실목표구조 = 391 6. 성취목표의 측정 = 393 7. 요약 = 394 참고문헌 = 397 찾아보기 = 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