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세계의 명문 학교를 가다 : 전환기의 학교교육

세계의 명문 학교를 가다 : 전환기의 학교교육 (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유상덕 , 편저
서명 / 저자사항
세계의 명문 학교를 가다 : 전환기의 학교교육 / 유상덕 편저.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   2010.  
형태사항
412 p. : 삽도 ; 21 cm.
ISBN
9788963303864
서지주기
참고문헌(p. 407-408) 및 색인수록
000 00594camccc200217 k 4500
001 000045603405
005 20100805073803
007 ta
008 100726s2010 ulka b 001c kor
020 ▼a 9788963303864
035 ▼a (KERIS)BIB000012066252
040 ▼d 222001 ▼d 211009
082 0 4 ▼a 373 ▼2 22
090 ▼a 373 ▼b 2010
245 0 0 ▼a 세계의 명문 학교를 가다 : ▼b 전환기의 학교교육 / ▼d 유상덕 편저.
260 ▼a 서울 : ▼b 학지사 , ▼c 2010.
300 ▼a 412 p. : ▼b 삽도 ; ▼c 21 cm.
504 ▼a 참고문헌(p. 407-408) 및 색인수록
700 1 ▼a 유상덕 , ▼e 편저 ▼0 AUTH(211009)95222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3 2010 등록번호 11158767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3 2010 등록번호 11158767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명문교라는 말을 아무 데나 갖다 붙여도 되는 것일까. 사이버 스쿨에서 최근의 정보와 지식을 습득하고 학교 졸업장 혹은 학점을 따는 방법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요즘, 진정한 학교의 기능은 무엇인가. 이 책은 위와 같은 문제의식을 갖고 유럽과 미국, 터키, 일본 등에서 선정한 13개의 명문학교를 찾았다.

탐방한 학교는 그 학교의 지배 구조, 교육과정 운영, 학생 선발 방법, 교원과 학교행정, 그리고 생활지도 측면을 주로 하여 각 학교가 가진 독특한 성격을 소개하였다. 탐방 중에 접한 에피소드도 흥미롭다. 각 학교의 모습을 의미 있게 포착하였기 때문에 교육정책 수립과 좋은 학교운동에 참고 자료로 유용할 것이다.

‘교실 붕괴’‘학교 붕괴’‘학교 위기’‘교육 위기’
학교 문제를 해결하는 이 시대 명문학교 롤모델 13개!
교육개혁을 위한 길 찾기


요즈음은 명문교라는 이름을 쉽게 붙이는 경향이 있다. 카누 명문교, 하키 명문교, 골프 명문교 등등 전국대회에서 금상을 한 번 타면 시골에 있는 조그만 학교라도 어느새 명문교라고 자랑한다. 그 학교가 다른 공부는 어떻게 하고 있는지는 관계가 없다.
외국어고나 과학고가 그 본래 역할과는 달리 의대, 법대를 보내는 입시학원으로 변해 여론의 지탄을 받고 그 정책적 재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는 요즈음도 지방에서는 외고 하나만 들어서면 명문고가 생겼다고 야단이다.
명문교라는 말을 아무 데나 갖다 붙여도 되는 것일까? 사이버 스쿨에서 최근의 정보와 지식을 습득하고 학교 졸업장 혹은 학점을 따는 방법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현재, 진정한 학교의 기능은 무엇인가?
이 책에서는 지금 이 시대에 '명문학교'라는 말을 붙이려면 지금 이 시대의 학교문제를 해결하려는 문제의식을 적극적으로 담고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역사가 오래 되었느냐 아니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시대적 과제해결 능력과 의지, 시대적 방향성을 담고 있는 모범학교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 책은 여러 가지 문제의식을 갖고 유럽과 미국, 터키, 일본 등에서 선정한 13개의 명문학교를 찾았다. 각각의 학교들은 기숙사형 학교, 명문대 진학률이 높은 학교, 배움의 공동체 운동을 도입한 학교, 대안 학교 등 각각의 특징을 가진다. 저자들은 세심하게 대상 학교를 선정하고, 일일이 방문해서 조사하고 인터뷰하는 과정을 거쳤다. 학교 방문 과정은 학교에 관하여 간략히 소개하고, 각 학교에 미리 보냈던 질문 사항에 대하여 2~3시간 동안 질문과 답변을 교환하며 자료 수집 및 학교 시설 환경을 둘러보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탐방한 학교는 그 학교의 지배 구조, 교육과정 운영, 학생 선발 방법, 교원과 학교행정, 그리고 생활지도 측면을 주로 하여 각 학교가 가진 독특한 성격을 소개하였다. 탐방 중에 접한 에피소드도 흥미롭다. 각 학교의 모습을 의미 있게 포착하였기 때문에 교육정책 수립과 좋은 학교운동에 참고가 될 것이다.

■ 나라별 명문교의 특징

프랑스와 영국의 명문학교들은 역사가 오래되기도 했고 과거에 그 명성을 날리기도 했지만 여전히 지금도 글로벌 시대의 인재 교육에 필요한 수학, 과학 교육의 중요성을 착안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기초과학 교육 계통의 학과가 대학에서 찬밥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현상과는 대조적이다. 또한 영국의 학교들은 체험 교육을 매우 중요시한다. 서구 학교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대화적 교육 혹은 체험교육을 중요시해서 나름대로 사회의 변화에 대처해 오고 있는데 직접 가본 학교들은 생각보다도 더 체험교육을 중요시하고 있었다. 물론 옥스브리지 혹은 아이비리그 학교들이 체험활동 성적을 입학사정에서 중요시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했지만 중등학교 자체가 전통적인 인문소양으로서의 사회 체험을 중요시하고 있는 것이 분명했다.
미국의 학교들은 개별화 학습을 중요시한다. 사회적 여건상 핀란드와 같이 국가가 학생 개개인을 개별화 학습을 시킬 수 있도록 고려하는 것이 가능한 나라가 되지는 못하지만 개성이 존중되는 사회에 개별적인 학생 하나하나에게 구체적인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려는 의지는 존중할 만하다.
일본의 사회민주주의 학교 프로그램인 '배움의 공동체 운동'은 일본이라는 국가주의 전통이 강한 나라에서 나타나는 '교실 붕괴' 현상을 해결하려는 문제의식을 담고 있기도 하지만 학습사회의 학교교육 실천모델로서도 의미 있는 운동이다. 일방적인 주입이 아니라 경청하고 배려하고 함께 배우며 성장하는 학습사회의 이상을 실현하려는 시대적 지향성을 분명히 하고 있다. 공동체성이 강한 동양적 복지국가의 교육적 지향성이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에서 소개하는 터키의 대안사립학교는 보는 사람에 따라서는 이 학교가 어째서 명문학교인가라는 의문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학교의 중요성은 학교 시설의 호화로움도 아니고, 국제올림피아드에서 상위권 성적을 내는 것 때문만도 아니다. 중요한 것은 이 학교가 가진 공교육에 대한 도덕적 정당성이며 그것을 가지고 다문화 시대에 한 국가를 넘어서서 세계를 향해 형제애를 실현하고 있는 실천성 때문이다. 교육은 우선 도덕적인 정당성이 생명이다. 그 정당성이 먹혀들어가기 때문에 와크프라는 기부금이 교육 사업으로 들어오고 그 결과로서 시설도 좋아지고 성적도 올라간다. 그리고 그러한 열정은 교육에 열정과 헌신을 보이는 교사들을 불러 모으고, 터키뿐만 아니라 세계로 학교가 퍼져 나가고 있는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유상덕(지은이)

경남 거창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학과(지리전공) 졸업 동국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석사(교육사회학) 동국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교육정책) 미국 코넬대학교(Cornell University) 초빙연구원 현재 서울 경일고등학교 교사, 동국대학교 겸임교수, 한국교육연구소 이사장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5
제1부 근대학교의 황혼, 유럽의 엘리트 학교 = 18
 프랑스 최고의 명문, 루이 르 그랑(Louis Le Grand) = 23
 파리 가톨릭 명문사립학교, 리세 스타니슬라스(Lisse Stanislas) = 39
 독일 전원기숙형 김나지움(Gymnasium), 한센베르크 성 기숙학교(Internatsschule Schloss Hansenberg) = 51
 학생 절반을 옥스브리지 대학에 진학시키는 킹스칼리지 고등학교(King's College High School) = 75
 영국 명문사립여학교, 길포드 여자고등학교(Guildford Woman's High School) = 93
 참고자료 1: 유럽 5개 엘리트 학교의 공통적인 특징과 시사점 = 105
제2부 인적 자원 양성소, 미국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모델 = 114
 교육과정 운영 기획 모델, 윈체스터 서스턴 고등학교(Winchester Thurston High School)와 셰이디사이드 고등학교(Shady Side Academy) = 117
 참고자료 2: 미국의 대학입학사정관제도 = 186
제3부 '배움의 공동체 운동'과 일본 단위제 고등학교 = 202
 학습사회를 선도하는 배움의 공동체 운동 1(초등학교 사례): 하마노고 초등학교(濱の鄕小學校) = 205
 학습사회를 선도하는 배움의 공동체 운동 2(중학교 사례): 가쿠요 중학교(岳陽中學校) = 223
 참고자료 3: 사토 마나부(佐藤學) 교수와의 대화 = 284
 일본 단위제 학교의 선구: 효고 현 이나즈노 고등학교(稻園高等學校), 히메지동 고등학교(路高等學校) = 297
제4부 글로벌 시대의 교육 열정, 터키의 대안사립학교, 귈렌 학교(G◆U00FC◆len School) = 320
 지역주민이 만들어 가는 세계적인 대안학교; 파티시 대학, 부츄 고등학교(이스탄불), 순구르베이 초ㆍ중ㆍ고등학교(니데) = 329
 참고자료 4: 귈렌은 어떤 사람인가 = 373
후기 = 397
참고문헌 = 407
찾아보기 = 409

관련분야 신착자료

용정중학교. 용정 20년사 편찬위원회 (2023)
마산용마고등학교. 백년사 편찬위원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