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647c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45602696 | |
005 | 20100805073441 | |
007 | ta | |
008 | 100719s2010 ggka 000c bkor | |
020 | ▼a 9788950924331 | |
035 | ▼a (KERIS)BIB000012061763 | |
040 | ▼a 241018 ▼c 241018 ▼d 211009 | |
082 | 0 4 | ▼a 780.92 ▼2 22 |
090 | ▼a 780.92 ▼b 2010z2 | |
100 | 1 | ▼a 이재규. ▼0 AUTH(211009)122978 |
245 | 1 0 | ▼a 베토벤 읽는 CEO : ▼b 장애를 창조로 승화시킨 불멸의 악성 / ▼d 이재규 지음. |
260 | ▼a 파주 : ▼b 21세기북스 , ▼c 2010. | |
300 | ▼a 317 p. : ▼b 색채삽도 ; ▼c 23 cm. | |
500 | ▼a 부록수록 | |
600 | 1 0 | ▼a Beethoven, Ludwig van, ▼d 1770-1827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80.92 2010z2 | 등록번호 11158720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80.92 2010z2 | 등록번호 11158720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음악적 재능을 타고났지만 인간적으로는 지극히 평범했던, 달리 표현하면 성인(聖人)이 아닌 한 평범한 ‘인간 베토벤’이 ‘악성(樂聖) 베토벤’으로 불리게 되는 과정을 장소적, 연대기적으로 추적한 기록이다.
베토벤은 [교향곡 제3번]을 나폴레옹에게 헌정하려 했다가 나폴레옹이 황제가 되었다는 말을 듣고 악보를 내동댕이쳤다고 한다. 왜 베토벤은 적대국 프랑스 군대의 지휘자 나폴레옹에게 [교향곡 제3번]을 헌정할 생각을 했을까? 베토벤은 [교향곡 제5번]에 ‘운명’이라는 별칭을 붙이지 않았다. [교향곡 제5번]이 [운명 교향곡]이 된 유래는 무엇인가? 그가 “운명이 문을 두드린다.”라고 한 말은 진실인가? 악성(樂聖) 베토벤은 시성(詩聖) 괴테를 만났다고 하는데, 베토벤은 어디서 괴테를 만났는가? 그들은 우연히 만났는가, 아니라면 두 사람을 소개한 사람은 누구인가? 등 베토벤의 음악을 알기 위해 알아야 할 모든 것이 담겨 있다.
신이 인류에게 저지른 범죄가 있다면
그것은 베토벤에게서 귀를 빼앗아간 일이다!
베토벤의 음악을 알기 위해 당신이 알아야 할
모든 이야기가 여기 담겨 있습니다.
베토벤은 [교향곡 제3번]을 나폴레옹에게 헌정하려 했다가 나폴레옹이 황제가 되었다는 말을 듣고 악보를 내동댕이쳤다고 한다. 왜 베토벤은 적대국 프랑스 군대의 지휘자 나폴레옹에게 [교향곡 제3번]을 헌정할 생각을 했을까? 그것은 독일 본 출신이고 비엔나에서 활동하던 베토벤의 이적(利敵) 행위 아닌가? 또한 베토벤은 1809년 나폴레옹의 동생이자 웨스트팔리아 왕 제롬 보나파르트가 요청한 카셀의 궁정악장직을 수락했다. 이것은 친불(親佛) 행위 아닌가?
베토벤이 태어나서 사망한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에 이르는 시기는 프랑스혁명과 나폴레옹의 등장, 나폴레옹의 몰락과 보수 회귀적 성격의 ‘비엔나 회의’ 개최 등 역사적 격동기였다. 그렇다면 ‘비엔나 회의’는 베토벤과 아무런 관계가 없었는가?
베토벤은 [교향곡 제5번]에 ‘운명’이라는 별칭을 붙이지 않았다. [교향곡 제5번]이 [운명 교향곡]이 된 유래는 무엇인가? 그가 “운명이 문을 두드린다.”라고 한 말은 진실인가?
[합창 교향곡]이 끝난 후 베토벤이 청중의 환호성을 듣지 못하고 멍하게 서 있자, 콘트랄토 카롤리네 웅거가 그의 손을 잡고 뒤돌아보게 했다는데, 베토벤의 합창 교향곡은 어디서 어떻게 탄생했는가?
베토벤이 한 말 중 가장 자주 인용되는 내용이 있다. 그것은 “귀족, 당신은 우연한 출생으로 귀족이 되었지만, 나는 내 스스로 베토벤이 되었소. 세상에 귀족은 쎄고 岳어요, 앞으로도 그럴 거고요. 하지만 베토벤은 나 하나뿐이오!”라는 말이다. 과연 베토벤은 그런 말을 했는가?
악성(樂聖) 베토벤은 시성(詩聖) 괴테를 만났다고 하는데, 베토벤은 어디서 괴테를 만났는가? 그들은 우연히 만났는가, 아니라면 두 사람을 소개한 사람은 누구인가?
베토벤이 ‘하일리겐슈타트 유서’를 쓴 하일리겐슈타트는 어디에 있는가, 베토벤의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이면 그곳에 한 번쯤 가봐야 하지 않을까?
‘하일리겐슈타트 유서’와 함께 발견된 ‘불멸의 연인에게’라는 편지의 수신인은 누구이고, 왜 그것이 베토벤의 서랍에 있었는가?
베토벤은 거처를 자주 옮겼기 때문에 한 곡을 어디서 완성했다고 말하기가 곤란하다. 예를 들면 합창 교향곡은 1822년 비엔나의 라임그루벤가세에서 주문을 받았고, 헤첸도르프와 바덴에서 작곡했고, 비엔나의 운가르가세 5번지에서 완성했다. 베토벤은 어디서 어떻게 살았는가?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머리말 = 5 일러두기 _ 베토벤의 거주지에 대한 참고사항 = 11 프롤로그 _ 악성 베토벤의 장례식 1827년 3월 26일, 슈바르츠스파니어하우스 = 23 3월 29일, 드라이팔티히카이트키르헤 = 27 배링 공동묘지 = 30 제1장 음악가 3대|1770∼1786 1770년 12월 17일, 독일 본의 상트 레미기우스 성당 = 35 이름에 얽힌 이야기 = 37 베이스 가수 할아버지와 테너 가수 아버지, 그리고 스승 = 38 폰 브로이닝 가의 사람들과 친구 베겔러 = 40 1783년 4월, 3대째 음악가의 탄생 = 43 1784년 4월, 막시밀리안 프란츠 대공 선제후로 부임하다 = 45 제2장 예언자들|1787∼1792 네페: 배움의 여행을 통해 베토벤은 제2의 모차르트가 될 것이다 = 47 모차르트: 저 소년은 언젠가 세상을 놀라게 할 거야 = 49 귀향길에 만난 사람 = 54 하이든, 베토벤을 스카우트하다 = 59 고전주의 음악과 낭만주의 음악 = 61 고트프리트 판 슈비텐 = 63 발트슈타인: 하이든의 손을 통해 모차르트의 천재적 정령을 이어받게 = 64 신성로마제국 황제 프란츠 2세와 나폴레옹 = 67 제2의 모차르트 만들기 비밀 프로젝트 = 69 제3장 후원자와 새로운 스승|1793∼1797 1792년 11월, 알제르 슈트라세 30번지 = 71 리히노프스키 대공 = 72 로프코비츠 대공 = 74 라즈모프스키 대공 = 76 빌헬미네 툰 백작 부인 = 78 킨스키 대공 = 80 새로운 스승들 = 81 1795년 3월 29일, 최초의 자작곡을 공개연주하다 = 82 5월, 뢰벨슈트라세 오기리쉐스 하우스 = 84 마그달레나 빌만 = 86 베를린, 프라하, 브라티슬라바 = 87 프랑스 군대 전 유럽을 제패하다 = 88 힘멜포르트가세 6번지 얀의 레스토랑 = 89 제4장 친구와 경쟁자|1798∼1799 츠메스칼, 백조에서 만나세 = 91 이그나츠 글라이헨슈타인과 이그나츠 슈판치히 = 93 장 밥티스트 베르나도트 = 94 루돌프 크로이체르와 도메니코 드라고네티 = 95 그냥 루트비히 판 베토벤, 비엔나라고만 쓰게 = 96 훔멜과 뵐플 = 97 다니엘 스타이벨트와 겔리네크 = 99 카를 체르니 = 102 제5장 브룬스비크-귀차르디 가의 딸들|1800∼1801 작곡가 베토벤 여기 있소! = 104 티퍼 그라벤 8-10번지 = 105 브룬스비크 백작 = 107 테레제 브룬스비크 = 108 요제피네 브룬스비크 = 109 부다페스트와 마르톤바자르 = 111 줄리에타 귀차르디와 월광 소나타 = 111 귀가 들리지 않는다네 = 113 페르디난트 리이스 = 116 제6장 하일리겐슈타트 유서|1802∼1803 프로부스가세 6번지 = 117 하일리겐슈타트 유서 = 119 예네바인가세 17번지 = 122 테아터 안 데어 빈과 에마누엘 쉬카네더 = 124 브릿지타워와〈크로이체르 소나타〉 = 128 톨스토이의 소설『크로이체르 소나타』: 도대체 사랑이란 얼마나 오래가는 것입니까? = 130 제7장 영웅을 찾아서|1804∼1807 에로이카하우스 = 134 오페라 레오노레 = 137 나폴레옹 자신을 황제라 선포하다 = 138 슈테판 폰 브로이닝 = 140 파스쿠발라티하우스 = 141 나폴레옹의 황제대관식 = 145 영웅 교향곡 초연 = 146 피델리오 초연 = 148 피델리오의 여러 판본들 = 150 아우스테를리츠 전투 = 152 피델리오 제2판 = 154 카스파르 카를과 요한나 라이스 = 154 라인 연방 = 156 나폴레옹을 존경한 헤겔 = 158 오퍼스도르프 백작, 교향곡 제4번과 제5번을 주문하다 = 158 세상에 귀족은 많아, 하지만 베토벤은 나 하나뿐이야! = 159 진실은 무엇인가? = 162 교향곡 제4번 초연 = 164 아이젠슈타트 = 165 궁정 작곡가 = 165 제8장 운명이란 무엇인가|1808∼1810 린츠 = 167 전원 교향곡 = 168 그릴파르처 = 169 에르되디 백작 부인 = 171 카셀 궁정의 악장직을 제의 받다 = 173 운명 교향곡과 전원 교향곡 초연 = 174 운명 모티프의 진실은 무엇인가? = 175 이그나츠 모셀레스 = 178 나폴레옹 제롬을 물리친 루돌프 대공 = 179 고별 소나타 = 181 하이든 타계하다 = 182 바그람 전투 = 183 안토니 브렌타노의 귀향 = 184 나폴레옹, 합스부르크제국 공주와 결혼하다 = 186 토스카니니와 푸르트벵글러와 BBC = 188 테레제 말파티를 위하여 = 189 제9장 괴테와 브렌타노 가의 사람들|1811∼1812 화폐개혁 = 191 괴테에게 = 192 옛 친구와 새 친구 = 194 나폴레옹, 러시아를 침공하다 = 196 프라하에서의 재회 = 197 테플리체 사건 = 198 베티나와 브렌타노 가의 사람들 = 202 칼스바트, 프란첸스바트, 테플리체 = 205 니콜라우스 요한과 테레제 오버마이어 = 206 제10장 회의는 춤춘다|1813∼1814 돈 = 208 과연 누구의 딸인가? = 209 요한 네포묵 멜첼 형제 = 209 라이프치히 전투 = 211 전쟁 교향곡 그리고 교향곡 제7번과 제8번 = 211 엘바섬과 피델리오 결정판 = 214 비엔나 회의 = 215 피아니스트 베토벤의 은퇴 공연 = 217 제11장 소송-누구를 위해, 무엇 때문에|1815∼1818 100일 천하 = 219 낭만기 = 220 하일리겐슈타트파크의 베토벤 = 221 첼로의 신약성서 = 223 조카의 양육권과 후견인 = 224 요한나 라이스, 베토벤을 제소하다 = 225 도로테아 폰 에르트만 = 227 댄스홀 = 229 하일리겐슈타트 파르플라츠 2번지, 호이리거 마이어 = 230 베토벤 산책로와 휴식처 = 232 런던 필하모닉 소사이어티에서 온 초청장 = 235 칼렌베르거 슈트라세 26번지 = 236 쉬카네더가 살던 집 = 237 베토벤의 피아노 = 237 1818년 필담노트를 사용하다 = 239 van은 귀족을 의미하는 von이 아니다 = 240 왕의 사생아 = 241 베르나도트, 스웨덴의 카를 14세가 되다 = 242 제12장 디아벨리 변주곡과 장엄미사|1819∼1821 디아벨리 변주곡 = 244 장엄미사곡 = 246 토지 소유자와 두뇌 소유자 = 247 춤 알텐 블루멘스톡 여관 = 248 항고 = 249 뫼들링 = 250 죽음은 나이를 가리지 않고 = 251 나폴레옹 센트 헬레나에서 사망하다 = 252 제13장 환희의 송가|1822∼1825 최후의 피아노 신약성서 = 255 베토벤이 작곡하는 방법 = 256 안톤 쉰틀러 = 258 줄리에타 귀차르디의 귀향 = 260 프란츠 리스트와 로시니, 베토벤을 만나다 = 261 갈리친 4중주 = 263 궁정 작곡가 직위에 두 번째 응모하다 = 264 뚱보 허풍쟁이 돌아오다 = 265 카페 베토벤 = 265 운가르가세 5번지, 합창을 완성하다 = 266 교향곡 제9번과 장엄미사 초연 = 268 카를 홀츠 = 271 병에서 회복된 사람이 하느님에게 바치는 노래 = 272 살리에리 사망하다 = 274 가장 슬픈 곡 = 275 저물어가는 나날들 = 275 제14장 꼭 그래야만 하는가?|1826∼1827 헛소문 = 277 대푸가 = 278 카를, 자살을 시도하다 = 280 그나익센도르프 = 281 꼭 그래야만 하는가? 꼭 그렇게 하세요 = 282 게르하르트 폰 브로이닝 = 284 카를, 군에 입대하다 = 285 교향곡 제10번 = 286 유언 = 289 너무 늦었어, 그 포도주를 마시기엔 = 290 박수를 쳐라, 나의 친구들이여, 연극은 끝났다 = 290 유품 = 291 제15장 그 후 1827년 6월 4일, 슈테판 폰 브로이닝 = 292 1828년 11월 19일, 슈베르트 = 293 1831년, 루돌프 대공 = 293 1832년, 괴테 = 294 1833년, 나네트 부부 = 295 1837년, 에르되디 = 296 1846년, 아말리에 제발트 = 297 1848년, 베겔러 = 297 1851년, 테레제 말파티 = 298 1859년, 베티나 = 298 1861년, 테레제 브룬스비크 = 299 1868년, 요한나 라이스 = 299 1869년, 안토니 브렌타노 = 299 1888년 6월 21일, 비엔나 첸트랄프리트호프 = 300 1903년 10월 4일, 오토 바이닝거 = 300 1917년, 카를 줄리우스 베토벤 = 301 에필로그 왜 불멸의 편지가 베토벤의 서랍에 있었는가? 베토벤 신격화 작업 = 302 1840년, 불멸의 편지 공개되다 = 304 불멸의 연인은 누구인가? = 305 1954년, 리하르트 스테르바 = 306 1972년, 메이너드 솔로몬 = 307 1994년, 영화〈불멸의 연인〉 = 309 보내지 않은 편지 혹은 되돌아온 편지 = 309 부록 베토벤의 비엔나 거주지 = 312